▲ 제주 서귀포시 감귤체험농장에서 어린이들이 감귤따기 체험을 하고 있다.<제주투데이 DB>
'한미FTA(자유무역협정)와는 비교 자체를 불허할 정도의 FTA 협상이 시작된다. 한중FTA다. 노무현 대통령 시절인 지난 2004년 9월부터 첫 논의가 시작된 이후 오는 2월 본격 협상 개시를 앞두고 있다. 한중FTA가 현실화 됐을 경우 제주감귤은 어떤 처지가 될까. 중국 감귤산업의 저력과 제주감귤에 미칠 영향, 대비책 등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편집자 주]

감귤을 빼놓고 제주농업을 말할 수 있을까.

제주감귤 생산액은 2009년 기준으로 9065억원. 전체 농림어업생산액 1조 6710억원의 54.2%에 달한다. 지난 2001년 3892억원에서 매해 성장을 거듭한 결과다.

하지만 좋은 시절은 얼마 남지 않았다는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지난 12월 말 발표한 '한중FTA 추진에 따른 제주 감귤산업 대응방안 연구'에 따르면 한중FTA가 발효될 경우 감귤 생산액 감소는 10년간 누적 피해액 1조624억원에서 1조 5969억원으로 전망됐다.

반면 수출경쟁력이 높아진 덕분에 감귤 수출액은 2023년 기준으로 최소 13만7134달러에서 19만8672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피해액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수치다.

수출물량이 전체 생산량 대비 1% 미만으로 극히 미미한 탓도 있었다. 감귤수출은 상대적으로 품질이 낮은 대과(6-8번과)의 처리 또는 해거리에 따른 과잉 생산량을 처리하기 위한 임시방편으로 이뤄졌기 때문이다.

감귤의 피해는 도미노 현상을 일으킨다는 분석도 나왔다. 감귤산업과 전후방으로 연결된 부문들 역시 피해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한중FTA 타결시 제주지역은 10년간 1조 1940억원에서 1조7946억원, 감귤산업과 연관된 다른 지역은 8743억원에서 1조 3141억원 규모의 피해를 입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제주도 서비스산업이 719억원에서 1081억원 규모로 생산액 감소액이 컸다.

한국농촌경제연구소에서 지난해 3월9일부터 23일까지 2주간 자자체, 지역농협, 연구기관 등의 전문가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서도 감귤산업의 문제점은 고스란히 드러난다.

설문에서 감귤재배와 생산부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우선 시행해야 할 대책을 묻는 질문엔 고품질 재배기술 개발과 보급이 전체의 47%를 차지했다.

이어 규격화 및 표준화를 위한 시설 현대화 18.0%, 감귤 우량 신품종 개발 및 보급 13.0%, 감귤의 대규모 생산기반 구축 10.0% 순으로 나왔다.

윤종열 한국농촌경제연구소 전문연구원은 "감귤재배 면적이 0.5ha 미만인 농가는 전체 농가의 53.9%에 달하며 외국산 감귤 종자의 비중은 98% 정도를 차지한다"며 "감귤생산기반의 규모화와 감귤종자 개발 및 보급은 현재 실현정도가 매우 낮아 개선을 위한 노력의 정도가 다른 대책에 비해 더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대부분의 감귤농민들이 소규모 농업을 하고 있다는 말이다. 전체 3만1200농가 중 1만6838호가 0.5ha,  2ha가 넘는 농가는 3.6%인 1118 농가에 불과해 경영혁신을 이루기 위한 '규모화'는 꿈 꿀 수 없다는 말로도 들린다.

이동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은 "중국은 고품질 감귤 생산과 수출확대에 나서고 있어 제주감귤산업에 위협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며 "한중FTA로 중국산 감귤이 국내로 수입되면 저가 감귤 도입으로 인해 제주감귤산업은 큰 어려움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제주투데이>

<강정태 기자 / 저작권자ⓒ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