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추석 오랜만에 만난 친지나 이웃간의 나눈 대화 가운데 내년 도의원 선거를 빼 놀 수 없다.

지난 7월 주민투표를 전후해 도민사회가 갈등을 빚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내년 5월 지방선거는 다른 지역의 동시 4대선거와는 달리 도지사와 도의회의원 선거 둘만 치른다는 데 대부분의 도민이 공감하는 것 같았다.

도지사 선거에도 관심을 보였지만 유독 도의원 선거에 대해 말이 더 많았다. 가까운 이웃들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소선거구제냐 중선거구제냐는 등 선거구제에서 도의원 정수, 그리고 누가 출마하느냐 순으로 대화는 이어졌다.

이외로 지역을 위해 봉사를 해보겠다는 인물이 많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던 추석 연휴였다.

지난 23일에 제주도민화합추진위원회가 공식 출범했다.

화합추진위원회는 “이미 채택된 혁신안과 함께 점진안의 장점을 수용, 보완 도민사회 갈등을 봉합하고 제주사회의 미래를 위해 사심을 버리고 순수한 열정으로 화합에 앞장서겠다”고 다짐했다.

이보다 앞서 제주도는 제주특별자치도의 도의회 의원 정수를 상한선만 법률로 정하고 선거구 획정은 조례로 전면 위임해 줄 것을 정부에 건의했다.

이 건의에는 추자도와 우도면은 지역 특수성을 고려해 도의원을  1명씩 배정해 달라는 진정도 포함 돼 있다.

제주섬 속의 작은 섬을 배려해 달라는 것이다.

그러나 배려할 것은 이들 2개 섬 지역만이 아니다.

한경, 표선, 안덕 3개면도 배려해야 한다. 이들 지역은 인근에 있는 한림, 성산 대정읍 지역에 밀려 도의원 한번 제대로 배출해 보지 못하는 ‘들러리’로 변방이 되 온 것이 사실이다.

혹자는 선거구 획정에 따라 이들 지역이 똘똘 뭉치면 면지역 인물이 당선 가능성이 높다는 말도 하는데 이는 설득력이 없다.

배려, 화합은 소외받는 이들의 소외감을 덜어 주는데서 출발해야 한다. 제주시와 서귀포시는 통합되는 북제주군과 남제주군을 배려하고 도시지역은 읍·면지역을 소외시키지 말아야 한다.

혁신안이 채택됐지만 점진안의 장점도 수용하겠다는 화합추진위의 다짐에 박수를 보내는 것도 이 때문이다.

특별자치도의 실시는 지역에서 시·군의원을 꿈꿔 온 면지역 인사들의 바람을 송두리째 앗아 가버렸다. 이런 서운함 때문에 혁신안에 반대했고 막상 도의원 선거에 나서려니 지지기반 등이 부족해 어쩌지 못하는 이들이 많다.

쉽게 말해 이들 3개면에도 1명씩 도의원을 배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의원 정수가 문제가 된다면 인구가 많은 지역이 한발 짝 양보하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인구는 제주시지역 대형 아파트단지의 4분의 1밖에는 안되지만 ‘이 시대 마지막 면민’ 이라는 자긍심 하나로 지역을 지켜온 이들이다.

이들 3개면의 면적은 도 전체면적의 16%다. 특별자치도는 이런 점에도 특별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

우리는 화합추진위가 어떤 구속력이나 힘을 가진 위원회가 아님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실제 소외감을 받는 지역, 5개 면지역(추자, 우도면 포함)의 서운함을 수용, 건의하고 실현시키지 못하는 위원회라면 지금까지 무수히 봐왔던 한 개의 관변 들러리 위원회와 다를 게  없다.

우리사회는 늘 여유 있고 가진자들이 손을 펴고 배려해야 더불어 사는 사회가 된다.

5개면지역 대표가 도의원에 뽑혀 당당하게 특별자치도를 위해 뛰는 모습을 보고 싶다.

이런게 화합이고 점진안의 장점 수용일 것이다.

화합추진위원회의 오광협 위원장님 한번 해보십시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