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필 문화재청 학예연구관.
제주 해녀·해녀문화와 일본해녀 '아마'와의 유네스코 문화유산 공동 등재도 부상할 가능성이 상존함에 따라 차별화 전략에 주력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제주 해녀·해녀문화를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서는 해녀문화 부분성으로 인해 제주칠머리당영등굿과의 통합권고도 배제할 수 없다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재필 문화재청 학예연구관은 국회 길정우 의원(새누리당, 서울 양천 갑)과 제주도의회 의원연구모임인 문화관광포럼(대표 이선화 의원)이 공동주관으로 11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한 '제주 해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공청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연구관은 '제주해녀의 보호조치 현황과 유네스코 등재 추진에 있어 참고해야 할 몇 가지 사항'을 주제발표했다.

이 연구관은 "제주해녀의 공동체적 삶의 방식을 우리나라 대표적인 문화브랜드로 발전시켜나가기 위해 제주해녀를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러나 이 연구관은 제주해녀의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제 과정에서 예상되는 문제점과 함께 대안도 제시했다.

이 연구관은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제주칠머리당영등굿과의 관계 설정을 문제점으로 제시했다. 

이 연구관은 "제주칠머리당영등굿은 제주 해녀문화의 일부로 인식되고 있다"면서 "제주해녀를 유네스코 등재 신청할 경우 해녀문화의 부분성으로 인해 제주칠머리당영등굿과의 통합권고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 전개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연구관은 이같은 시례로 '농악'을 들었다

이 연구관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돼 있는 6개 지역별 아리랑을 모두 등재 신청했지만 등재 신청을 철회해 '한국의 농악'으로 다시 신청했었다"고 말했다.

이 연구관은 "무형문화재의 지역별 특성은 대한민국 농악이 내재하고 있는 하나의 특징일 뿐 유네스코 관점에서는 그것이 전부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연구관은 "유네스코의 심사와 평가가 제주칠머리당영등굿이 등재되던 초창기와 비교해 객관화 되고 있을 뿐 아니라 점점 고도화 되고 있어 반드시 유념해야한다"고 환기시켰다.

▲ 국회 길정우 의원(새누리당, 서울 양천 갑)과 제주도의회 의원 연구모임인 문화관광포럼(대표 이선화 의원)이 공동주관으로 11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한 '제주 해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공청회 모습.

그러면서 이 연구관은 제주 해녀·해녀문화를 제주에 국한하지 말고, 한국의 해녀문화를 등재하는 방향으로 지리적 범위를 넓혀 등재를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이 연구관은 "제주도에 비교할 바는 아니지만 실제로 동해안과 남해안에 해녀문화가 전승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문화재청이 확인한 결과 ㈔거제시 나잠회와 ㈔울산시 나잠회 등 2곳이 운영되고 있다.

이 연구관은 "제주 해녀·해녀문화의 유네스코 등재를 위해서는 내륙지역의 해녀 전승지역을 끌어 안아야한다"며 "한국의 해녀문화로 등재되더라도 제주도로서는 손해될 것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이유에 대해 이 연구관은 "해녀문화의 중심지가 제주도라는 것을 국민 모두가 잘 알 것이며, 한국의 해녀문화로서 제주해녀에 대한 자긍심이 고취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이 연구관은 제주 해녀·해녀문화가 등재된 이후를 가정할 때 제주도 차원의 중요무형문화재(제주칠머리당영등굿), 제주도 지정무형문화재(해녀노래) 등 유사목록을 융합 지원하는 제도 도입을 제언했다.

특히 이 연구관은 제주 해녀·해녀문화와 일본해녀 '아마'의 차별화 전략을 역설했다.

이 연구관은 "일본 미에현에서 올해 아마를 현급 무형민속문하재로 지정한데 이어 내년 국가 중요무형민속문화재 지정하고, 2015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신청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 연구관은 "해녀문화는 세계에서 한국과 일본 뿐"이라며 ""유네스코 등재를 추진하는 시기도 비슷해 해녀문화에 있어서는 한·일 양국이 조명받기 좋은 환경이 조성된 셈"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 연구관은 "더욱이 유네스코 등재 환경이 단독 등재보다는 수량에 관게 없이 다국간 공동 등재를 권고하는 추세"라며 "한·중·일 3국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유세스코 등재 보유국임에 따라 앞으로 단독 등재도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이 연구관은 "세계에서 한국과 일본에만 전승되고 있는 해녀문화의 공동 등재안이 부상할 수밖에 없는 여건"이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관은 "등재 전략을 신중하게 생각해야한다"면서 "우선 양국간 국민감정을 고려해 단독 등재 추진을 원칙으로 한국과 일본의 해녀문화 차별성에 주력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연구관은 "등재 경쟁이 과열될 경우 유네스코 사무국의 조정에 대비해 공동 등재 방안에 대해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 연구관은 "2002년 한·일 월드컵 공동개최가 해녀문화의 유네스코 등재 과정에서 재현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면서 "이같은 상황이 전개될 경우 국민을 설득할 명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제주투데이>
 
<강한성 기자 / 저작권자ⓒ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