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6기 원희룡 도정의 또 다른 이름은 ‘협치’다.

지난 6.4지방선거 내내 ‘협치’를 제1공약으로 내 세웠고, 취임 후 단행한 조직개편에는 ‘협치정책실’만 보인다.

원희룡 도지사는 민간이 앞서는 분야에서 행정과 함께 정책을 만들고 수행하는 일을 ‘협치’라고 정의했다.

도지사 직속 기구인 ‘협치정책실’은 도민사회, 야당, 시민단체, 심지어 국회와 중앙정부와의 소통 창구로 그 역할을 한다고 한다.

바쁜 도지사를 대신해서 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듣겠다는 의도다.

항간에 떠도는 ‘협치정책실’과 기존 ‘공무원 조직’과의 갈등 우려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이제 원희룡 도정의 ‘협치’ 시대가 열렸다.

제주시 관덕정과 무근성 일대의 원도심 살리기 프로젝트가 도정의 첫 협치 사업으로 구상되고 있다.

내용은 이렇다.

20여년 이상 공동화된 제주시 원도심지 일대를 문화예술특구로 지정하여 문화재생을 통한 복원사업을 하겠다는 것이다.

최근 인천, 마산등 전국 각지에서 '문화를 통한 도시 재생‘ 사업이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다.

그 지역의 소중한 문화자원을 잘 활용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높이고 주민의 삶을 문화의 중심에 두겠다는 취지다.

다시 우리 얘기로 돌아가 보자.

그동안 제주의 상징인 제주시 원도심지를 활성화 하겠다는 약속은 정치권의 단골 메뉴였다.

이번엔 그 약속이 현실로 이어져야 한다.

 제주시 원도심 살리기 프로젝트는 재개발이 아닌 재생사업으로 이뤄져야 한다.

재개발은 부지 하나에 입안시설만 해놓으면 되지만, 재생이라는 건 그 곳 주민들과 충분한 대화를 거쳐 시행하는 사업이기 때문이다.

또한 원도심을 문화적인 향수로 생각하는 주민들이 있는가 하면 부동산적 가치로만 바라보는 분들도 꽤 있기 때문에 재생사업에 대한 접근을 잘 해야한다.

행정이나 민간이 홀로  주도하는게 아니라, 철저한 협업 시스템, 즉 ‘협치’로 도시 재생 프로젝트를 풀어 나가야 한다.

여기에 많은 고민과 함께 지역의 정체성을 담은 철학과 마스터플랜이 필요하다.

'제주시 원도심 살리기 프로젝트'

작가와 주민과 행정, 전문가 그룹이 하나가 되어 커뮤니티를 강조하는 '협치사업'으로 시작되어야 한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