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생명산업인 감귤을 맛있게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생산과 유통 구조의 대혁신을 추진한다.

14일 원희룡 지사는 강덕재 농협 제주지역본부장, 김성언 제주감귤연합회장, 김문일 남원농협조합장, 문대진 제주도농업인단체협의회장 등이 지켜보는 가운데 '고품질 감귤 안정 생산을 위한 구조혁신 방침'을 발표했다.

핵심 내용은 올해부터 2019년까지 '선(先) 자구 노력, 후(後) 지원' 원칙에 따라 감귤 농가의 의식 전환을 끌어내고, 양 위주의 생산·출하 체계에서 탈피해 고품질로 경쟁하는 감귤 생산·유통구조 대혁신의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다.

먼저 소비자가 만족하는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해 불량 감귤원 정비 명령제를 도입하고 부적지 감귤원을 폐원하며 표준과수원 조성을 의무화한다. 표준과수원이란 노지 10a당 20년생 감귤나무 75그루를 재배하는 것을 말한다. 도는 올해 400㏊의 표준과수원을 조성하고 2019년까지 해마다 500㏊씩 조성해 모두 2천400㏊의 표준과수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수령이 59년 이상 된 과수원 1천500㏊에는 신품종 감귤나무를 재이식하고 극조생 감귤원 225㏊에는 만감류 등 생산성이 높은 고당도계 품종으로 갱신할 계획이다.

고령 농가와 부재지주 감귤원 등 100㏊를 폐원하고, 노지 중심의 재배에서 하우스 시설 재배 등으로 작형을 전환해 연중 출하 시스템을 구축하고 품질 향상도 꾀한다.

생산과 수확 단계에서부터 상품이 아닌 감귤을 농가에서 자율폐기하는 운동을 전개하고 감귤 이외의 다른 과수로 작목을 전환할 때는 보조사업을 지원한다.

수급 조절과 소득 향상 방안으로는 가공용 감귤 처리와 수매 정책을 전면적으로 개선한다. 그동안 가공용 감귤을 수매할 때 ㎏당 50원을 지원하던 제도를 폐지하고 이 재원을 고품질 감귤 생산 시설에 투자한다. 지난해 가공용 감귤 수매 지원금은 78억 원이다.

올해부터는 비상품 감귤을 가공 처리하던 관행에서 벗어나 상품규격 안에서 발생하는 비상품 감귤만 가공용으로 수매할 방침이다.

핵가족, 1인 가구 시대에 맞게 현재 10㎏ 중심으로 되어 있는 포장상자의 규격을 7.5㎏, 5㎏, 3㎏, 1㎏ 등으로 다양화한다.

감귤실명제를 시행해 시장에 유통하는 모든 포장상자에 생산자 이름과 주소, 전화번호, 품종, 당·산 함량 등을 표기하도록 할 계획이다.

과학적 통계시스템 구축과 산지 주도의 가격 형성을 위해서는 먼저 초분광 화상 촬영기(Hyperspectral Imager)를 활용한 감귤 관측 프로그램을 개발해 감귤 작황을 예측해 정책 수립 자료로 활용하고 농가에도 각종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중앙부처와 협의해 제주에 전자상거래 형태의 감귤거래소를 설치, 산지 주도의 수급 조정과 가격 결정 구조를 구축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유통 창구를 일원화해 교섭력을 극대화한다는 복안이다.

감귤이 육지부 도매시장에 상장되면서 농가가 떠안아야 하는 도매시장 상·하차비와 수수료, 물류비 등의 부담과 시장별 충돌로 말미암은 가격 하락을 막으려는 조치다.

감귤원 폐원지에 일정 기간이 지나 감귤나무를 다시 심는 등의 폐단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농가 소득이 유지될 수 있도록 영농 체계를 개선하고 태양광발전시설을 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도는 이달 안으로 세부 실천계획을 수립하고 다음 달부터 감귤 주산지 196개 마을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원 지사는 "농가의 불만과 고통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뼈를 깎는 심정으로 비상품 감귤을 퇴출하지 않고서는 제주 감귤을 지켜내기가 어렵다"며 "위기를 극복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과 '청정·안전·고급'이라는 프리미엄 이미지를 활용해 감귤산업을 미래 희망산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다시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