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에 처한 제주감귤이 살아남기 위해선 뼈아픈 자구 노력이 필요한 시점에 한 농가가 페이스북에 올린 글과 사진이 눈길을 끌고 있다.

“금쪽같이 키워온 유기농레몬, 청견, 천혜향, 세미놀, 소비자에게 사랑도 받지 못하고 차가운 대지에 버려지는 신세가 되었구나!”라고 안타까운 심정을 토로하면서 “하늘을 원망하기 전에 유비무환을 준비하지 못한 내자신을 반성하고 자구노력과 자기혁신이 필요하다”라고 새롭게 변해야 된다는 자기반성도 썼다.

이처럼 농가의 안타까운 심정은 바로 제주가 직면하고 있는 현실이다. 지금이야 말로 제주감귤혁신 5개년 계획을 포함한 감귤정책을 새롭게 검토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지난 19일 원희룡 제주도정이 지난해 야심차게 발표한 감귤혁신 5개년 계획에 대해 전면 재검토를 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위원장 박원철)가 제주도 농축산식품국을 상대로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제기됐다.

이날 허창옥 의원(무소속, 대정읍)은 강승수 제주도 농축산식품국장에게 “문제가 많은 감귤 5개년 혁신안을 시행하겠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라며 “이미 제주도, 감귤농가, 의회도 잘못됐다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 전문가들도 이야기 하고 있다”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허 의원은 “예를 들어 올해 폭설이 없다고 감귤 값이 안정될 것이냐. 소비자들은 맛이 없으면 안 먹는다. 한‧칠레FTA이후 감귤이 국내 시장점유율이 줄어들고 있다”라며 “맛이 좋은 감귤은 좋은 가격을 받고 있지만 맛이 없는 감귤은 폭락하고 있다. 이게 현실 아니냐”라고 성토했다.

허 의원은 또 “문제는 한‧베트남 FTA 체결하면서 아열대 과일이 증가될 수 밖에 없다. 감귤 시장점유율은 떨어질 수 밖에 없다”라며 “이렇게 본다면 감귤 5개년 혁신안과 관련해서는 우리도 맛으로 정책을 짤 수 밖에 없다. 소비자들도 맛으로 먹는다고 했다. 경쟁력을 높이고 제대로 가기 위해서는 감귤농업정책의 핵심 정의를 내리고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 한파나 폭설의 문제가 아니”라고 지적했다.

한편 제주도내 감귤농가들이 32년만의 기록적인 한파와 폭설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으면서 사상 최악의 감귤 조수입이 우려되고 있다.

특히 한파와 폭설 피해 감귤농가들을 위해 감귤 시장격리 사업을 벌이고 있으나 보상규모가 생산비의 10/1수준이어서 농가들에게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24일 제주도에 따르면 이달 현재까지 처리된 2015년산 노지감귤은 예상생산량 52만9000톤가운데 46만 5000톤이다. 6만여톤이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한파와 폭설로 언 피해를 입어 실제 이달말까지 예상 출하량은 3000톤 정도로 제주도는 예측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격하락에 이은 출하량 감소로 2015년산 제주감귤 조수입은 2014년산 제주감귤 조수입은 6707억원보다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14년산 제주감귤 조수입은 최근 5년 평균대비 10% 감소했고 제주감귤 조수입은 2009년 600억원대에 진입한 후 증가해 오다가 2013년 9014억원을 기록한 후 연속 내리막 길을 걷고 있다.

또 지난 15일부터 94억원을 투입해 언 피해 감귤 시장격리에 들어갔으나 대부분 농가들이 감귤출하를 마무리한 상태이고 보상 단가도 낮아 농가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도는 언 피해를 입은 감귤에 대해선 시장격리 물량을 한정하지 않고 농가 희망에 따라 전량 지원하기로 했다. 품종별로 노지와 시설재배를 구분해 ㎏당 노지온주 160원, 노지만감류 650원, 월동온주 350원, 하우스만감류 980원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 2014년산 노지감귤 10㎏당 생산비용이 평균 1만 1684만원임을 감안하면 보상규모는 생산비의 10/1수준이다.

이처럼 도내 농산물 조수입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는 감귤 조수입이 최악으로 예상되면서 올해 제주농촌경제 위축을 해소하기 위한 지원책 마련이 절실히 요구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주의 감귤정책에 대한 새로운 틀을 다시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