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는 바다 환경 보전과 지속가능한 해안변 관리를 위한 『신(新) 해양쓰레기 수거  처리 5개년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효율적인 해양쓰레기 처리 체계를 구축·처리해 나간다고 밝혔다.

해양쓰레기는 태풍·장마·기상악화 시 하천을 통해 유입되는 육상기인 쓰레기와 어업활동에서 발생되는 어구·어망·폐스티로폼 및 중국·육지부 등지에서 밀려오는 해상기인 쓰레기로 구분되며, 제주는 육상기인 쓰레기가 68%를 차지한다.

매년 제주도에는 약 2만여톤의 해양쓰레기가 발생하고 있으며, 제주시에서 발생하는 분량은 1만4천여톤으로 전도 발생량의 약 65%로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 발생량은 2012년 4,235톤, 2013년 5,144톤, 2014년 4,927톤, 2015년 11,307톤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올 가을 내습한 제18호 태풍(차바)의 영향으로 하천에서 떠내려 온 재해쓰레기 약 2,300여톤 처리에 한달이상 소요된 바 있다.

해양쓰레기는 특성상 오염원 인자를 특정하고, 오염자 부담원칙을 적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수분, 염분 등이 과다 함유되어있어 폐기물 처리시설 반입 제한은 물론, 재활용에도 어려움이 있으며, 최근 해양레저활동, 연안해역 이용 증가 등으로 해안가 해양쓰레기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제주시는 해양쓰레기의 효율적 처리를 위해 사전예방 중심으로 관리방식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쓰레기 발생 저감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및 해양환경 인식 제고를 위한 투자 및 제도적 기반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추진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제주시정의 역점시책인 ‘생활쓰레기 줄이기 종합대책’과 연계하여 5년간 총 284억원을 투입, 연간 발생량을 25% 줄이고, 현재 75%인 수거율을 100%까지 완전 수거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5대 추진전략과 17개 세부과제를 추진한다.

5대 추진전략는 ▲ 해양쓰레기 발생최소화 63억원(친환경 생분해성어구 확대, 개량어상자 확대, 해양쓰레기 소각장치 보급, 폐스티로폼 감용기 보급 확대) ▲ 해양쓰레기 처리능력 강화 140억원(해양쓰레기 수거사업, 인양쓰레기 수매사업, 운반차량 보강) ▲ 해양쓰레기 자원화 51억원(색상화 마대 분리수거, 중간집하장 확대, 해양환경미화원제 운영) ▲ 민간(단체) 참여 및 홍보강화 3억원(클린데이 운영, 해수욕장 클린타임제 운영, 바다가꾸기 365일 운동, 어업인 의식개혁운동) ▲ 미래변화대응 장기발전정책 27억원(제도적 시스템 구축, 선상 집하장 설치, 종합처리장 시설) 등이다.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