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 앞바다의 연산호 군락지가 심각하게 훼손된채 방치되고 있어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정마을회와 제주군사기지범도민대책위 등은 26일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도민의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정앞바다, 연산호 훼손 실태보고서> 발간을 발표했다.@김관모 기자

제주연산호조사TF팀은 26일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도민의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정 앞바다, 연산호 훼손 실태 보고서> 발간을 알리고, 자세한 내용을 소개했다.

이번 TF팀은 강정마을회와 제주군사기지 저지와 평화의 섬 실현을 위한 범도민 대책위원회, 제주해군기지전국대책회의 등에서 제주 연산호 군락을 10년 넘게 모니터링하기 위해 구성한 그룹이다.

'연산호'는 부드러운 겉면과 유연한 줄기구조를 갖춘 산호로 '바다의 꽃'이라 불린다. 2004년부터 문화재청은 제주 남부 연안의 연산호 군락지는 천연기념물 442호로 지정돼 관리해왔다.

강정 앞바다는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문섬 등 주변해역 생태계보전지역, 절대보전지역, 천연기념물 421호 문섬, 범섬천연보호구역, 절대보전연안지역, 천연기념물 제442호 제주연안연산호군락, 서귀포해양도립공원 등 7개 보호지역으로 구성돼 있다.

이중 제주해군기지 공사현장과 겹치는 구역은 모두 보후구역에서 해제되거나, 현상변경을 조건으로 개발허가를 받기도 했다.

TF팀과 환경단체 등은 2007년부터 연산호 서식실태 조사를 시작해 해군기지의 입지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했으며, 연산호 군락의 훼손을 우려했다. 그 결과 현재 연산호는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F팀은 "해군기지와 가장 인접한 강정등대가 가장 환경영향을 받은 곳으로 50% 이상의 지표생물군이 상대적으로 감소했다는 해군 보고서를 뒤늦게 확인했다"며 해군기지의 환경영향조사의 부실과 왜곡을 지적했다.

▲심하게 훼손된 연산호 군락지의 모습. 위는 2008년 당시 산호초의 모습. 아래는 2015년 변화된 산호초의 모습.@사진제공 제주연산호조사TFT
왼쪽은 2008년 당시 동굴입구. 오른쪽은 20015년 당시 동일 현장 @사진제공 제주연산호조사 TFT. 

이미 2007년부터 녹색연합에서 강정등대와 해군기지 예정부지 안에서 9종의 멸종위기야생식물의 서식을 확인했으며, 연산호군락 등을 확인했지만 해군에서는 이를 부인하거나 축소 발표했다는 것이다.

또한, 해군기지가 건설되는 과정에서 2012년 발견됐던 14종의 산호가 2013년 6종으로 대폭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전문가들은 공사과정에서 발생한 부유물과 침전물 등의 독성물질로 산호초의 먹이활동을 방해하고 있다는 조사를 알린 바도 있다.

하지만 해군본부는 "공사에 의한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일관되게 주장했다. 하지만 2015년 연산호생태사후조사에서 지표생물군의 감소량이 높다는 보고를 받았고, 그동안 공개를 거부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TF팀은 "연산호는 환경부와 문화재청, 멸종위기야생생물의국제간거래에관한협약에 따라 관리되는 귀중한 자산"이라며 "공사가 강행되는 과정에서 해군을 포함한 관계기관, 정부부처는 사회적 책임을 지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서 윤상훈 제주 전국대책회의 사무처장은 동영상과 사진들을 소개하며 현재 강정 앞바다의 연산호 훼손된 현황을 설명했다.

▲윤상훈 제주 전국대책회의 사무처장이 강정 앞바다의 연산호 훼손 실태가 담긴 동영상을 소개하며 현황을 설명하고 있다.@김관모 기자

윤상훈 사무처장은 "태풍 등으로 오탁수방지망이 훼손된 상태에서도 공사가 진행돼 수심 400~500미터 안의 산호들은 퇴적물에 쌓여서 죽어가고 있다"며 "이들이 앞으로 범섬이나 문섬에 어떤 영향을 줄지 모른다"고 우려했다.

또한 최혜영 강정친구들 사무국장은 "해군에서 친환경이라고 말하며 바다를 잘 보존하고 있다고 말할 때마다 강정에서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걱정이 많았다"며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해야겠다는 마음을 이 자리를 통해 다시 느끼게 됐다"고 밝혔다.

앞으로 강정마을회를 비롯한 시민사회단체들은 이번 실태보고서 발간을 계기로 강정 앞바다의 변화와 연산호 군락의 서식을 위협하는 요인에 대해 감시활동을 지속할 예정이다. 또한 연산호 군락의 보호와 관리를 마련하도록 정부와 제주도에 적극 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