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인구가 70만명을 눈앞에 두고 있지만 사회적 시스템은 여전히 도민에게 직접 와닿지 못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15일 2017 제주사회조사 및 사회지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사회조사는 도내 3천 가구, 총 5,829명(15세 이상 가구원 포함)을 대상으로 지난 6월 19일부터 7월 21일까지 조사한 내용을 집계한 것이다.

올해부터 도는 사회조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총 13개 영역을 나누어 2년 주기로 순환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올해 사회조사 분야는 인구와 가구, 가족, 교육, 보건 및 체육, 주거와 교통, 환경, 안전과 일자리 부문 등이다.

70만 향해가는 인구…주거환경은 ‘맑음’, 교통환경은 ‘흐림’

제주도의 총 인구수는 2016년 66만1,190명으로 2015년보다 3.09% 성장했다. 이는 전국 평균 인구성장률 0.35%와 비교할 때 8배나 높은 수치다. 또한 올해 11월까지 집계된 인구는 67만7,671명이었으며, ‘향후 10년 이상 제주도에 거주한다’는 응답이 89.1%를 보여 조만간 제주인구가 70만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도민들이 체감하는 환경은 온도차가 컸다. 먼저 주거환경 만족도는 57.1%로 양호했으며, 공해환경은 46.5%로 개선의 여지가 필요했다. 교통환경은 45.5%로 가장 낮았다.

주차공간‧대중교통 만족도 30~40%대

특히 사회기반에 대한 불편과 불안함은 여전했다. 먼저 거주지 내 주차공간에 대한 만족비율은 43.1%로 절반 이하에 그쳤다. 다만 불만족의 응답율이 23.1%로 작년 35.9%에 비해 나아진 점은 고무적이었다. 주차공간 불만족의 해결방안으로는 ‘자투리땅, 유휴지를 발굴해 활용’이 37.9%로 가장 많았다.

한편 통근 및 통학을 하는 도민은 전체의 66.8%였으며, 평균 소요시간은 편도 25.7분이었다. 이들 도민의 교통수단은 54.1%로 가장 높았고, 시내버스가 21.8%로 그 뒤를 이었다. 

이같이 대중교통의 낮은 이용률은 교통수단의 불편함이 큰 이유로 보인다. 교통이용 만족도에 따르면 시내버스 만족도는 41.2%였으며, 택시 35.6%, 시외버스 31.7%로 절반을 넘지 못했다. 특히 통근과 통학을 가장 많이 하는 10대와 30대의 만족도는 가장 낮았고, 불만족도는 가장 높았다.

다만 이번 조사는 지난 8월부터 시작된 대중교통체계 개편 전에 이뤄졌기 때문에 만족도에 대한 수치는 큰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도 기획조정실의 관계자도 “이번 조사는 정책 반영 전의 조사이기 때문에 해석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며 “필요하다면 위원회 회의를 통해 내년 사회조사에 다시금 조사영역에 넣을지는 논의해보겠다”고 말했다.

불편한 쓰레기 배출, 늘어나는 범죄

생활에서 가장 예민한 쓰레기 배출 문제와 범죄 문제도 여전히 갈 길이 멀었다.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 시행 이후 도민의 44.9%가 불편하다고 답했으며, 32%만이 편리해졌다고 말했다. 불편해진 이유 중 대부분이 ‘배출 요일을 맞추기 어렵다’(78.4%)였으며, ‘배출 시간을 맞추기 어렵다’는 응답도 52.2%로 높았다. 이 조사 역시 요일별 배출제 시범실시 기간 중에 조사된 내용이어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도는 전했다. 하지만 불편사항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으며, 과태료 부과 등 강제조항이 생기면서 불만사항에 대한 개선은 필요해 보인다.

한편, 제주도의 범죄 발생건수도 작년 총 3만5천여건에 달했으며, 교통범죄 1만5,698건, 폭력범죄 6,079건이어서 범죄불안요소가 커지고 있었다. 일상생활에서의 두려움은 '나 자신'(11%)이나 '배우자'(17.7%)에 대해서는 그다지 크지 않았지만, '자녀의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34.7%)은 높았다. 또한, 생활전반의 안전의식에서 교통사고나 폭력범죄, 성범죄 등의 안전의식은 각각 16.2%, 17.7%, 20%에 그쳐 불안을 느끼고 있음을 보였다.

임금노동자 66% 중 절반이 월 200만원 이하

제주도의 고용불안과 저임금 문제도 심각했다. 이번 사회조사 결과 직업이 있는 도민의 66.4%가 임금노동자였으며, 절반이 월평균 200만원 미만을 받고 있었다. 게다가 비임금근로자의 경우 52.4%가 수입이 1년전보다 나아지지 않았다고 답했다. 제주 경제와 노동시장이 경색돼있다는 방증이다.

또한 일자리 창출과 취업을 위해 도내 기업들이 해야할 역할로는 ‘고용안정과 정규직 보장’이 30.3%로 가장 많아 고용불안도도 높았다. 일자리 창출과 고용확대를 위한 제주도의 역할로는 ‘우량중소기업의 지원 강화’(25.3%), ‘창업지원 확대’(22.8%), ‘일자리창출 및 고용정책의 컨트롤타워 설치’(22.4%) 순이었다.

이중환 도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조사결과를 활용해 도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도민이 주인이 되는 제주를 만들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