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는
자연의 흐름을 담은
1년을 12절기와 12중기로 나누고
절기(節氣)는 한 달 중 월초에, 중기(中氣)는 월중에 해당한다.
24절기는 중국의 계절현상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에 한국의 기후와 꼭 들어맞지는 않는다.
날짜가 경도에 따라 변하므로 양력은 매년 같지만, 음력은 조금씩 달라지게 된다.
태양력을 사용하는 오늘날, 음력의 날짜가 계절과 차이가 많이 날 때는
윤달을 넣어 계절과 맞게 조정한다.
춘분에서 하지 사이를 봄,
하지에서 추분 사이를 여름, 추분에서 동지 사이를 가을,
동지에서 춘분 사이를 겨울이라 하여 4계절의 기본으로 삼는다.

한파는 물러설 줄 모르고 눈폭탄을 몰고 온 겨울왕국
물러가는 겨울이 아쉬운 듯 새로 시작되는 봄과 힘겨루기를 한다.
언땅을 뚫고 나오는 얼음새꽃 '세복수초',
차가운 비를 맞으며 봄소식 전하는 변산아씨 '변산바람꽃',
붉은피 토해내는 겨울의 여왕 '동백나무', 그리고 눈부시게 빛나는 '서리꽃'까지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을 시작으로
절기의 끝자락 대한까지 계절꽃들을 담았다.
**2월
1.입춘(立春) 24절기 중 첫번 째 봄의 시작을 알리는 날이다.




2.우수(雨水) 눈이 비로 변하고 얼음이 녹아 물이 되고 싹이 튼다.




**3월
3.경칩(驚蟄)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깨어나기 시작한다.






4.춘분(春分) 태양이 적도를 똑바로 비추고 있어 낮이 길어지기 시작한다.
이 시기는 바람이 강해 꽃샘추위가 찾아온다.



**4월
5.청명(淸明) 봄이 되어 삼라만상이 맑고 화창해 봄 농사를 준비한다.


6.곡우(穀雨) 봄비(농사비)가 내려 싹이 트고 농사가 시작된다.



**5월
7.입하(立夏) 여름이 시작된다.




8.소만(小滿) 햇빛이 충만하고 만물이 자라 본격적으로 농사가 시작된다.




**6월
9.망종(芒種) 곡식의 씨를 뿌리는 시기다.




10.하지(夏至) 12시에 태양이 가장 높게 있어 1년 중 낮시간이 가장 길다.



**7월
11.소서(小暑) 여름더위가 시작되고 우리나라는 장마전선이 걸쳐 습하고 비가 많이 온다.


12.대서(大暑) 더위가 극도에 달하는 시기다.


**8월
13.입추(立秋) 가을이 시작되어 서늘한 바람이 분다.



14.처서(處暑) 더위가 멈춰 일교차가 심해진다.



**9월
15.백로(白露) 가을로 들어서 이슬이 맺히기 시작한다.





16.추분(秋分) 낮과 밤이 길이가 똑 같아져 밤이 길어지는 시기다.



**10월
17.한로(寒露) 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여 농촌에서는 추수로 바쁜 시기다.



18.상강(霜降)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고 동물들은 겨울잠에 들어간다.



**11월
19.입동(입동) 겨울이 시작되는 날이다.


20.소설(小雪) 땅이 얼기 시작하고 차차 눈이 내리기 시작한다.

**12월
21.대설(大雪)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다.


22.동지(冬至) 추위가 점차 심해지고 1년 중 밤이 가장 길다.


**1월
23.소한(小寒) 본격적으로 추워지고 우리나라에서는 1년 중 가장 춥다.



24.대한(大寒) 겨울을 매듭짓는 추위의 절정기다.
- 제주의 설화와 전통문화가 녹아 있는 돌문화 공원의 실제 모습을 보고 싶네요. 제주 가면 꼭 가보겠습니다. 제대로 그 지역답게 가꾸거나 아예 원시 그대로의 모습으로 보존하는 것, 제주가 오래가는 방법일 것 같아요. 칼럼 쓰신 청소년의 눈에 담긴 돌문화 공원 다운 공원으로 유지해 가면 좋겠습니다.
- 제주에 온지 1년차라 오히려 눈에 띄었을것 같아요. 주변을 둘러보면 돌문화공원에서 일어나는 일들과 비슷한 일들이 많을텐데 그냥 그러려니 하고 넘어갔던 제 자신이 급 반성되네요. 새로운 시각으로 새로운 일깨움 많이많이 주세요^^
- 제주에 온지 2달된 17세 소년은 벌써 제주의 돌을, 자연을 사랑하게 된 것 같아요. 그래서 사람이 일궈가야하는 문화의 바탕엔 뭐가 있어야하는 지도 정확히 꿰뚫고 있고요. 그러니 당신은 이방인이 아니라 제주인인 듯요...^^
- 제주만의 고유함으로 관광자원화했으면 좋겠다는 글에 공감입니다. 제주에 대한 애정과 사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원이 재정비되길 바래요
- 어렸을때 벌초하러 갈때면 부모님이 입으시던 갈 옷이 그리 촌스럽다 여겼는데,., 제주 옛썰에서 갈옷에대한 이야기를 읽으니,제주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우수한 갈 옷을 장만해서 입고 싶어 지네쇼~~. 항상 좋은 글 감사합니다~^^.
- 도의원들은 선거때나 학교앞에 나와서 90도 인사하고 선거끝나니 코빼기도 안보이드만 그나저나 자치경찰은 언제까지 저렇게 방치할겁니까? 폐지하는게 맞지않나?
- 도의원들아 같이 pm 타자
- 자치...걍 국가 일원화로 가라
- 제12대 의원 당선인 상견례 및 의정설명회 개최
- 김광수 당선인, 제주 교육 정책 방향 발표한다
- 제주 피부관리 업소서 도수치료 ? ... 의료법 위반 잇따라 적발
- 탄소중립 시대 지속가능한 1차산업은…제7회 제주플러스포럼 24일 개최
- '오영훈 인수위', 4·3 미래 과제 원탁회의 개최
- 제주서중 , 학부모 참관 수업공개의날 운영
- [길에서 만난 들꽃이야기] 모쉬가 다니던 '산양큰엉곶'
- 수성부터 토성까지 6개 행성이 나란히 ... 25일 천체 관측회
- 진보당 제주 "11대 도의회, 표준도선료 조례 즉각 제정하라"
- 폐부표가 담배꽁초 휴지통으로 ... 도내 일부 편의점 설치
올해도 제주 야생화 잘 보여주세요.
항상 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