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기업들의 경기 체감이 2014년 이래 역대 최악으로 드러났다. 임금상승과 경쟁력 심화, 내수부진 등의 이유로 제주 비제조업 경제가 점점 얼어붙는 상태였다.

◎사업장들의 제주 경제 불안정 '역대 최저'

한국은행 제주본부가 31일 밝힌 '10월 제주지역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제주지역의 업황BSI(기업경기실사지수)가 64포인트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9월보다 5p 낮았으며, 2014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였다.

▲자료제공 한국은행 제주본부

BSI는 긍정적인 응답업체와 부정적인 응답업체의 차이를 지수로 계산한 수치다. 

11월 업황전망BSI는 60포인트로 7p로 더욱 낮았다. 올해 말 기업경기가 50포인트대까지 떨어질 수 있어 제주지역의 경기침체 위기가 심화되는 모양새다.

구체적으로는 10월 매출BSI는 61이었으며, 11월 매출 전망은 63으로 각각 지난달보다 3p, 9p씩 떨어졌다.

한편, 10월 채산성BSI는 71로 지난 9월과 같았던 반면, 자금사정 BSI와 인력사정 BSI는 지난달보다 각각 4p와 7p씩 상승했다.

◎제조업은 '개선', 비제조업은 '악화일로'

더 큰 문제는 BSI의 흐름이 점점 위축되고 있다는 점이다. 제주지역의 업황 BSI는 2016년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 2017년부터 크게 낮아지는 추세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은 차츰 경기 만족도가 높아지는 반면, 비제조업은 매출이나 채산성이 크게 감소하면서 비관적인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이번에 한국은행 제주본부가 조사한 제조업은 31개소이며, 비제조업 분야는 190개소였다. 즉, 제주경제의 약 86%를 차지하는 비제조업 분야가 불황을 면치 못하고 있다.

먼저 제조업 분야는 음식료품과 중화학공업, 기타 등 3개 업종이었다. 이들 업종은 매출이나 생산, 자금사정이 차츰 나아지면서 회복추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건설업과 도소매업, 운수업, 사업서비스, 기타 등으로 분류된 비제조업 분야 190개소는 매출이나 채산성 등에서 악화일로를 겪고 있었다. 

▲자료제공 한국은행 제주본부

◎급격한 임금상승, 경쟁의욕 위축...악순환 심각

문제는 건설업이나 도소매업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의 사드발 경제보복으로 개발붐이 한풀 꺾인 가운데, 미분양 주택 수가 여전히 많고, 주택매매가격 및 토지가격 상승 등으로 투자심리마저 위축된 상황이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 최저임금의 급격히 상승했으며, 제주도내 통상임금도 큰 폭으로 오르면서 불황 체감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이번에 조사한 업체들 중 20.5%가 인력난 및 인건비 상승을 가장 큰 경영애로사항으로 꼽았다. 이어서 경쟁심화(16.6%), 내수부진(14.4%)이었다. 자금부족을 이유로 드는 업체도 10.5%로 지난달보다 크게 늘었다.

▲자료제공 한국은행 제주본부

한국은행 제주본부는 "인력사정 BSI가 회복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사실상 인건비 상승이 경영애로의 가장 큰 요인으로 보인다"며 "최근 제주도의 인건비 상승폭이 크게 늘어나고 있어 경영에 큰 부담을 느끼는 것 같다"고 해석했다.

실제로 고용노동통계에 따르면 2018년도 제주도의 상용근로자 월급여액 상승률은 5.2%로 경제성장률이 가장 높았던 2016년 월급여액 상승률 4.2%보다 1%P 높았다. 작년 상승률 2.8%에 비해서도 2배 가까이 높은 상태.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제주경제 성장률은 2016년 7.3%를 기록한 이후 2017년 4.8%, 2018년 4.2%를 예상하고 있다. 경제성장이 크게 낮아지는데 비해 임금상승이 큰 폭으로 오르면서 기업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것.

▲자료출처 고용노동통계

특히 업체들은 자금부족과 경쟁심화의 부담을 크게 느끼고 있어 제주 경기의 전망마저 암울했다. 제주경제의 큰 축을 담당하던 관광과 건설 분야가 크게 위축되고 있으며, 소상공인 및 자영업 분야마저 별다른 대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도는 지난 10월부터 제주지역 경제 부흥책으로 각 분야별 주요대책을 논의하고 추진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지난 9월부터는 경제정책협의회를 구성하고 경제동향을 모니터링하면서 정책을 탄력적으로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일각에서는 제주 경제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큰 대안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