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International Baccalaureate)교육프로그램 도입을 제주도에 도입하는 정책을 두고 제주도의회 교육위원과 제주도교육감 간에 입장차가 여전히 컸다. 

▲김장영 제주도의회 교육의원(왼쪽)이 이석문 제주도교육감(오른쪽)에게 교육행정질문을 하고 있다.

20일 열린 제366회 제주도의회 정례회 교육행정질문에서 김장영 교육의원과 이석문 도교육감은 IB교육과정 도입을 두고 설전을 펼쳤다.

◎IB교육과정이냐, IB교육프로그램이냐

먼저 김장영 의원은 제주도교육청에서 IB를 두고 개념에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처음 도교육청에서 IB교육과정 계획을 밝혔다가 IB교육프로그램 운영이라고 말을 바꿨다는 것. 

김 의원은 "이혜정 서울대 교수나 박윤기 경북대 사범대학장, 이범 교육평론가 등 전문가들이 모두 교육과정이라고 하는데 왜 도교육청은 '교육과정'이라는 말을 쓰지 않고 '교육프로그램'이라고 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이냐"고 물었다.

그러자 이 교육감은 "교육과정이라고 말이 되면서 IBDP(IB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번역 과정에서 개념이 모두 달라서 오해가 있었다. 교육과정이라는 말보다는 프로그램이라고 쓰는게 낫다고 생각한 것"이라고 답했다.

김 의원은 "초중등교육법 23조에는 교육과정을 할 수 있지만 교육프로그램을 못하게 돼있다"며 "IB가 교육과정이 아니라면 법적인 문제가 없는지 도교육청에서 다시금 살펴달라"고 주문했다.

또한, 김장영 의원은 "애초 교육감이 공약에서는 초등학교 2곳, 중학교 1곳 등에 도입하겠다더니, 읍면지역 고등학교에 IB교육프로그램을 도입하겠다고 방향을 바꿨다"며 "학교분위기나 준비가 미흡해 선생 반대가 심하니 조삼모사로 가려는 게 아니냐"고 따져물었다.

그러자 이석문 교육감은 "초·중학교는 지금이라도 신청하면 할 수 있지만 신청이 없어서 열려놓고 공모하는 중"이라며 "고등학교는 읍면 학교를 중심으로 내년 하반기부터 지정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제주도의회 교육행정질문에서 이석문 교육감이 답하고 있다.@자료사진 제주도의회

◎"IBO, 한국어 번역은 긍정, 수학의 영어수업에 이견 있을 뿐"

김 의원은 IB교육과정은 외국대학 입시를 위한 준비과정일 뿐이라는 문제도 지적했다. 김 의원은 "IB교육과정은 제주의 국제학교에서도 NLC(노스런던컬리지에잇컬리지 제주)와 브랭섬홀 아시아 학교에서만 고등학교 과정에서 하고 있는 것이며, SJA와 한국국제학교(KIS) 제주캠퍼스는 추진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경기외고는 한 학급에 25명을 선발해서 IB교육과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영어로 수업하고 있다"며 "8개 반 중에 외국대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중심으로 1개반만 운영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도교육청에서는 IB교육프로그램 추진지원단을 구성하겠다고 했는데 아직까지 구성이 안된 것으로 안다"며 "도교육청이 준비조차 부족한 상황에서 밀어붙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이석문은 "지금 지적한 사항은 현재 IB 영어판을 이야기하는 것이며, 제주도교육청에서 추진하는 것은 IB 한국어판을 준비하는 것"이라며 "현재 IBO(IB사무국)와 논의해 한국어판 인증을 논의하고 있으며 긍정적인 답변을 받았다"고 밝혔다.

또한, "IBO와 한국어판 협약이 돼있지 않아서 보수적으로 행정할 수밖에 없었다"며 "일단 내부적으로 IB가 준비해놓고 협약이 완료되면 바로 추진지원단을 꾸려서 운영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현재 IBO와의 협약이 늦어지는 이유에 대해 이 교육감은 "싱가포르에 갔을 때 IBO 회장이 한국어 번역이 가능하다고 답했다"며 "다만 영어수업 말고 수학이나 연극 중 한 과목을 영어로 수업해야 한다. 이에 IBO에서 1년간은 먼저 수학을 영어로 수업하자고 했으며, 도교육청은 이것도 한국어로 번역을 해서 선생은 영어 제외하고 모두 한국어로 하자는 의견차가 있는 정도"라고 말했다.

◎"IB도입 대입 충돌...제주외고부터" VS "대입 충돌없다, 읍면고교부터"

한국에 IB교육프로그램 도입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는 입장을 두고도 두 사람 간의 의견이 큰 차이를 보였다.

김 의원은 "한국에 IB가 진정 필요한지, 지속적으로 이어갈 수 있는지를 두고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며 "일본에서도 IB의 일본어판 협약을 이뤄내고 200개 학교까지 확충하려고 하고 있지만 59곳밖에 못했으며 국공립학교는 5곳에 그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에서 IB를 추진하지 않으려는 이유가 일본처럼 대입 문제와 충돌 여지가 있어서 아니겠느냐는 지적.

반면, 이 교육감은 "일본과 달리 한국은 수시 중심으로도 대학에 갈 수 있기 때문에 IB나 IBDP(IB교육과정)은 대입과 충돌하지 않기 때문에 도입이 수월한 편"이라며 문제없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그러자 김 의원은 현실적인 대안으로 "초·중 도입을 하지 말고 고등학생 중 외국대학 입학을 희망하는 학생에 한해서 DP를 운영하거나, 제주외고에 시범운영하는 방식이 좋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하지만 이 교육감은 "외국대학 입학희망자에 한한 DP운영은 지금 IB도입보다 더 어렵다"고 난색을 표했다. 또한, "제주외고 시범운영은 생각이 없다"며 "한 학급 25명 이하로 운영이 가능한 읍면지역 고교에 운영하고 앞으로 읍면지역 고등학교를 선택해서 가는 학교로 만들겠다"고 반박했다.

제주도교육청은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약12억원을 투입해 도내 6개 학교에 IB교육프로그램을 도입해 시범운영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를 위해 도교육청은 ▲IB 교육프로그램 추진지원단 구성‧운영, ▲시범운영학교 지정 및 운영 지원, ▲IB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주체 간 이해 및 공감 확산, ▲IB 교육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다양한 협약 추진 등을 추진 중이다.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