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의 물결로 불리는 자원봉사는 그 영역이 다양화 됐지만 아직도 일부 분야에 치우쳐 있고 봉사자 수도 늘고 있지만 중간 이탈자도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은 아직 미흡한 셈이다.

자원봉사의 뿌리를 찾기 위해선 우선 ‘영국’의 사례를 찾으면 되는데 영국은 자원봉사활동을 국가의 확고한 ‘기간산업’으로서 입지를 다져왔다.

영국의 자원봉사는 기독교의 자선활동으로 출발했다. 처음엔 나병환자 등을 위한 봉사활동, 노예부역 폐지, 병원의 환경개선 등 활동영역은 좁게 시작됐으나 19세기 산업혁명 때 자원봉사 활동의 폭발적인 증가로 더욱 확산됐다.

이어 사무엘 바넷(Samuel Barnett)목사부부의 ‘인보관운동(Settlement House Movement)’으로 다수의 시민들이 슬럼지역 주민들과 우애관계를 맺고 원조를 전하는 ‘민간 차원의 사회복지활동’이 시작된다.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촉진된 계기로 ‘자원봉사활동의 출발점’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이후 영국은 ‘요람에서 무덤까지’를 보장하는 복지국가로의 면모를 갖추면서, 자원봉사활동은 국민보건 서비스제도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 서비스 영역’에 포함됐다.

자원봉사자들의 역할이 재평가 되고 조명받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석유파동 때였다. ‘복지국가 위기론’이 나오면서 정부는 많은 법적인 서비스를 자원봉사의 임무로 바꿨다.

정부 주도의 사회복지활동은 축소됐고, 민간 주도의 자원봉사활동이 활성화 됐다. 대신 정부는 자원봉사활동 단체에 면세 및 비과세, 자원봉사 활동 기부자에게는 소득공제 등의 혜택을 제공했다.

현재 영국에는 30만 곳 이상의 자원봉사기관과 300여곳의 자원봉사안내소가 있다. 정부는 내무부에 자원봉사과를 설치해 매해 GNP의 5% 이상을 자원봉사 발전에 투입하고 있다.

1997년 영국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전국 조사에 의하면 전체 영국 인구의 48%가 한 해 동안 공식적인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했다. 남녀 모두 동등한 참여율을 보였고 그 인구가 약 2200만명이다. 비공식적인 자원봉사활동까지 포함하면 참여율은 74%에 이른다고 보고하고 있다.

영국의 자원봉사활동은 ‘조직화’된 것이 특징이다. 오랜 전통으로 다져진 노하우로 정부는 전국차원의 효율적인 인프라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자원이 동원되고, 자원봉사자들이 적절한 기관과 임무에 배치된다.

우리나라의 자원봉사활동 뿌리는 전통사회로 거슬러 살펴볼 수 있다. 고대로부터 이어진 상부상조하는 두레와 농촌의 품앗이, ‘계’조직 등이 자원봉사활동의 초기 단계라 할 수 있다.

이후 현대적 의미의 자원봉사활동은 기독교 사상을 바탕으로 1903년에 설립된 대한 YMCA연맹과 1922년의 대한 YWCA연합회, 그 이전 설립된 대한적십자사를 들 수 있다. 이 시기는 그러나 종교적 성격의 자원봉사활동 형태에 머물렀다.

이후 일제시대에 들어 관 주도의 교화사업형태, 그리고 구국을 위한 학생운동, 광복 이후 문맹 퇴치를 위한 야학과 농촌봉사활동 등이 전개됐다. 1960년대 적십자운동을 중심으로 활성화된 자원봉사활동은 1971년 새마을운동으로 번졌고, 1978년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사회봉사안내소를 개설하면서 자원봉사자 개발과 활용이 가속화되기 시작했다.

본격적으로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된 건 1980년대다. 올림픽을 치르며 ‘조직적’인 자원봉사단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전국적으로 자원봉사가 인식됐다.

1990년대는 자원봉사가 더 체계화 된 시기였다. 자원봉사정보안내센터가 설립되고, 한국자원봉사연합회가 부산에서 창립하는 등 민간자원봉사단체가 1991년 최초로 설립되기도 했다.

자원봉사단체가 양적으로 증가하면서 자원봉사활동 진흥법안 제정 노력, 기업의 자운봉사활동 업무실적 반영 행자부의 지역종합자원봉사센터 등 사회 곳곳에서 자원봉사의 질을 높이려는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