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제주4·3평화문학상 시 부문 당선작으로 김병심 시인의 <눈 살 때의 일>이 선정됐다. 그러나 소설‧논픽션 부문에서는 당선작을 내지 못했다.

 

눈 살 때의 일

 

사월 볕 간잔지런한 색달리 천서동. 중문리 섯단마을로 도시락 싸고 오솔길 걷기. 늦여름 삼경에 내리던 동광 삼밧구석의 비거스렁이. 세 살 때 이른 아침 덜 깬 잠에 보았던 안덕면 상천리 비지남흘 뒤뜰의 애기 동백꽃, 동경에서 공부하고 온 옆집 오빠가 들려준 데미안이 씽클레어를 처음 만났을 때의 분위기는 남원면 한남리 빌레가름. 갓 따낸 첫물 든 옥수수의 냄새를 맡았던 신흥리의 물도왓. 친정집에서 쌔근거리면서 자는 아가의 나비잠, 던덕모루. 예쁜 누이에게 서툴게 고백하던 아홉밧 웃뜨르 삼촌. 백석이 나타샤와 함께 살았을 것 같은 가시리 새가름의 설원. 어머니가 끓여주던 된장국을 이방인인 그이가 끓여주던 한경면 조수리 근처. 매화차의 아리다는 맛을 사내의 순정이라고 가르쳐준 한경면 금악리 웃동네. 옛집에서 바라보던 남쪽 보리밭의 눈 내리는 돌담을 가졌던 성산면 고성리의 줴영밧. 명월리 빌레못으로 들어가는 순례자의 땀범벅이 된 큰아들. 해산하고 몸조리도 못 하고 물질하러 간 아내를 묻은 화북리 곤을동. 친어머니를 가슴에 묻은 아버지마저 내 가슴에 묻어야만 했던 애월읍 봉성, 어도리. 이른 아침 골목길의 소테우리가 어러렁~ 메아리만 남긴 애월면 어음리 동돌궤기. 지슬 껍데기 먹고 보리 볶아 먹던 누이가 탈 나서 돌담 하나 못 넘던 애월면 소길리 원동. 고성리 웃가름에 있던 외가의 초가집에서 먹던 감자. 동광 무등이왓 큰 넓궤 가까이 부지갱이꽃으로 소똥 말똥 헤집으며 밥 짓던 어머니가 불러주던 자장가. 깨어진 쪽박이란 뜻인 함박동, 성공한 사람이 하나도 없다던 그곳에서 태어나 삼촌들의 이야기를 쓸 수밖에 없던 소설가. 초여름 당신과 손잡고 바라보던 가파도와 마라도, 알뜨르까지의 밤배. 지금까지“폭삭 속아수다” 라고 말할 수밖에 없는 제주 삼촌들과 조케들, 잃어버린 마을.

제주4·3평화문학상 운영위원회(위원장 현기영)는 지난 3월16일, 3월29일 두 차례 제7회 제주4·3평화문학상 본심사위원회를 개최해 김병심 시인의 <눈 살 때의 일>을 시 부문 당선작으로 선정했다.

제주4‧3평화재단(이사장 양조훈)은 제주4·3평화문학상 공모 결과 국내‧외 335명 응모 총 2,166편의 작품이 접수됐다고 밝혔다. 각 부문 별로 보면 시 부문 2031편(200명), 소설 부문 119편(119명), 논픽션 부문 16편(16명)이다.

제주4·3평화문학상 운영위원회는 올해 2월부터 약 두 달 동안 예심과 본심을 거쳐 응모작들을 심사했다. 각 부문 심사위원들은 “무엇보다 4·3의 아픈 상처를 문학작품으로 승화시키고 평화와 인권·화해와 상생의 가치를 실현시킬 수 있는 작품에 주목했다”고 심사기준을 밝혔다.

김병심 시인

시 부문 심사위원들은 시 부문 당선작에 대해 “작품이 가지고 있는 정조의 편안함, 제주어에 스며있는 제주서정, 그 속에 빛나는 민중적 삶의 공간과 시간의 역사가 아름다웠다. 또한 자칫 흠이 될 수도 있는 요소를 잘 극복하고 주제의식과 시적 완성도를 견지했다”고 평가했다.

김병심 시인은 <눈 살 때의 일>에 대해 “평화로운 풍경을 지닌 마을이 제주4‧3으로 인해 잃어버린 마을로 변해버리고 개발 속에서 사라지면서 느끼는 안타까움을 표현한 작품”이라고 창작동기를 밝혔다.

김병심 시인은 1973년 제주에서 태어나 제주대학교 국문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1997년 [자유문학] 공모전에서 시 <발해를 꿈꾸며>로 시부문 신인상을 수상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