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춘 의원이 '제주공항 인프라 확충이 무산됐다'는 내용의 한국공항공사 내부자료를 공개해 진위여부에 대한 논란이 예상된다. 사진은 제주공항.
제주국제공항. (사진=제주투데이DB)

제주국제공항 내 관제탑이 새로 들어설 계획이 밝혀진 가운데 낙후된 관제 시스템의 개선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지난 7월 완료된 제주지방항공청의 ‘제주국제공항 관제동 신축사업 기본계획 수립용역’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오는 2023년 완공을 목표로 공항 내 관제탑 신축을 추진한다. 

이에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이하 비상도민회의)는 19일 논평을 내고 “관제탑의 신축만으로는 지금 제주공항의 활주로 수용 능력을 신장시키지 못한다”며 항공관제 시스템의 개선이 동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번 신축 계획이 등 떠밀려 추진하는 인상을 주지만 그나마 이제 첫 단추를 채우는 셈”이라면서도 “관제동 신축보다 더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항공교통 관제장비 시스템 개선작업 계획이 아직도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제주공항에는 인력 및 관제장비 충원 등 전반적인 항공관제 시스템을 개선해야 하는 과제가 산적했다”며 “인천공항의 경우 지난 2014년 2월 차세대 항공교통 관제시스템 구축 사업을 시작해 2017년 8월까지 3년 7개월에 걸쳐 완료했다. 관제시스템의 전면적인 개선에 상당한 시간과 준비가 필요하다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차세대 항공교통 관제시스템은 항로기상과 항공기 운항성능, 비행계획에 따라 최적의 운항경로 등의 정보를 제공해 도착 항공기가 공중에 머무르지 않고 바로 착륙할 수 있게끔 한다”며 “출발 항공기에 대해서도 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자동으로 이륙허가를 관리해 수동으로 사람이 관리하는 위험요소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 “인천공항처럼 항공관제와 지상관제를 분리 운영하면서 통합하는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며 “신축 관제탑에서 항공관제를 총괄하고 기존 관제탑을 지상 관제소로 활용해 보다 신속하고 안전한 관제 운영을 도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비상도민회의는 마지막으로 “항공관제탑의 비상시를 대비해 지상관제소를 항공관제까지 운용할 수 있는 백업관제소로도 활용하도록 인력과 장비를 충원해야 한다”며 “현재 제주공항 관제인력에 30여명 이상을 더 늘려 새로운 관제장비와 시스템 도입에 대비한 훈련과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지금의 제주공항에 관제장비 개선과 인력충원, 관제교육과 훈련 등이 관제탑 신축 공사와 함께 이뤄진다면 공항 수용력은 현 40회에서 45회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에 교차활주로 방식의 관제를 준비한다면 공항 하나를 더 지을 이유가 없어진다”고 거듭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