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 소음을 확인하기 위해 제주공항을 방문한 제2공항 피해지역 주민들(사진=김재훈 기자)
제2공항 피해지역 주민들. (사진=제주투데이DB)

제주특별자치도가 제2공항 건설과 관련해 내놓은 주민 상생 방안이 공항 연계 상업시설의 임대권 우선 부여가 유일해 반대 주민들의 반발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10일 도는 지난해 2월 제주연구원에 의뢰한 ‘제주지역 공항 운영권 참여방안 연구용역’이 마무리됐다며 최종보고서를 발표했다. 

도는 용역을 거쳐 제2공항 운영권 참여방안을 마련해 국토교통부의 기본계획에 반영한다는 취지였다. 

해당 용역에는 제2공항 운영 참여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참여방안, 투자 재원을 확보하는 방안 등이 포함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제주도가 제2공항 운영에 참여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국가-제주지역 상생 차원’을 첫째로 내세웠다.

해당 항목엔 “제2공항 건설에 따라 지역주민은 삶의 터전을 잃고 농수산업 이외의 다른 생계 대책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선 도가 공항 운영에 참여해 수익을 지역주민과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면서 “대표적인 공항 수익의 지역 공유방안은 제2공항 내 상업시설 및 주차장 등에 대한 시설 운영권을 제주도가 가지고 이를 공항 피해지역 주민에게 우선 임대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원희룡 제주도지사(오른쪽)가 제2공항 기본계획 반영과제를 발굴하기 위해 오늘 20일부터 6월 18일까지 도민의견수렴 기간에 들어간다.
원희룡 제주도지사(오른쪽). (사진=제주투데이DB)

제2공항이 들어서면서 생계 수단을 잃게 되는 농수산업 종사 주민들에게 상업시설과 주차장의 임대권을 우선으로 부여한다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지금까지 평생을 농사지었던 농민에게 ‘제2공항 여객 터미널에서 가게를 내게 해준다’는 것이 유일한 주민 상생 방안이다. 

이에 피해지역 주민은 “주민은 결코 살 수 없는 상생이며 허울뿐인 결과물”이라고 지적했다. 

김형주 난산리 이장은 “용역팀에서 과연 주민들 중에 장사 경험이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 고려했는지 의문”이라며 “농사만 지었던 사람들에겐 하루아침에 생소한 사람들 상대해서 장사한다는 게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그냥 보상받은 돈으로 망하라는 얘기나 마찬가지”라며 “젊은 사람들은 기술을 배우거나 해서 어떤 방향으로든 살 수 있겠지만 우리처럼 나이가 많은 사람들에겐 ‘보기좋은 떡’”이라고 토로했다. 

"우리는 이대로 살고 싶다." 제2공항 예정지인 성산읍 온평리 주민들이 4일 오전 제주도청 앞에서 제2공항 건설 사업 철회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사진=김재훈 기자)
지난해 11월4일 제2공항 예정지인 성산읍 온평리 주민들이 제주도청 앞에서 "우리는 이대로 살고 싶다"며 제2공항 건설 사업 철회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사진=제주투데이DB)

강원보 제2공항성산읍반대대책위원회 집행위원장은 “상생이라는 게 서로 산다는 것인데 그 방안은 농사짓는 사람한테 천직을 버리고 죽으라는 것”이라며 “애초에 제2공항 추진 여부가 결정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를 기정사실화하는 용역 결과에 대해선 대응할 가치도 없다”고 분개했다. 

시민사회는 “반대 측 도민을 현혹하기 위한 허위 보고서”라는 입장이다. 

홍영철 제주참여환경연대 공동대표는 “많은 수의 주민이 상업 경험도 없는 데다 공항 특성상 터미널 내 상업시설은 임대료도 높아 이를 감당할 주민이 많지 않을 것”이라며 “결국 주민들은 임대권을 부여받아서 프리미엄 붙여서 되파는 게 그나마 최선일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문상빈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 정책위원장은 “공항공사나 국토부와 선행적인 계약을 맺지도 않은 상황에서 내놓은 공항 운영권 참여방안 용역 결과는 현실 가능성이 매우 낮은 도의 희망 사항에 불과하다. 아무 의미 없는 보고서”라고 딱 잘라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