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신화산책 연재 작가 두 친구. 여연(왼쪽)과 홍죽희(오른쪽). (사진=김일영 작가)
제주신화산책 연재 작가 두 친구. 여연(왼쪽)과 홍죽희(오른쪽). (사진=김일영 작가)

50대 동갑내기 두 친구가 제주의 신당을 찾아 함께 걷는다. 제주의 신을 찾는 순례길에 오른 셈. 그 길에서 마을을 지켜준 신들과 만나기도 하고 30년 전 20대 청년의 ‘나‘를 만나기도 한다. 1만8천의 신과 함께 해온 제주인의 삶과 지금의 나 그리고 우리의 삶은 어떻게 맞닿아 있을까. 매주 금요일 ‘제주신화산책’ 코너에서 작가 여연의 ‘한라산의 신들’과 작가 홍죽희의 ‘제주의 돌에서 신성을 만나다’를 돌아가며 싣는다. <편집자주>

백주또와 소천국의 아들들은 성장한 후 제주의 여러 마을로 퍼져 그 마을의 당신(堂神)이 되었다. 소천국의 아들들이 여러 마을의 당신이 되는 과정은 비슷하다. 부모의 품을 떠나 한라산 자락에서 사냥을 하면서 정착할 곳을 찾아 떠돌아다닌다. 그러다 마을을 형성하기에 좋은 입지를 찾아내면 그곳에 좌정하여 신으로 대접을 받는다. 물론 제주를 떠나 좀 더 넓은 곳으로 진출하고 종횡무진 활약하다 돌아온 아들도 없지 않다. 

소천국 아들들에 관한 신화를 정리하다 보니 그들을 대체로 두 부류로 나눌 수 있었다. 요즘 식으로 말하면 뭐든지 잘하는 착한 아들과 버릇없고 제멋대로인 못된 아들이다. 사실 18명의 아들 중에는 뭐라고 특징지을 수 없는 자식들도 있었다. 오랜 세월 시간이 흐르는 동안 이야기가 유실되거나 또는 제대로 형성되지 못해서 좌정한 당의 이름 정도만 남아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성격이 뚜렷한 자식들만을 이야기의 대상으로 삼았다.   

동새미하로산당 입구. (사진=김일영 작가)
동새미하로산당 입구. (사진=김일영 작가)

착한 아들들은 ‘글도 좋고 활도 좋다’고 하고 있으니 공부도 잘하고 무술도 뛰어나 다재다능한 자식들이다. 이에 비해 버릇없는 아들들은 하나같이 부모를 노엽게 하고, 화가 난 부모가 자식을 돌함에 집어넣어 바다에 던져버리는 서사로 이어진다. 

도대체 어떤 사연이 있기에? 이에 대한 이야기는 뒤로 넘길 예정이다. 우선 소천국의 착한 아들들을 만나보고 그들이 어떻게 마을에 정착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들의 정착기가 마을 사람들의 삶과 문화에 어떻게 연결되는지 들여다보려 한다. 

글도 잘하고 활도 잘 쏘아 못하는 게 없는 데다가 앉아서 천 리를 보고 만 리를 보는 소천국의 아들들은 교래리 도리산신또, 와흘리 고평동 궷드르 산신또, 와흘리 노늘 한거리 하로산또, 동회천 새미하로산또이다. 이들 중 동회천 새미하로산또와 와흘리 노늘 한거리 하로산또를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삼았다. 이 두 산신은 소천국의 열두 번째와 열한 번째 아들이며 좌정하고 있는 마을도 서로 이웃해 있다.

#신화로 풀어보는 새미마을 이야기

내가 사는 도련마을에도 소천국의 아들인 산신이 좌정하고 있다. 바로 열세 번째 아들인 도련드르 산신또이다. 도련드르 산신또가 좌정하고 있는 당팟 개당은 당도 번듯하고, 신목인 팽나무도 만년폭낭으로서 손색이 없다. 바로 앞에 너른 운동장과 4·3희생자 위령비가 있는 공원이기도 하다.

그런데 아쉽게도 전해지는 당신화가 없다. 그래서 당 신화에 관심이 많은 나로서는 새미하로산또가 좌정하고 있는 동회천과 노늘 한거리 하로산또가 좌정하고 있는 와흘에 더 자주 걸음하게 된다.

동새미하로산당의 신목과 제단. 팽나무는 늦은 봄에야 잎을 틔운다. (사진=김일영 작가)
동새미하로산당의 신목과 제단. 팽나무는 늦은 봄에야 잎을 틔운다. (사진=김일영 작가)

‘동새미’는 동회천 마을의 옛 이름이다. 원래 샘물이 많이 나서 새미(샘물)마을이라고 했고, 새미마을 동쪽에 있다고 해서 동새미라고 불렀다. 그런데 일제 강점기에 한자로 표기하면서 ‘회천’이 되었다고 한다. 예쁜 이름들이 한자 표기로 딱딱하고 멋없게 되었으니 안타깝기 그지없다. 

동새미하로산당의 당 신화는 현용준의 <제주도무속자료사전>에 채록되어 있으며, 진성기의 <제주도무가본풀이사전>에도 실려 있다. 두 자료집에 실린 본풀이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정리하다 보니, 새미하로산또가 요즘 쓰는 말로 ‘엄친아’라는 생각이 들었다. 

새미하로산또는 백주또와 소천국의 열두째 아들로 어려서 천자문, 동몽선습, 명심보감을 통달하였다. 그는 일천 장의 벼룻돌에 삼천 장의 먹을 갈아 글발을 휘날리며 부모를 기쁘게 하였다. 열두째 아들이 부모 곁을 떠날 때가 되니 어머님께 어디를 가야 할지 여쭈었다. 

“너 마음대로 가보라.”

알아서 찾아가라는 대답을 듣고 열두째 아들은 오소리 가죽으로 만든 감투에 범의 가죽으로 만든 팔찌를 차고 늬눈이반둥갱이를 데려 굴미굴산아야산 노조방산으로 올라갔다. 열두째 아들이 한라산과 오름을 누비며 활을 쏘는데, 한 대를 쏘면 큰 사슴이 쓰러지고 또 한 대를 쏘면 작은 사슴이 넘어갔다. 

이렇게 사냥을 하고 다니다가 거친오름 상상봉오리에 앉아 천기지기를 짚었는데 새미(回泉) 마을이 사냥감도 넉넉하고 물도 많아 좌정처로 적당하였다. 거기다가 먼저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신도 없었다. 열두째 아들은 너른 들판의 천년 팽나무 아래 앉아 마을 어른들에게 일렀다. 

“너의 마을에 임자가 없을 성싶으니 내가 차지하겠다. 장적 호적 문서를 꾸며드리라.”

새미마을 사람들이 열두째 아들을 신으로 받드니 동새미 하로산또는 ‘낳는 날 생산 차지하고 죽는 날 물고 차지한 산신일월조상’이 되었다. 동새미 하로산또는 정월 열나흗날 대제일을 받고 칠월 열나흗날 백중제를 받는 본향신이다.

동새미 하로산또의 부인은 백주아기씨로 서당국서 솟아난 큰도안전 큰도부인이다. 남선밧(서회천)에 좌정하고 있어 남선밧일뤠중저라 한다. 남선밧일뤠중저는 아기를 돌봐주는 신으로 여러 업저지신(아기를 돌보는 하위신)들을 거느리고 있다. 특히 아기의 피부병을 관장하는 신으로 물비리 당비리(옴), 너벅지시(넓적하게 퍼지는 허물), 홍허물(벌건 허물)을 막아준다. 

겨울 햇살 아래 신목의 그림자가 당 울타리 안에 가득 찼다. (사진=김일영 작가)
겨울 햇살 아래 신목의 그림자가 당 울타리 안에 가득 찼다. (사진=김일영 작가)

신화에 의하면, 열두째 아들은 늬눈이반둥갱이를 데리고 사냥하면서 좌정할 곳을 찾아다닌다. 늬눈이반둥갱이는 미간에 흰 점이 두 개 있어 눈이 네 개로 보이기 때문에 이름 붙여진 용맹한 사냥개다.

제주 토종개라고 하는데 주변에서 볼 수 없어서 인터넷에 검색해 보니 다행히도 늬눈이반둥갱이라는 사진을 볼 수 있었다. 검은 털 바탕에 동그란 흰 털이 미간에 두 개 있으니까 정말 눈이 네 개처럼 보였다. ‘진돗개’를 검색해도 늬눈이반둥갱이처럼 생긴 개들이 제법 등장한다.   

열두째 아들은 새미마을이 사냥감도 풍부하고 물도 많은 데다가 무엇보다도 먼저 차지한 신이 없어 좌정처로 정했다. 신화에서는 먼저 차지한 신이 없다는 말로 ‘공안ᄒᆞ여’라고 표현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적절하게 풀이하여 제시하였다. 

제주는 1만8천 신들의 고향이니 곳곳에 신들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그래서 새로 들어와 좌정할 곳을 찾는 신은 먼저 좌정한 신이 있는지 없는지 살펴야 한다. 이미 자리를 차지한 신이 있는데도 들어서려 하면 전쟁을 감수해야 할 수도 있다. 

동새미 하로산당. (사진=김일영 작가)
동새미 하로산당. (사진=김일영 작가)

열두째 아들은 마침 새미마을에 자리를 차지한 신이 없어, 그러니까 공석이어서 바로 들어설 수 있었다. 게다가 자손들도 하로산또의 명에 따라 호적 장적 문서를 꾸며 올리며 신으로 받드니 굳이 자신의 존재를 확인시키기 위해 풍운조화를 일으킬 필요도 없었다.

좌정하는 데 또 하나 중요하게 고려한 것은 바로 ‘물이 있는가’ 하는 점이다. 열두째 아들은 물이 풍부하여 새미마을을 살기 좋은 곳으로 판단하였다. 마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물이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마을에서 모시는 신은 바로 그 마을의 ‘설촌 조상’이고, 설촌 조상들은 물이 있는 곳을 중심으로 마을을 형성하였을 것이다. 이러한 서사가 신화 속에 드러난 것이다. 

동새미 하로산또는 마을의 호적과 장적, 생산과 물고를 차지한 본향신이 되었다. ‘호적’은 산 사람의 문서이고, ‘장적’은 죽은 사람의 문서이며 ‘생산’은 경제활동이고, ‘물고’는 사건사고를 말한다. 그러니까 동새미 하로산또는 마을의 모든 것을 관장하는 신이 되었다는 말이다. 그리고 마을의 모든 일들을 관장하는 신을 ‘본향신’이라 한다. 

여연. (사진=작가 여연 제공)
여연. (사진=작가 여연 제공)

작가 여연. 

제주와 부산에서 30여 년 국어교사로 재직하였고, 퇴직 후에는 고향 제주로 돌아와 신화 연구로 인생 2막을 펼치고 있다. 생애 첫 작품으로 2016년 <제주의 파랑새>(각 펴냄, 2016)를 출판하였고, 이 책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2017년 출판산업진흥을 위해 실시한 ‘도깨비 책방’ 도서에 선정되었다. ‘제주신화연구소’의 신당 답사를 주도하면서, 답사 내용을 바탕으로 민속학자 문무병과 공저로 <신화와 함께하는 제주 당올레>(알렙 펴냄, 2017)을 출판하였는데, 이 책은 ‘세종도서’에 선정되었다. 제주신화 연구모임을 1년간 진행하고 2018년 제주신화 전반을 아우른 책 <조근조근 제주신화>(지노 펴냄, 2018)를 3권으로 출간하였고 서울과 부산, 제주에서 북콘서트를 열었다. 2019년 하반기부터 제주신화 테마길을 여는 등 제주 신화 스토리텔링 연구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작가 김일영.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나 중학교 2학년 때 집에 있던 카메라를 시작으로 사진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여행사 직원으로 근무하면서 전 세계를 여행했다. 2012년 제주로 이주해 ‘여행과치유’ 회원으로 활동을 시작, 회원들과 제주도 중산간마을을 답사하고 기록한 <제주시 중산간마을>(공저, 류가헌 펴냄, 2018)과 <제주의 성숲 당올레111>(공저, 황금알 펴냄, 2020)을 펴냈다. 또 제주 중산간마을 사진전과 농협아동후원 전시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탐나는여행 대표이며 ‘여행과치유’ ‘제주신화연구소’ 회원으로 제주의 중산간마을과 신당을 찾고 기록하면서 제주의 삶을 느끼고 이해하려는 입도 8년차 제주도민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