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신화산책 연재 작가 두 친구. 여연(왼쪽)과 홍죽희(오른쪽). (사진=김일영 작가)
제주신화산책 연재 작가 두 친구. 여연(왼쪽)과 홍죽희(오른쪽). (사진=김일영 작가)

50대 동갑내기 두 친구가 제주의 신당을 찾아 함께 걷는다. 제주의 신을 찾는 순례길에 오른 셈. 그 길에서 마을을 지켜준 신들과 만나기도 하고 30년 전 20대 청년의 ‘나‘를 만나기도 한다. 1만8천의 신과 함께 해온 제주인의 삶과 지금의 나 그리고 우리의 삶은 어떻게 맞닿아 있을까. 매주 금요일 ‘제주신화산책’ 코너에서 작가 여연의 ‘한라산의 신들’과 작가 홍죽희의 ‘제주의 돌에서 신성을 만나다’를 돌아가며 싣는다. <편집자주>

나는 동새미하로산또를 잘생기고 늠름한 산신으로 상상한다. 동새미하로산또가 좌정하고 있는 신당의 신목이 워낙에 멋있고 힘이 넘치기 때문이다. 나의 안내로 처음 동새미하로산당에 온 지인들은 모두 멋있는 신목을 보면서 탄성을 올리곤 했다. 

근육이 툭툭 불거져 나온 몸통은 두세 명이 다 같이 팔을 뻗어 이어야 안을 수 있고, 하늘로 뻗어 꿈틀거리는 가지는 몇 년의 세월을 버티어왔는지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다. 현재 동새미하로산당의 팽나무는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다. 

동새미 하로산당. (사진=김일영 작가)
동새미 하로산당. (사진=김일영 작가)

당으로 들어가는 올레는 과수원 가장자리 길이기도 하다. 겨울날 과수원 옆으로 걸어가다 보면 노랗게 익어가는 귤들이 가득 달려있어 괜히 입맛을 다시게 된다. 과수원길이 끝난 즈음 넓게 울타리가 둘러진 동새미하로산당에 들어서게 된다. 

처음 동새미하로산당에 갔을 때도 먼저 웅장하게 가지를 뻗고 있는 신목 팽나무에 시선을 빼앗겼고, 그다음에는 아담하고 예쁜 당 마당과 주변 풍경에 감탄하였다. 50여 평 정도 되는 마당에 제단이 3단으로 깔끔하게 정비되어 있고, 당 울타리 뒤쪽에는 대나무들이 병풍처럼 둘러싸 아늑한 분위기를 자아내었다. 

팽나무 옆에 있는 대나무에는 하얀 종이들이 걸려 있는데, 이는 시집온 사람들이 예전 마을에서 섬겼던 신을 같이 모시면서 걸어놓은 것이라 한다. 어머니들은 시집온 후에도 전에 모셨던 신을 섬기기 위해 친정 나들이를 하곤 했다. 토산의 여자들은 시집을 가게 되면 딸들의 순결을 지켜주는 뱀신 방울아기씨를 모시고 가서 따로 당을 설립하고 섬겼다. 방울아기씨를 모시는 여드렛당(매월 8·18·28일 제를 올리는 신당;편집자)이 서귀포 전역으로 퍼지게 된 이유이다. 

그런데 새미하로산당에는 당 한쪽 구석에 지전(무당이 소원을 빌 때 쓰는 것으로 한지 등 긴 종이를 오려 둥글둥글하게 잇대어 동전 모양으로 만든 것;편집자)·물색(물감을 들인 천;편집자)을 걸어 놓는 것으로 전에 모셨던 신을 함께 섬길 수 있게 했다. 여러모로 신앙민들을 편하게 배려한 조치라 여겨진다. 또한 시집오기 전 모셨던 신들도 잊지 않고 계속해서 섬기는 어머니들의 신앙심이 느껴지는 장면이기도 하다.

시집온 사람들이 친정에서 모셨던 신을 위해 걸어놓은 지전물색. (사진=김일영 작가)
시집온 사람들이 친정에서 모셨던 신을 위해 걸어놓은 지전물색. (사진=김일영 작가)

#동새미하로산당의 사농놀이

신화 속에서 동새미하로산또를 ‘산신일월조상’이라 하고 있다. ‘산신’은 사냥신 혹은 목축신이었다는 뜻이고, ‘일월’은 조상신을 나타내는 말이니, 동새미하로산또는 사냥을 하던 조상신인 셈이다. 산신이 조상신이라는 말은 오랜 옛날 새미마을 사람들이 사냥을 하며 살았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러니까 새미마을은 수렵사회부터 사람의 삶이 이어져 온 공간임을 신화를 통해서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는 사냥신이 아니라 본향신이면서 농경신의 직능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새해 음력 정월 열나흘에 마을에서 신년과세제를 여는데, 제단에 고기를 일절 올리지 않기 때문이다. 사냥신으로서의 신격을 중요시한다면 육식 신으로 고기를 대접하고 있을 것이다. 

그래도 본래 사냥신이었기 때문에 새해에 신께 세배를 올리는 ‘신년과세제’ 말미에 사농놀이(산신놀이)를 펼쳤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는 동새미하로산당의 당굿이 이어지지 않아 사농놀이를 볼 수 없다. 다만 예전에 제법 큰 규모의 당굿이 있었고 사농놀이가 행해졌다는 것을 문무병의 <제주도 본향당 신앙과 본풀이>에 게시된 사진 자료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사농놀이는 몇 년 전에 와산 불돗당의 당굿에서 체험할 수 있었다. 와산에서 보았던 장면과 사진 자료를 통해서 재구성해 본 사농놀이는 이렇다. 

먼저는 산신제상을 차리고, 닭 한 마리를 사냥감 노루 대용으로 마련한다. 사냥꾼으로 분장한 소미(큰심방을 돕는 작은 심방;편집자)들이 막대기로 만든 ‘마사기총’을 들고 근처 밭이며 숲을 돌아다니는데, 한라산 전체를 사냥터로 상정한 행위이다. 둘은 그렇게 사냥하는 흉내를 내다가 노루 대용물인 닭을 서로가 잡았다고 다투면서 제장에 나타난다. 그러면 수심방이 둘을 중재하고 고기를 분배하여 나눠 가지자고 한다. 

이렇게 서로 다투는 장면을 연출하고 나서 수심방의 중재에 따라 닭을 잡고 더운 피는 산신에게 올린다. 그리고 털이나 창자 찌꺼기들은 ‘산신군졸’ 하위신들의 몫으로 흩뿌리고, 모이주머니를 잘게 나누어 마을 어른 순으로 한 점씩 인정을 받으며 나눠준다. 

이때 먹은 고기는 모든 병을 낫게 하고, 모든 액을 막아주는 신의 음식이라 한다. 그리고 인정은 신께 올리는 정성을 말하는 것으로 굿마당에서 인정을 받을 때는 단골들의 사정에 따라 천 원, 오천 원, 혹은 만 원짜리 지폐를 올리곤 한다. 

이러한 사농놀이는 수렵사회의 한 장면을 연출한 것이다. 소미들이 닭(노루 대용물)을 서로 자기가 잡았다고 다투는 것도 실제 사냥과 무관하지 않다. 사냥할 때 서로 자기가 잡았다고 다투는 경우가 종종 생기지 않았겠는가. 이러한 다툼을 중재하기 위해서 이와 관련한 규칙도 생겨난 모양이다. 

고광민의 <제주생활사>에 의하면, 사냥꾼이 사냥한 노루나 사슴을 지고 다니는 걸 본 사람은 누구라도 분배를 요구할 권리가 있었다고 한다. 사냥한 동물을 분해하고 나누어 갖는 일은 ‘분육’이라고 했다. 사냥꾼들은 사냥물을 분육으로 뺏기지 않으려고 혼자 숨어서 해체하기도 하였다. 일단 사냥감을 분해한 다음에는 분배를 요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사농놀이에서 닭은 사냥감 노루의 대용물로 쓰인다. (사진=김일영 작가)
사농놀이에서 닭은 사냥감 노루의 대용물로 쓰인다. (사진=김일영 작가)

동새미하로산당에서는 매년 음력 정월 열나흘에 신년과세제를 올린다. 신께 세배를 올리는 것이다. 그런데 옆 동네인 와흘에서는 마을사람들 뿐 아니라 관심 있는 연구자들까지 모여들어 새해 명절을 맞이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큰심방이 하루 종일 당굿을 주재하고, 동네 사람들은 국수 등을 준비해서 사람들을 대접한다. 근처에 살고 있는 나 역시 이날이 되면 이웃 마을 잔칫집에 가는 것처럼 들뜬 기분으로 집을 나서곤 한다. 시간 여유가 있을 때는 오래 눌러앉아 당굿을 구경하고, 바쁠 때는 점심 때 쯤에 가서 국수 한 그릇만 얻어먹고 오기도 한다. 

돌아오는 길에 동새미하로산당 들러보면 마을 여자들만 제물을 마련하여 조용히 제를 지내고 있었다. 너무 조용하여 들어서기도 멋쩍을 정도였다. 올해는 사진이라도 찍어두려고 점심때쯤 동새미하로산당에 먼저 들렀는데, 벌써 제를 끝내고 돌아가 버렸는지 당 안엔 아무도 남아있지 않았다. 해가 갈수록 점점 당제의 규모가 축소되는 모양새다.

원래 마을 당굿은 남녀 가리지 않고 참석하는 풍습이었는데 조선시대에 유교적 질서를 강요하면서 남자들이 유교식으로 지내는 포제가 생겨났다. 그래서 당굿은 여성들 중심으로 치러지고, 남성들은 따로 포제를 지내는 마을이 많다. 그런데도 송당이나 와흘은 예전부터 이어온 풍습에 따라 남녀 같이 참여하는 당굿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동새미마을은 이제 당굿이 사라졌고 남자들은 따로 화천사에서 포제를 올리는 것으로 바뀌었다. 송당이나 와흘과 달리 새미마을의 당굿이 사라진 이유가 여기에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심방을 모시는 데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이 표면적인 이유인 것 같은데, 무엇이든 힘이 분산되면 약해지지 않겠는가. 

여연. (사진=작가 여연 제공)

작가 여연. 

제주와 부산에서 30여 년 국어교사로 재직하였고, 퇴직 후에는 고향 제주로 돌아와 신화 연구로 인생 2막을 펼치고 있다. 생애 첫 작품으로 2016년 <제주의 파랑새>(각 펴냄, 2016)를 출판하였고, 이 책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2017년 출판산업진흥을 위해 실시한 ‘도깨비 책방’ 도서에 선정되었다. ‘제주신화연구소’의 신당 답사를 주도하면서, 답사 내용을 바탕으로 민속학자 문무병과 공저로 <신화와 함께하는 제주 당올레>(알렙 펴냄, 2017)을 출판하였는데, 이 책은 ‘세종도서’에 선정되었다. 제주신화 연구모임을 1년간 진행하고 2018년 제주신화 전반을 아우른 책 <조근조근 제주신화>(지노 펴냄, 2018)를 3권으로 출간하였고 서울과 부산, 제주에서 북콘서트를 열었다. 2019년 하반기부터 제주신화 테마길을 여는 등 제주 신화 스토리텔링 연구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작가 김일영.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나 중학교 2학년 때 집에 있던 카메라를 시작으로 사진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여행사 직원으로 근무하면서 전 세계를 여행했다. 2012년 제주로 이주해 ‘여행과치유’ 회원으로 활동을 시작, 회원들과 제주도 중산간마을을 답사하고 기록한 <제주시 중산간마을>(공저, 류가헌 펴냄, 2018)과 <제주의 성숲 당올레111>(공저, 황금알 펴냄, 2020)을 펴냈다. 또 제주 중산간마을 사진전과 농협아동후원 전시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탐나는여행 대표이며 ‘여행과치유’ ‘제주신화연구소’ 회원으로 제주의 중산간마을과 신당을 찾고 기록하면서 제주의 삶을 느끼고 이해하려는 입도 8년차 제주도민이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