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신화산책 동갑내기 친구 작가 홍죽희와 여연. (사진=김일영 작가)
제주신화산책 동갑내기 친구 작가 홍죽희와 여연. (사진=김일영 작가)

50대 동갑내기 두 친구가 제주의 신당을 찾아 함께 걷는다. 제주의 신을 찾는 순례길에 오른 셈. 그 길에서 마을을 지켜준 신들과 만나기도 하고 30년 전 20대 청년의 ‘나‘를 만나기도 한다. 1만8천의 신과 함께 해온 제주인의 삶과 지금의 나 그리고 우리의 삶은 어떻게 맞닿아 있을까. 매주 금요일 ‘제주신화산책’ 코너에서 작가 여연의 ‘한라산의 신들’과 작가 홍죽희의 ‘제주의 돌에서 신성을 만나다’를 돌아가며 싣는다. <편집자주>

‘제주도’하면 가장 먼저 ‘한라산’이 떠오른다. 아니, 한라산이 곧 제주도라 할 수 있다. 제주도라는 섬 속에 한라산이 있는 게 아니라, 한라산 자락이 곧 제주라는 섬이다.

제주의 섬사람이라면 너나없이 한라의 산자락에서 태어나 척박한 땅을 일구거나 바당밭(해녀들이 물질할 수 있는 바다;옮긴이)을 오가면서 삶을 영위하다 때가 되면 한라의 산자락에 놓인 오름에 몸을 의탁한다.

제주 사람들의 삶의 본향이자 마음의 안식처인 한라산. (사진=김일영 작가)
제주 사람들의 삶의 본향이자 마음의 안식처인 한라산. (사진=김일영 작가)

제주에서는 한두 군데를 빼고 대부분 마을에서 한라산을 볼 수 있다. 아침에 일어나 창을 열면 제일 먼저 마주하는 것이 한라산이다. 그래서 한라산이 마당 안에 들어온 것처럼 가깝고 선명하게 보이면 오늘은 밭일하기 안성맞춤이구나 하고, 안개가 자욱하여 산의 모습이 제대로 보이지 않으면 오늘은 물질할 수 없겠구나 가늠하면서 제주사람들은 하루하루를 살아왔다. 

한라산이 제일 아름답게 보이는 마을에서 미인이 난다는 속설도 있다. 제주사람들은 대부분 태어나면서부터 자기가 자란 마을에서 바라본 한라산의 풍광을 제일 아름답다고 생각한다.

눈에 익으면 당연히 친숙하게 되고 친숙하다는 것은 낯설지 않다는 말이기 때문에 자기네 마을에서 바라본 한라산이 제일 아름답다는 말은 결코 잘못된 게 아니다. 어쨌거나 제주사람들에게 한라산은 삶의 본향이고 마음의 안식처임에 틀림이 없는 그런 곳이다.

이번 신당 답사의 목적지는 한라산 자락에 있는 ‘광령리 마씨 미륵당’이다. 이 미륵당에는 살아생전에 한라산 산신령이라 불리던 마씨 하르방의 이야기가 전설처럼 전해진다.

목장 초지 가운데 둥그렇게 모여 있는 한 무리의 나무들 안에 마씨 미륵당이 있다. (사진=김일영 작가)
목장 초지 가운데 둥그렇게 모여 있는 한 무리의 나무들 안에 마씨 미륵당이 있다. (사진=김일영 작가)

사람이 죽은 후에 이름과 족적을 남기고 미륵 조상으로 신당에 모셔진 경우인지라, 나는 방문하기 전날부터 무척 설렜다. 죽어서도 여전히 신통한 영험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으로 주민들이 당을 이용한다는 것이 무척 놀랍고 신기한 일이었기 때문이었다. 

마씨 미륵당 주소지인 광령리는 애월읍에 속한 마을로 제주시에서 서쪽으로 약 11km 떨어진 중산간 마을이다. 한라산 정상으로 가는 길목인 사제비오름과 윗세오름도 행정구역으로 광령리에 속한다 하니 무척이나 광활한 지역이다. 

#살아있는 산신 미륵불, 마씨 미륵당

우리 일행은 광령리 무수천 상류 제2광령교를 바로 지나 북쪽으로 난 시멘트 도로 갓길로 향했다. 눈앞에 한적한 오솔길이 펼쳐지는데 양쪽으로는 삼나무들이 줄지어 서 있다. 삼나무들이 끝나는 지점에서 동쪽으로 눈을 돌리니 널찍한 목장 초지가 펼쳐져 있는데 특이한 풍경이 눈에 들어온다. 

목장 초지 가운데 둥그렇게 모여 있는 한 무리의 나무들이었다. 위풍당당하게 서 있는 한 그루의 소나무를 배경으로 마치 소녀의 단발머리처럼 보이는 부채꼴 형태의 푸른 나무들과 그리고 머리 아래에서 위로 치솟은 은회색빛 나뭇가지들!

광령 마씨 미륵당엔 소나무와 사스레피나무가 당을 둘러싸고 있다. (사진=김일영 작가)
광령 마씨 미륵당엔 소나무와 사스레피나무가 당을 둘러싸고 있다. (사진=김일영 작가)

서로를 아우르며 보듬는 평화로운 가족의 모습처럼 보였다. 일행 중 아무도 언급을 하지 않았는데도 나는 단번에 그곳이 ‘마씨 미륵당’이란 걸 눈치챌 수 있었다. 

말을 방목하는 목장이라 굵은 철삿줄로 울타리 경계선을 두르고 있어서 조심스럽게 그 위를 넘어야 했다. 사방은 온통 말똥으로 뒤덮여 있어 이리저리 피해 다니며 발을 디디려 애썼으나 속수무책이었다. 소나무로 에둘러 무성한 숲을 이루는 목장 주변을 배경으로 살포시 앉아 있는 마씨 미륵당은 마을 사람들에 의해 잘 보전되고 듯한 느낌이 들었다. 

가까이 가보니 작은 돌담으로 울타리를 만들고 그 안에 미륵돌이 있었다. 미륵돌은 정말 기이한 모습이었는데 뚜렷하지는 않으나 얼굴과 팔, 몸체를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영락없는 사람의 형상처럼 보였다. 일반적인 돌하르방처럼 이목구비가 정교하지는 않지만, 옴폭한 눈, 코, 입을 자연스럽게 새겨 놓은 느낌이 들었다.

마씨 미륵당에 사람을 닮은 미륵돌을 모셔다 놓았다. (사진=김일영 작가)
마씨 미륵당에 사람을 닮은 미륵돌을 모셔다 놓았다. (사진=김일영 작가)

미륵돌 앞에는 시멘트로 만들어 놓은 넓은 제단이 있었다. 미륵돌을 중심으로 둘러 서 있는 나무도 신목의 형태를 갖추고 있었는데 나무의 이름은 사스레피나무였다.

이 나무는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내에 산록이나 계곡 등지에 자생하고 있다는 사실은 뒤늦게 알게 되었다. 겨울철인데도 사스레피나무의 푸른 잎들이 울창하여 신당을 아늑한 분위기로 만들어 주면서 따뜻하게 품어주고 있는 느낌이다.

미륵불 제단 밑에는 타다 만 양초 몇 개가 보이고 신목에는 명주실 다발과 지전, 물색들이 걸려 있었다. 어김없이 광령과 고성 등지의 단골들이 새해 음력 정월 경에 이곳을 찾아와서 치성을 드린 흔적들이었다. 

신목에는 명주실 다발과 지전, 물색들이 걸려 있다. (사진=김일영 작가)
신목에는 명주실 다발과 지전, 물색들이 걸려 있다. (사진=김일영 작가)

이곳에 오기 전부터 살아있는 미륵불이라 하여 궁금증이 많았는데 전설처럼 전해지는 이야기는 실로 흥미진진했다. 어찌하여 주로 바닷가 동네에 있는 미륵돌이 여기 한라산 자락까지 올라왔을까. 이름도 ‘산신미륵’이라 하니 기이한 조합이다.

마씨 미륵당 주위를 이리저리 둘러보는데, 조랑말들이 우리 일행을 이상한 눈으로 지켜보고 있었다. 문득 궂은 날씨면 이따금 도로 위를 점거하던 소와 말들이 떠올랐다.

목장의 울타리 안 조랑말이 신기한 눈으로 우리 일행을 쳐다보고 있다. (사진=김일영 작가)
목장의 울타리 안 조랑말이 신기한 눈으로 우리 일행을 쳐다보고 있다. (사진=김일영 작가)

만일 마씨 하르방이 여전히 살아 있었다면 그런 상황을 보면서 어떤 모습을 취했을까? 탈출을 했던 소와 말들은 마씨하르방의 강한 눈빛과 위엄 때문에 얌전하게 하르방을 따라가지 않았을까. 

내가 생각하기엔 그렇지 않았을 것 같다. 소와 말들을 다그치기보다는 외려 하르방은 눈을 부릅뜨고 산록도로 위를 달리던 운전자들에게 버럭 소리를 지르며 욕을 퍼부었을 것이다. 

“야, 인간들아 너희들이 이 도로를 침범한 것이야, 당장 차 돌려!”

홍죽희.

홍죽희.

제주에서 중학교 영어교사로 30여 년을 재직하다 2020년 2월 명예퇴직했다. 대학 시절 마당극 운동단체인 극단<수눌음>에 가입, 외지 자본에 의한 제주의 토지 잠식을 다룬 ‘땅풀이’와 1932년 제주에서 일어난 항일 해녀 투쟁을 다룬 ‘ᄌᆞᆷ녀풀이’ 등에 출연하면서 제주의 역사와 문화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육지와는 달리 제주의 마당극은 신화를 바탕으로 굿에 의해 전개되는 특징이 있어 자연스럽게 제주의 신화를 눈여겨보게 되었고 지금도 틈틈이 신당 기행을 다니고 있다. 독서모임<아랑ᄒᆞ라>와 아코디언 모임<바숨>의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인문적 소양과 예술적 감성을 배우려고 노력하는 중이다.

사진작가 김일영.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나 중학교 2학년 때 집에 있던 카메라를 시작으로 사진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여행사 직원으로 근무하면서 전 세계를 여행했다. 2012년 제주로 이주해 ‘여행과치유’ 회원으로 활동을 시작, 회원들과 제주도 중산간마을을 답사하고 기록한 <제주시 중산간마을>(공저, 류가헌 펴냄, 2018)과 <제주의 성숲 당올레111>(공저, 황금알 펴냄, 2020)을 펴냈다. 또 제주 중산간마을 사진전과 농협아동후원 전시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탐나는여행 대표이며 ‘여행과치유’ ‘제주신화연구소’ 회원으로 제주의 중산간마을과 신당을 찾고 기록하면서 제주의 삶을 느끼고 이해하려는 입도 8년차 제주도민이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