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신화산책 연재 작가 두 친구. 여연(왼쪽)과 홍죽희(오른쪽). (사진=김일영 작가)
제주신화산책 연재 작가 두 친구. 여연(왼쪽)과 홍죽희(오른쪽). (사진=김일영 작가)

50대 동갑내기 두 친구가 제주의 신당을 찾아 함께 걷는다. 제주의 신을 찾는 순례길에 오른 셈. 그 길에서 마을을 지켜준 신들과 만나기도 하고 30년 전 20대 청년의 ‘나‘를 만나기도 한다. 1만8천의 신과 함께 해온 제주인의 삶과 지금의 나 그리고 우리의 삶은 어떻게 맞닿아 있을까. 매주 금요일 ‘제주신화산책’ 코너에서 작가 여연의 ‘한라산의 신들’과 작가 홍죽희의 ‘제주의 돌에서 신성을 만나다’를 돌아가며 싣는다. <편집자주>

앞 장에서 제시했던 예촌본향당 본풀이에 의하면 내기 장기에서 이긴 예촌 본향은 위쪽을 차지하고 진 조노기 한집은 아래를 차지했다고 했다. 그 위라는 곳은 바로 한라산 자락 높은 지대를 말함이다. 그래서 예촌본향을 찾아가는 길 내내 오른쪽으로 한라산이 바짝 다가와 있었다. 

예촌본향에서 나오다가 내려다본 보목리와 바다 풍경. (사진=김일영 작가)
한라산 자락에 계단식으로 조성된 귤밭. (사진=김일영 작가)

땅도 가파르게 경사진 지형이어서 감귤 과수원들을 계단식으로 조성하고 있었다. 양지바른 기슭에 햇살이 가득 내려앉으니 탱글탱글한 귤들이 노랗게 반짝였다. 서귀포 지역의 귤들은 이렇게 북풍은 한라산이 막아주고 남녘의 햇살은 강렬하여 달고 맛있는 것이리라. 

예촌본향의 아우가 된 조노기한집은 아래쪽에 좌정했는데, 그 아래쪽은 보목리 마을이다. 한라산 자락에서 차로 운전하고 내려오다가 ‘보목리포구’라는 간판을 보았을 때야 이 보목리가 바닷가 마을이라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그러니까 바둑에서 진 조노기한집은 한라산 자락에서 해안가로 바짝 내려와 아래쪽에 좌정한 것이다.

예촌본향에서 나오다가 내려다본 보목리와 바다 풍경. (사진=김일영 작가)
예촌본향에서 나오다가 내려다본 보목리와 바다 풍경. (사진=김일영 작가)

조노기당은 500년이 넘는 조록나무가 동굴 위에 우거져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이 조노기당에는 한라산신 바람웃도인 ‘조노기한집’이 좌정하고 있어 마을과 가정의 재앙을 막아준다고 안내문을 세워놓고 있었다. 보통 신이 좌정하고 있는 당(집)을 ‘큰집’이라는 의미에서 ‘한집’이라고 하고, 그곳에 좌정하고 있는 신 역시 ‘한집’이라고 한다.   

조각상 옆에는 ‘보목마을 본향당 설화’라고 하면서 이야기를 기록해 놓은 게시판도 보였다. 보목 마을에서 고기잡이를 하여 살아가던 일곱 형제의 이야기이다. 

조노기당 입구에 세워진 산신상. (사진=김일영 작가)
조노기당 입구에 세워진 산신상. (사진=김일영 작가)

어느 날 아들 일곱 형제가 바다에 나갔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를 하던 끝에 외눈박이 땅에 이르러 화적떼인 외눈박이들에게 쫓기다가 백발노인의 도움으로 간신히 목숨을 구하게 되자 그 노인을 모시고 마을로 돌아와 살면서 많은 자손들과 재물을 얻어 부자가 되었다고 한다. 

이후 세월이 흘러 노인이 죽자 그 노인이 사람의 형상을 한 신령이었음을 알고 제지기오름 아래 당집을 지어 모시다가 이곳 조노기 궤(동굴)로 옮겨 제사를 지내었다. 훗날 마을 사람들도 이 신을 본향당신으로 모시게 되면서 매인 심방을 정하여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비는 제를 올리게 되었다. 제일은 정월 13일, 2월 12일, 동짓달 14일로 정하였다. 이날 외에도 마을 사람들이 먼 길을 떠나거나 관직에 오르거나 하면 이 당에 와서 예를 올린다고 한다. 

무속자료사전에 전하는 당본풀이와 조금 다른 이야기지만 나름대로 재미있었다. 보목리가 바닷가 마을이니 고기잡이를 하는 일곱 형제 이야기로 당의 유래를 설명하고 있음이다. 한라산신 바람웃도 조노기한집이 노인의 모습으로 나타나 위기에 처한 보목리 사람을 구해준다는 것이다. 보목리 사람들은 마을의 무사안녕과 번영을 가져다주는 한라산신을 오늘날까지도 정성껏 모시고 있는 걸 미루어 짐작할 수 있었다.

동굴 입구이기도 한 조노기당. (사진=김일영 작가)
동굴 입구이기도 한 조노기당. (사진=김일영 작가)

앞의 이야기에 나와 있는 것처럼 조노깃당은 동굴이 당집이다. 자연동굴의 입구를 막고 제단을 설립하여 제를 지내는 것이다. 이 동굴은 거대한 나무뿌리 아래에 위치하고 있어 이색적인 풍광을 자아내고 있다. 

굴 입구에서 위로 고개를 들면 거대한 나무가 동굴 위에 자리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거대한 뿌리가 돌로 된 동굴 위에 박혀 있는데 어떻게 저리 자랄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은 예촌본향 큰당에서 들었던 것과 같았다. 나무 아래에 이렇게 커다란 동굴이 있다는 것도 놀라운데 주변 풍광도 이색적이고 아름다우니 입구에서부터 절로 입이 벌어진다.

동굴 입구에 문을 만들어 평소 잠가 놓는데 오늘은 문이 활짝 열려 있었다. 동굴 안은 컴컴하여 전깃줄을 연결하고 전구를 달아 놓았다. 하지만 어디가 고장이 났는지 스위치를 켜도 불이 들어오지 않았다. 그래서 핸드폰 전등으로 불을 밝히며 안에 들어설 수밖에 없었다. 

굴 속 제단과 이어지는 굴 쪽으로 작게 나 있는 창문. (사진=김일영 작가)
굴 속 제단과 이어지는 굴 쪽으로 작게 나 있는 창문. (사진=김일영 작가)

동굴 안에는 제단이 3단으로 되어 있고, 계속 이어지는 동굴 맞은편을 막아 창문처럼 문을 내 놓은 것이 집 안방에 있는 듯했다. 이곳에 처음 온 친구는 연신 감탄을 금치 못하며 동굴 안을 둘러보았다. 

우리는 술을 올리고 향도 피워 절을 했다. 마침 굴 입구에 있는 양초를 발견하고 제단에 세워 불을 켜자 동굴 안 분위기가 한층 은은해졌다. 동굴 벽과 천장을 천천히 살펴보다가 놀라워 소리를 질렀다. 세상에, 동굴 천장 돌 틈에 잔뿌리들이 내려와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동굴 위에 뿌리를 박은 나무들이 어떻게든 살아보려고 돌을 뚫고 안까지 뿌리를 내려보낸 것이다. 

동굴 천장 돌 틈을 뚫고 나온 나무 잔뿌리들. (사진=김일영 작가)
동굴 천장 돌 틈을 뚫고 나온 나무 잔뿌리들. (사진=김일영 작가)

“결국 이런 식으로 다 사는구나!”

친구의 말 한마디가 치열한 생명의 몸부림을 다시금 생각해보게 했다. 자세히 보기 위해 핸드폰 등불을 가까이 가져갔다. 연약하게 보이는 실뿌리가 돌을 뚫는 생명의 치열함을 눈으로 보고 나니 나 역시 경건해지지 않을 수 없었다. 

여연. (사진=작가 여연 제공)

작가 여연. 

제주와 부산에서 30여 년 국어교사로 재직하였고, 퇴직 후에는 고향 제주로 돌아와 신화 연구로 인생 2막을 펼치고 있다. 생애 첫 작품으로 2016년 <제주의 파랑새>(각 펴냄, 2016)를 출판하였고, 이 책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2017년 출판산업진흥을 위해 실시한 ‘도깨비 책방’ 도서에 선정되었다. ‘제주신화연구소’의 신당 답사를 주도하면서, 답사 내용을 바탕으로 민속학자 문무병과 공저로 <신화와 함께하는 제주 당올레>(알렙 펴냄, 2017)을 출판하였는데, 이 책은 ‘세종도서’에 선정되었다. 제주신화 연구모임을 1년간 진행하고 2018년 제주신화 전반을 아우른 책 <조근조근 제주신화>(지노 펴냄, 2018)를 3권으로 출간하였고 서울과 부산, 제주에서 북콘서트를 열었다. 2019년 하반기부터 제주신화 테마길을 여는 등 제주 신화 스토리텔링 연구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작가 김일영.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나 중학교 2학년 때 집에 있던 카메라를 시작으로 사진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여행사 직원으로 근무하면서 전 세계를 여행했다. 2012년 제주로 이주해 ‘여행과치유’ 회원으로 활동을 시작, 회원들과 제주도 중산간마을을 답사하고 기록한 <제주시 중산간마을>(공저, 류가헌 펴냄, 2018)과 <제주의 성숲 당올레111>(공저, 황금알 펴냄, 2020)을 펴냈다. 또 제주 중산간마을 사진전과 농협아동후원 전시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탐나는여행 대표이며 ‘여행과치유’ ‘제주신화연구소’ 회원으로 제주의 중산간마을과 신당을 찾고 기록하면서 제주의 삶을 느끼고 이해하려는 입도 8년차 제주도민이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