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행정 제주특별도 제주도의회 제주시 서귀포시 국회/정당 제주특별법 선거 사회/환경 사건/사고 법원/검찰 4.3 환경 해군기지 논란 해경 제주 제2공항 대자보 노동 동물테마파크 갈등 시민이 만드는 뉴스-제주순정TV 경제/관광 감귤 관광 농업 일자리 금융/재테크 기업 경제일반 문화 기획
관련기사 [말랑농업]눈 내리는 날엔 콩국 한 그릇 [말랑농업]딸과 빙떡을 먹으며 [말랑농업]오메기떡에는 오메기가 없다? [말랑농업]설 제사상에 대한 단상 [말랑농업]꽃으로 김치를 담그다 [말랑농업]노란 바나나 뒤에 숨은 검은 그림자 [말랑농업]봄빛 머금은 꿩마농 향기가 입 안 가득 [말랑농업]태권브이가 마징가 제트를 이기려면 [말랑농업]소리 없는 전쟁, 씨앗 전쟁 [말랑농업]고사리를 꺾으며 농지개혁을 꿈꾼다
댓글 8 로그인 이름 비밀번호 내용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회원 로그인 비회원 글쓰기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 최신순 추천순 들판 2021-02-23 22:32:24 더보기 삭제하기 유익한 음식 정보에 문학성과 농업철학이 잘 버무러진 글. 재미 만땅. 생각 만땅. 다음 글이 벌써 기다려집니다. 바다 2021-02-23 22:21:06 더보기 삭제하기 지금이. 가장 당근이 맛있군요. 당근은 제주 유기농 당근!!! 당근이지. 당근이야.~~ 문선호 2021-02-23 21:18:00 더보기 삭제하기 당자가 들어가는 단어들의 어원이 당나라인 것을 알수있어서 좋았습니다~^^ 농린이 2021-02-23 20:56:02 더보기 삭제하기 유기농당근이야기~너무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앞으로도 쭈욱 잘부탁드립니다 다음글도 기대할께요^^ 김철준 2021-02-23 20:08:07 더보기 삭제하기 당근의 역사와 제주 당근의 재배가 줄어든 이유, FTA자금에서 당근은 차별받는 현실 등 이제껏 모르고 지냈던 이야기를 배워 가네요 ^^ 감사합니다:) 처음처음12다음다음끝끝
김철준 2021-02-23 20:08:07 더보기 삭제하기 당근의 역사와 제주 당근의 재배가 줄어든 이유, FTA자금에서 당근은 차별받는 현실 등 이제껏 모르고 지냈던 이야기를 배워 가네요 ^^ 감사합니다:)
[한뼘읽기]사랑과 동업 사이에 낀 내 남편은 어떻게 되었나 [한뼘읽기]사랑과 동업 사이에 낀 내 남편은 어떻게 되었나 [김수오의 진맥] 봄 들판에 햇망아지 피어난다 [김수오의 진맥] 봄 들판에 햇망아지 피어난다
주간 핫클릭 "나는 이제 기억투쟁은 하지 않겠다" [말랑농업]“아빠, 보리빵이 맛있다구요?” 잘라낸 영리병원 꼬리 다시 붙인 민주당 소속 도의원들 [전시]고영일 사진가가 만난 제주 아이들 어떵 살암싱고예? “7년간 매일을 세월호 안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볍씨살이_들어봅써] 장작 패는 맛을 아시나요 [지민in런던] 4월의 기억 [주간원희룡]말만 앞선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대응...6개월간 뭐했나?
제주개발공사, JPDC형 직장문화 상호존중 10계명 선포•캠페인 제주개발공사 웹진 ‘삼다소담’ 리포터즈 발대식 개최 [인터뷰] 제주의 관문인 제주공항 '최상의 서비스로 준비한다' 도교육청, 내년도 대학입학 진학지도 운영 일정 발표 도교육청, 세월호 7주기 추모 주간 운영 서양화가 강영순 개인전 ‘바다와 강이 있는 풍경展’ 개최 버리면 쓰레기 활용하면 자원...한천초, 리사이클링 수업 진행 제주시, 초등돌봄교실 과일간식 지원 그치지 않는 추락사고...외벽 고소작업 집중 점검 실시 ‘섬의 편지’ 싱글앨범 ‘문득, 문득’ 발매
제주 수산업 육성의 과제는?...16일 '해양수산뉴딜' 최종보고회 개최 제주 수산업 육성의 과제는?...16일 '해양수산뉴딜' 최종보고회 개최 정의당 제주도당 "세월호참사 진상규명 왜 이렇게 어려운지 국민 납득 못해" 정의당 제주도당 "세월호참사 진상규명 왜 이렇게 어려운지 국민 납득 못해"
기사댓글 노지님과 삐리용님이 부부셨군요! 매주 두 분 칼럼 빼놓지 않고 재밌게 잘 읽고 있습니다. 유쾌하고 즐거운 글!!! 몇십 년 전 돌아가신 어머니가 만들어 준 맛있었던 보리개떡 생각이 난다. 그 당시 보리는 가난을 의미했다. 농식품부 식생활영양과의 산하기관 또는 산하단체로 전국 주요 도시에 가칭 식생활영양교육원을 설립·운영하면 좋겠다. 국산 보리떡, 우리밀 수제비 등을 어린 학생들이 단체로 직접 만들어 먹어 보면, 그 보리나 밀은 가난의 상징이 아닌, 현대적 영양식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제주에 있는동안 많이 배우고 성장하세요. 글을 읽고 4.3 평화운동에 관심을 갖게 되었어요 고마워요~ 장작패는 맛이 느껴지는 생생한글! 친구들아 장작패자~ 친구들과 함께 지내면서 진정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부분이 와 닿았어요. 제주있는 동안 잘 지내요~ 민찬이의 장작패기 열정을 응원해!! 머리와 가슴이 묘하게 서로를 배려하는 말랑농업 잘 읽고있습니다. 근데 당근네가 뭐에요? 비틀비틀 갑자기 보리빵이 먹고 싶네요. 구수하고 정감있는 글 너무 좋습니다. 농과 식의 거리를 좁힙시다~^^ 항상 응원합니다 말랑농업 화이팅~!! 지식의 끝은 어디일까? 상화, 음식지미방, 목호, 소설 선택, 빵의 도입 역사, 빵과 떡의 차이점, 밀가루와 쌀가루에 대한 비교, 원산지 등 글 한편에 역사, 문학, 영양학, 인문학이 섞여 있다. 그러나 가장 좋은 것은 글에서 풍기는 따뜻함과 희망이다. 중독으로 가는 중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빵이 상애떡이라니 반갑네요^^ 「 말랑 농업」은 알.쓸.신.잡처럼 타당하고 이해가 쏙쏙 되는 해석의 내용이 많아 늘 기다려집니다^^ 제주를 대표하는 떡이라며 내용물은 중국산이 적혀 있어서 먹으려고 들었다가 내려 놓게 되고 씁쓸할 때가 있어요 김치도....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떡도 당연히 국산 재료가 사용 되는 날이 오면 좋겠습니다 보리 방학의 추억도 생각나고...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글 감사합니다^^ 비슷한 제품인 델몬트 제주감귤에 비해 비싸고 더 달아서 손이 안 감. 성분 중 액상과당, 설탕, 합성착향료 좀 안 넣으면 좋겠는데 왜 돈 들여서 굳이 하품으로 만드는지 모르겠다. 제주의 4.3평화 운동에 대핸 깊은 이해와 공감이 느껴지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