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박소희 기자)
기후위기 대응 채식급식 지원 조례 제·개정을 위한 추진위원회(가칭)는 11일 오전 10시 도 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가졌다.(사진=박소희 기자)

 

채식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개인이 할 수 있는 가장 실효성 있는 실천으로 꼽힌다. 소고기를 콩으로 대체하는 것만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감축할 수 있어서다. 이에 제주도에서도 채식급식 추진 운동이 첫 삽을 떴다.

기후위기 대응 채식급식 지원 조례 제·개정을 위한 추진위원회(가칭)는 11일 오전 10시 도 교육청 앞에서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채식급식 지원 조례 제·개정 추진을 선포했다. 이미 다른 지방자치단체에서 채식 급식 의무화 정책을 시작한 바, 제주에서도 공공부문 채식 의무화에 속도를 내야한다는 것이다. 

국제사회는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6가지 행동지침을 마련했다. 그중 채식으로의 식습관 전환은 가장 단기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방법으로 꼽힌다. 

이에 세계는 식단 변화를 위한 제도 마련에 속도를 냈다. 

추진위에 따르면 이탈리아는 세계 최초로 학교교육과정에서 기후변화 교육을 의무화했다. 프랑스는 공공급식 부분에 주1회 채식급식 의무화를 도입했다. 독일도 역시 공기관, 병원, 군대에 이르기까지 채식 선택권을 보장하고 있다. 육류 소비 1위 국가인 중국도 채식 급식 확산에 참여하는 추세다. 

국내 움직임도 없지는 않았다. 울산은 주1회 채식의 날로 지정해, 학교 급식에 월 3회 채식급식 및 채식 선택권을 시행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시민을 대상으로 '채식환경 조성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 본격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채식급식 추진위원회는 이날 △주1회 완전 채식 △채식 선택권 보장 △채식 교육 의무화 이상 3개 골자를 중심으로 조례를 제정 혹은 개정해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다만 조례를 새로 만들지, 기존 공공급식 조례를 개정할지는 본격적인 논의 과정을 거쳐 방향을 정한다는 방침이다.  

김란영 집행위원장은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담긴 내용(2020년 12월)에 따르면 먹거리와 생산 방식을 바꾸지 않으면 2050년 야생동물 90%가 서식지를 잃게 된다"며 "식습관 전환은 기후위기 시대를 돌파하는 가장 강력한 실천"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