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군사기지저지범도민대책위 "강정마을과의 진정한 상생협력은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우선"
"제주해군기지 추진과정의 심각한 문제에 부단히 항거해온 우리 제주도민들은 또다시 군사작전 하듯이 추진된 이번 상생협약을 전혀 인정할 수 없다. 따라서 청와대와 정부부처, 위성곤 국회의원, 제주도와 제주도의회는 31일로 예정된 상생협약 공동선언식을 즉각 취소해야 한다."
'제주 군사기지 저지와 평화의 섬 실현을 위한 범도민 대책위원회'는 28일 발표한 성명에서 이 같이 촉구했다.
최근 원희룡 지사와 좌남수 의장, 청와대를 비롯한 중앙부처 관계자, 위성곤 국회의원이 참여하는 ‘상생화합 공동선언식’을 개최할 것으로 알려지며 논란이 일고 있다.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과정에서 공권력으로부터 피해를 받은 당사자들은 배제된 상태로 상생화합을 선언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범도민대책위원회는 이날 "청와대를 비롯해 지역의 국회의원과 제주도, 제주도의회까지 함께하는 행사라면 적어도 수개월 전부터 협의가 이뤄져 왔을 일인데 어떻게 된 일인지 강정마을 주민들은 비롯해 도민사회에서는 이러한 논의가 시작되었는지 조차도 알 수 없었다. 말 그대로 강정마을 주민들 특히 마을을 지키기 위해 최전선에서 활동했던 주민들과 도민사회를 협의 과정에서 완전히 패싱하고 자신들만의 상생협약을 만들어 온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런 상황에 각종 지원기금을 통해 지역발전을 이루게 해주겠다는 상생협력은 말 그대로 돈으로 상생협력을 사겠다는 것이며 그간의 문제들을 돈으로 무마하겠다는 것과 다르지 않다."며 원희룡 지사와 좌남수 의장, 위성곤 국회의원을 성토했다. "이들에게 지방분권이나 지방자치의 실현, 사회갈등의 해결과 같은 담론에 대한 생각과 실현 의지가 있는 것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는 것.
범도민대책위원회는 "더 놀라운 사실은 상생화합 공동선언식 이후 6월 3일에 도의회 상생협약 체결 동의안이 상정된다는 점이다. 아닌 밤중에 홍두깨도 아니고 도대체 이렇게 비밀리에 군사작전 하듯 상생협약을 추진하는 것에 참담한 심정을 숨길 수가 없다."며 "제주해군기지 건설과정에서 숱하게 피해를 입은 강정마을 주민들과 제주도민들, 불의에 항거하기 위해 전국에서 찾아와 준 국민들이 당사자인 이 사안에서 왜 피해자들은 쏙 빼놓고 상생협약이 멋대로 진행되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고 비판했다.
끝으로 범도민대책위원회는 올바른 문제해결과 상생협약을 위해서는 제주해군기지로 피해 직접 당사자들을 비롯해 도민사회와 진정한 대화의 장을 만들어 협의에 나서야 한다면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에 대한 노력이 담보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