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박소희 기자)
(사진=박소희 기자)

한반도 기후위기 최전선 제주도. 제주녹색당 부순정 도지사 예비후보(48)가 기후위기 대응을 제1호 공약으로 내세웠다. 

'기후도지사' 슬로건을 내건 부순정 예비후보는 28일 오전 11시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기후위기 대응 조직으로 제주도정 전면 재편 △청년 중심 친환경 농업 육성 △기후관광 패러다임 구축 △마을 중심 소규모 재생에너지 공급 △기후위기 재난대응기금 마련을 약속했다. 

부순정 예비후보는 "‘탄소없는섬 2030’을 추진한 원희룡 도정 7년 동안 탄소배출은 오히려 늘었다"면서   △해수면 상승 △구상나무 고사 △1차산업 직격탄 △잦아진 태풍 피해 △지하수 오염 및 고갈 등 "기후위기로 인한 여파로 도민 생존이 뿌리 채 흔들리고 있다"고 우려했다. 

부 후보는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린제주 5대 정책'을 발표, 먼저 제주도 행정조직부터 기후위기 대응조직으로 전면 재편하겠다고 약속했다.

기후위기 대응에 맞춰 예산을 편성하고 제주도정을 총괄하는 기획조정실과 도민안전실을 통합해 기후재난정책실로 재편하겠다고 했다. 

또한 예산편성과정에서부터 탄소배출예산과 탄소흡수예산을 엄격히 구분해 탄소배출예산은 과감히 삭감하겠다고 했다. 

이어 기후위기 대응 산업인 친환경농업을 청년 농업인 중심으로 되살리겠다고 했다. 

부 후보는 "기후위기로 제주농업의 오랜 근간인 노지 감귤 농사가 어려워지고 있다"면서 친환경농업 확산하기 위해 청년농업인 육성 정책을 펼쳐가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친환경농업이야말로 기후위기 대응 산업"임을 강조하며 청년농업인 (준)공무원제도를 도입해 청년 농업인의 농촌 유입을 꾀하겠다고 했다. 기후위기 시대 농업의 지속가능성은 식량안보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 부 후보는 농사를 공공 일자리로 만들어 친환경 농업 기반을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2월 8일 제주시 봉개동에 위치한 쓰레기 매립장 풍경.
제주시 봉개동에 위치한 쓰레기 매립장 풍경.

부순정 후보의 기후위기 대응 세 번째 정책은 쓰레기 및 오·폐수 증가 등 제주도 환경수용력을 벗어난 현재 제주 관광 패러다임을 기후 관광으로 전환한다는 내용이다. 

부 후보는 제주공항 항공운항편수 조정으로 아예 입도객 수를 조절해 과잉관광 문제를 해결한다고 공언했다.

그는 입도세 개념의 환경보전기여금 제도 도입 논의가 제주 정치권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점과 관련 "환경보전기여금만 내면 자동차를 마구 굴리고 쓰레기를 마구 버려도 되냐"면서 탄소중립 사회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사후 약방문 식이 아닌 배출 저감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규모 관광시설 등 탄소배출 사업장 탄소패널티 부과 등 배출량 저감을 위한 기후 관광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했다. 

다만 입도객은 제한하면서도 도민좌석할당제를 도입해 항공기 예약이 힘든 성수기 도민의 이동 편의는 보장하겠다고 했다. 

또한 도심형 소규모 재생에너지 공급을 제주형으로 확대, 대규모 발전 설비가 아닌 소규모 재생에너지와 마을별 발전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공약했다. 

현재 대규모 해상풍력과 태양광 발전설비 등 대규모 발전은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이 아닌 "대기업 배불리는 개발 정책"에 불과하다면서 소규모 재생에너지 발전, 마을별 발전을 적극 지원해 생산과 소비 불균형을 해결하겠다고 했다.

이와 더불어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안 지역 이주민 발생 등 기후 재난에 대비해 현재 재해구호기금, 재난관리기금 등 재해 관련 기금들을 기후위기 재난대응기금으로 사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