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오후 제주특별자치도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제주도 CFI에너지미래관에서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 기본계획’을 수립해 발표했다. (사진=제주특별자치도 제공) 
12일 오후 제주특별자치도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제주도 CFI에너지미래관에서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 기본계획’을 수립해 발표했다. (사진=제주특별자치도 제공) 

제주특별자치도와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제주형 분산에너지’를 함께 추진한다. 

분산에너지란 전력을 사용하는 지역 인근에서 중소규모의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을 생산하는 에너지를 뜻한다. 

12일 오후 도와 산업부는 제주도 CFI에너지미래관에서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 기본계획’을 수립해 발표했다.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 기본계획은 산업부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을 바탕으로 제주도의 실정에 맞게 △분산에너지 친화형 인프라 구축 △분산에너지 기반의 전략 신산업 육성 △재생에너지 주민 수용성 개선을 위한 대책이 담겨 있다.

대규모 발전소 및 송전선로 건설 관련 사회적 갈등 증가로 에너지 소비지역 인근에서 생산되는 분산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정부는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2019.6.)’, ‘2050탄소중립 추진전략(2020.12.)’, ‘에너지 탄소중립 혁신전략(2021.12.)’을 통해 분산에너지 확산을 목표로 제시한 바 있다.

도는 지난해 870MW 규모의 태양광·풍력 설비를 구축했으며, 전체 설비 중 재생에너지 비중을 39%까지 늘렸다. 하지만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재생에너지에 대한 지역주민 수용성 저하 등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있다. 

이 때문에 도는 산업부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 전략(2021.6.)’을 토대로 산업부·전문가 등과 협의를 거쳐 지역의 특성과 고민을 반영한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 기본계획’을 마련했다.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분산에너지 친화형 인프라 구축을 위해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구축하고, 그린수소(P2G), 열에너지 전환·활용(P2H) 등 섹터 커플링 기술을 활성화한다.

시장·제도 등 전력 신산업 기반 구축을 위해 통합발전소(VPP), 플러스DR(Demand Response) 확산 모델을 발굴하고, 지역 특성을 가미한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한다.

도민·지역주도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추진협의체·포럼을 운영하고 중장기적으로 도내 전문 에너지연구소 설치를 검토한다. 

이날 행사에는 박기영 산업부 차관, 구만섭 제주도지사 권한대행과 전력거래소, 한국전력공사, 한국에너지공단, 제주에너지공사, 제주대학교, 한화에너지, 그리드위즈, 인터텍, 에코브레인, 대은, 대륜엔지니어링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산업부는 제주도·관계기관·전문가 등과의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 기본계획’의 원활한 이행을 지원할 예정이다.

도는 정부 지원 등을 바탕으로 에너지 분산화·친환경화·스마트화로의 전환을 선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구만섭 권한대행은 ‘분산형 에너지 활성화’에 대해 새 정부 국정과제 반영, 특별법의 조속한 국회 통과 등을 건의하면서, “정부와 함께 고민하며 수립한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계획을 잘 이행하여 제주가 신재생에너지와 분산에너지 확대의 선도모델로 나아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심화되는 제주지역 내 출력제어는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는 문제”라며 “대책 마련을 위해 산업부의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요청했다.

박기영 산업부 차관은 “이번 기본계획은 중앙정부가 제시한 정책 방향에 지역의 고민을 담아 계승·발전시켰다”며 “앞으로도 중앙과 지방, 그리고 관련 전문가들의 긴밀한 협업을 토대로 분산에너지의 원활한 확산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