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조사에 의하면 도내 유권자중 20만3430명이 여성 유권자란다. 퍼센트로 따지만 51.5%로 절반이 조금 넘는 수치며 남성 유권자 19만1825명에 비해 1만1605명이 많다.

그야말로 세상의 절반은 여자라는 말을 실감할 정도다.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숫자 정치에 대해 지탄이 많았지만 그러나 다수결을 따르는 민주주의에서는 숫자는 정치 결정에 결정적인 요소임은 분명하다.

도내 여성 유권자 남성에 비해 많다

도내 유권자의 51.5%를 차지하는 여성유권자들이 숫자의 위력을 발휘한다면 저돌적이며 가끔 폭력적인 장면이 목격되는 국회는 세심하고 논리적인 토론이 벌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제주여성총선연대. 자칫 선거법상 오해의 소지 있을법한 이 여성 연대체는 적극적인 유권자 운동을 벌이겠다고 나섰다.

그렇다고 특정 정당이나 후보를 지지하는 것이 아니다. 이 연대체의 목적은 정치에 있어 잠자고 있는 여성들에게 깨어날 것을 호소하는 운동을 벌일 작정인 것이다.

이 연대체가 더욱 주목되는 것은 수학적으로 도무지 만날 수 없는 평행선이 사회에서는 때론 연대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여성'으로 맺어진 연대체

제주여민회와 제주도여성단체협의회, 전국여성농민회제주도연합과 재향군인여성회 및 자유총연맹제주도여성협의회 등이 그렇다.

이뿐만이 아니다. 이 연대체에는 도내 57개 각종 여성단체가 뒤섞여(?) 있다. 놀라울 뿐이다. ‘여성’이라는 끈이 계급과 주의, 주장을 넘어서 연대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된다는 것은 남성인 나로서는 그저 놀라울 뿐이다.

그러나 현장의 목소리는 그렇지 않다. 이들 단체들은 남녀차별 제도개선과 양성평등, 정치 및 정책결정과장에 여성참여 확대, 여성인권보호 및 여성에 대한 폭력근절, 여성노동자의 고용안정과 고용평등 및 인적자원양성 확대 등을 17대 총선을 위핸 여성 정책 의제로 내걸었다.

또 보호노동의 사회분담과 여성복지확대, 소비자 권익증진을 위한 소비자법제강화, 효율적인 물관리 정책 수립에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등 여성에게만 국한된 의제가 아니라 이 사회를 변화시키는 정책 의제들을 펼쳐 보였다.

낮은데서부터 연대한다

그렇다. 여성은 사회를 품고 있는 한편, 이 사회의 절반 혹은 그 이상을 차지하는 정치적 단체다.

남성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정치는 이제 그 자체가 개혁과 청산의 시대를 맞이한 것이다.

“가장 낮은 데 있는 사람들은 가장 먼저 연대한다”는 말이 생각난다. 정치적인 의사결정의 권리가 충분한데도 불구하고 숨죽여 지내던 여성들의 유쾌한 반란을 제주도에서도 지켜볼 수 있다는 것은 좋은 소식이다.

앞으로 제주여성총선연대는 공명선거의 솔선수범과 함께 양성평등정책 후보지지 등 소극적인 방법과 적극적인 방법을 병행해 나가며 총선 정국을 맞이할 모양이다.

민주노총 소속 남성들과 자유총연맹 소속 남성들이 ‘남성’이라는 매개체로 당장 총선에 연대할 수 없는 사실은 자명하다. 따라서 이들 제주여성총선연대는 이 모임 자체가 화제며 그 성과물을 불문하고 여성의 정치세력화에 있어 큰 의미를 지니고 있는 일대 사건이라고 보여진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