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이란 무엇인가? 문학에 대한 가치를 더듬고, 해답을 찾을 수 있는 책이 나왔다.

시인이자 평론가인 신승행씨가 최근 펴낸 '문학과 비평이론'이란 책이 그것이다.

이 책은 제1장 '개요' 제2장 '문학은 언어의 숲', 제3장 '이미지의 세계', 제4장 '스토리의 세계', 제5장 '수상과 시론', 제6장 '비평과 비평이론' 등 모두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개요'에는 '문학이란', '심리가 작용한다', '철학이 존재한다', '사랑이 살고 있다', '정서가 살고 있다' 등 문학전반에 대한 이론을 자세하게 풀이하고 있다.

여기서 저자는 문학이란 언어예술의 논리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제2장 '문학은 언어의 숲'이란 글에서는 '언어예술이다', '사랑은 문학의 주된 모토', '언어는 인격의 주체', '언어심리와 사회적 관계'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문학은 언어예술이다'며 '문학은 언어를 떠나서 생각할 수 없고, 작가는 언어가 가지고 있는 모든 특징을 동원해서 표현의 기술적 측면을 살리려고 노력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또 문학은 언어로 창조된 삶의 세계고, 문학의 요소와 배경요소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인간은 삶의 체험을 통해서 잡다하게 접근되는 모든 이물들을 걸러내고 여기에 새로운 사랑의 움을 만들어 새로운 예지와 기쁨이 넘치는 행복의 표정을 찾고자 하는 것이 문학의 주된 모토라고 설명하고 있다.

제3장 '이미지의 세계'에서는 '서정문학의 정체성', '현대시의 흐름과 특성', '섬에서 부른 사랑의 서정', '향토적 서정과 자기 응시', '독창적인 특질.개현된 소리의 미학', '소멸과 변화에 대한 인식'에 대한 글을 담고 있다.

'서정문학의 계보'에서는 우리나라 현대시의 여명의 빛은 1908년 '소년' 제1호에 발표된 최남선의 신체시인 '海에게서 少年에게'가 최초라고 지적하고, 이후 1918년에는 최초의 주간지인 '태서문예신보'를 통하여 외국문학 소개와 외국작품을 번역하는데 김억은 문학적 업적을 남겼다고 밝히고 있다.

또 '서양의 시관'과 '동양의 시관', '한국의 시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한국의 시관'에서는 '고대시가', '신라시대', '고려시대', '근대시가' 등 시대별로 구분해 시관에 대해 풀이해 놓고 있다.

'현대시의 흐름과 특성'은 현대시의 배경과 경향, 1910년대의 한국의 시, 1920년대 한국의 시, 1930년대의 현대시, 생명파 서정주.유치환의 작품세계, 청록파 박두진.조치훈.박목월의 작품세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또 저자의 시집이기도 한 '섬바다 숨비소리' 시평을 문성숙 평론가의 글과 김준 시인의 글을 담아 이미지의 세계를 엿볼 수 있게 했다.

제4장 '스토리의 세계'에서는 '서사문학의 정체성', '현대소설의 흐름과 특성', '문학과 골계미', '서사문학은 물의 제의(祭儀)와 상상력의 유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특히 '서사문학은 물의 제의(祭儀)와 상상력의 유산'에서는 샤머니즘과 제주문학을 중심으로 해서 '샤머니즘과 물의 정체성', '물과 샤머니즘의 미학'을 담고 있다.

제5장 '수상과 시론'에서는 '수필의 속성', '수필가 이양하의 작품세계'를 담고 있고, '단상'이란 제목으로 저자가 제주일보에 썼던 시론을 모아 놓고 있다.

제6장 '비평과 비평이론'에서는 '비평의 개념', '물의 상상력과 한의 미학', '염정(艶情)과 풍류적 시풍의 미학'에 대해 실고 있고, 현곡 양중해 선생의 시집 '수평선'과, 문산 문태길 선생의 작품세계를 실어비평과 비평이론을 담고 있다.

저자는 머리말을 통해 '문학은 사랑을 체험할 수 있는 간접공간이다. 하여 체온이 필요하다'며 '들에는, 고독한 섬을 지키는 억새꽃들이 아우성이고, 금세 터질 것 같은 오름 오름들, 상재를 기다리던 원고들 역시 침묵을 깬다.'고 밝혔다.

이어 '문학과 문학이론, 시는 가난했고 비평은 리얼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며 '활자라는 것에 빼앗겨 말못할 공허함에 빠진다.'고 밝혔다.

학문사 409쪽 값 15,000원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