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대선의 가장 직접적인 변수는 크게 2가지다. 범여권의 정계개편의 향방과 한나라당 대선주자군의 분화 여부가 그것이다.

한나라당은 이명박, 박근혜라는 2强 후보가 버티고 있는 반면 범여권에선 고건 전 총리를 제외하면 지지율이 바닥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변화를 위한 여권 내 꿈틀거림이 대선지형의 지각변동을 먼저 예고하고 있다.

▲與 통합신당으로 항로 잡아

열린우리당은 의원 워크숍에 이어 김근태, 정동영 두 전·현직 당의장이 지난 28일 전격 회동해 '원칙있는 국민의 신당'을 천명, 통합신당이 대세로 자리 잡았다.

'이대로는 정권 재창출이 불가능하다'는 위기감이 가장 큰 동력이다. 심지어 "대선 4개월 후 치러지는 2008년 4월 총선에서도 변변한 야당조차 만들기 어려운 것 아니냐"라는 불안감이 팽배해 있다.

反한나라당 세력을 묶는 '대통합'이 최종 목표지만, 통합의 과정은 예측불허다. 열린우리당과 민주당, 고건 전 총리 세력, 시민사회세력 등 통합에 참여할 주체들의 셈법이 제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통합 주도권 다툼 예고

당내 대주주이자 정치적 라이벌인 김근태 의장과 정동영 전 의장이 손을 맞잡은 것은 지지부진한 통합논의에 가속도를 붙이고 대세를 굳히자는 의미가 있다. 그러나 합쳐서 5% 미만인 낮은 지지율을 고려할 때 통합논의의 주도권을 고건 전 총리측에 넘기지 않겠다는 의미로도 읽힌다.

'DY(정동영)-GT(김근태) 합의문'에 명시된 '열린우리당의 정체성을 발전시켜'라든가, '원칙있는 국민의 신당'의 표현은 다분히 고 전 총리 쪽에 참여한 세력을 겨냥한 측면이 있다.

신당추진이 본격화되면 김근태, 정동영 두 전·현직 의장 사이의 주도권 다툼도 부각될 공산이 크다.

우선 노 대통령과의 관계설정에 있어 둘 사이에 온도 차가 있다. 또 정동영 전 의장은 실용 그룹의 결집을, 김근태 의장은 정운찬 전 서울대총장 등 외부세력의 영입을 주도해 '경제와 개혁'의 이미지를 부각시키려 하고 있다.

통합의 한 축인 민주당의 경우엔, 한화갑 대표의 대법원 판결로 지도력에 변화요인이 생겨 정계 개편과 관련, 한층 유동적인 상황이 됐다.

▲다양한 새판짜기 시나리오

범여권 정계개편의 분수령은 내년 2월로 예정된 열린우리당의 전당대회가 된 전망이다. 신당파가 대세를 확산시켜 전당대회에서 통합신당 결의를 이끌어낸다면 평화개혁세력과 미래세력을 묶는 '범여권 대통합신당' 추진이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여기에는 열린우리당과 민주당, 고건 전 총리,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 등 제3후보와 시민사회, 전문가그룹 등이 참여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여당 내 신당파가 노무현 대통령을 뗀 신당을 추진하는 데 대해 열린우리당 내 사수파인 '혁신모임'에서 반발 움직임이 나오고 있고 29일엔 당헌·당규 개정에 대해 '혁신모임'측에서 효력정지 가처분신청을 법원에 제출해 당의 진로를 둘러싼 신경전이 법정싸움으로 비화하고 있다.

양측의 격돌로 원만한 전당대회 자체가 불가능하다면 최악의 경우 결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사수파의 당 사수 의지가 확고하다면 신당파가 제3지대로 나가 외부세력과 합치는 방법밖에 없다. 따라서 두 번째 시나리오는 친노세력을 뺀 통합신당과 기존 열린우리당의 분열구도다.

고건발 정계개편도 또 다른 시나리오 중 하나다. 열린우리당의 기존 후보들이 기득권을 포기하지 않을 경우 현 시점에서 가장 지지도가 높은 고건 전 총리는 통합신당 참여보다 자신을 중심으로 한 중도실용노선 신당을 만들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고 전 총리는 열린우리당과 민주당 내 일부 신당파 의원들과 활발한 접촉을 벌이고 있으며, 김성곤 의원은 '중도포럼' 구상도 밝힌 바 있다.

이밖에 손학규 전 경기지사 등 한나라당 중도개혁진영까지 미래세력에 포함하는 시나리오도 조심스럽게 거론되고 있다.

통합신당이 가시화되는 시기는 이르면 내년 3,4월, 늦으면 5,6월이 될 전망이다. 후보간 경쟁인 오픈프라이머리는 7,8월쯤에 실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통합신당의 모양새와 주도권은 대선주자들의 세력기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향후 여권발 정계개편은 각 정파간 고도의 수 싸움과 물밑 신경전이 뒤따를 전망이다. <CBS노컷뉴스/제주투데이>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