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인석 이도119센터소장.
우리 사회에서 상대적 약자인 어린이에 대한 여러 가지 범죄나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물론 사회에 있어서 그러한 현상이 없을 수야 없겠지만 그중 어이없이 희생되는 안전사고는 그 사회의 기반수준을 나타내주는 하나의 잣대가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매년 400여명의 어린이들이 교통사고로 희생되고 있으며 그중 75%는 안전할 것을 신뢰하기 때문에 무방비적이라 할 수 있는 횡단보도 보행 중에 일어나는 사고이다. 차량운행자의 안전주의가 절실히 요구되는 대목이다. 이에 철저한 스쿨존 속도준수, 어린이 보행자 절대우선 및 어린이 교통안전 수칙과 같은 강력한 교육 지도 등 등하교길 안전 확보와 관련된 기관과 학교, 학부모회의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우리는 이러한 단편적인 문제를 넘어 보다 근본적인 안전문화 기반을 생각해야 한다. 우리 제주가 지난해 안전도시 공인을 받았으나 다시금 안전도시의 의미를 되새겨봐야만 한다. 안전도시는 구성원 대다수가 일정한 시스템에 따라 안전을 위하여 노력하게끔 시스템이 갖추어진 도시이며 바로 그 점이 공인된 것인데 과연 그러한지가 의문이다. 공인조건중 하나인 지역사회 안전네트워크 구축만 해도 여러 기관을 요소로 하는 위원회가 구성되어 겉으로 보기엔 전사회적으로 거버넌스적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것 같지만 실질적인 운용에 있어 적지 않은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일부분만 목이 쉴 뿐 대부분의 구성원은 특별한 것이 없는 상태다. 여러 가지 보완책이 필요하겠지만 가장 기본적으로는 각계각층의 사회구성원이 자연스럽게 참여하게 되어 있는 2가지 시스템이 중요하다고 본다.

시스템은 가급적 복잡해서는 안 되며 단순한 접근이 요구된다.

하나는 ‘안전’과목의 학교 정규 교과목화이다. 영어나 수학처럼 많은 시간을 할애할 필요도 없이 일주일에 한 시간씩만 초등교에서 고교까지 이어질 필요가 있다. 우리는 특별자치도의 장점을 살려 특별법으로써 ‘안전’ 등 교과목을 조례로 정할 수 있도록 하면 되리라 본다.

다른 하나는 안전교육원을 신설하여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체계화 하는 것이다. 현재의 안전교육은 하면 좋지만 해도 그만, 안 해도 그만이며 또한 전체적인 프로그램이 없어 결과적으로 밑 빠진 독에 물붓기식 교육을 각급 기관에서 난립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의 이러한 교육을 앞의 2가지 시스템으로 근본적으로 바꾸어 전면 일임시킴으로써 낭비적 요소의 철저한 배제가 있어야 할 것이다. 교육자나 피교육자나 서로에게 필요한 내용이다.

지금 소방에서는 10개 분야 38개 안전도시 사고예방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다양한 업무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 전 계층의 전폭적 참여와 관심 없이는 우리가 바라는 안전도시는 이루어질 수 없다. 우리의 사랑스런 자녀들이 안전하게 생활 할 수 있는 안전한 도시 제주, 바로 우리 어른들이 해야 할 일이다. <양인석. 제주소방서 이도119센터소장 >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