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자체가 매년 4월까지 고사목을 제거해야 하는 방제지침을 어겨 재선충병이 확산됐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소나무재선충병 확산은 지자체가 산림청 방제 매뉴얼에 따라 매년 4월까지 마무리해야 할 죽은 소나무(고사목) 제거작업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이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국회 김우남 의원(민주당, 제주시 을)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기준 전국의 소나무 중 56만394그루가 고사됐다.  이 중 25.4%인 14만2340그루가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구분

경남

경북

제주

울산

부산

경기

전남

대구

충남

전북

충북

고사목

280,991

87,621

78,483

64,310

19,386

9,669

2,768

2,439

1,198

969

158

감염

추정목

71,372

22,256

19,935

16,335

4,924

2,456

703

620

304

246

40

▲2013년 9월 기준지자체별 고사목 발생현황

특히 경남·북은 각각 28만991그루와 8만7621그루가 고사됐고, 그 중 7만1372그루와 2만2256그루가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됐다.

제주도와 울산 역시 각각 7만8483그루와 6만4310그루의 고사목 중 1만9935그루와 1만6335그루가 재선충변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김 의원은 소나무재선충병이 대규모로 발생하고 있는 이들 지역의 경우 '매년 4월까지 고사목을 제거하도록 한 산림청 사업시책(지침) 과 방제 메뉴얼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아 재선충병 감염이 확산됐다고 지적했다.

지자체가 4월까지 고사목을 제거해야 하는 이유는 고사목 제거가 재선충병 확산을 저지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소나무에이즈`로 불리는 재선충병에 감염되면 100% 말라 죽게 된다. 재선충은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에 의해 전파되고 있다.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에 의한 전염을 막기 위해선 성충이 되기 전인 매년 4월 이전 고사목을 제거해야 한다.

솔수염하늘소가 5월부터 8월 사이 죽은 소나무를 찾아 수십 개의 알을 낳고, 그 알들이 성장해 다음해 5월부터 성충이 돼 감염목에서 탈출, 건강한 소나무로 이동하는데 그 직전 단계인 번데기 시기가 됐을 때 흩어졌던 재선충도 솔수염하늘소 몸속으로 모여들기 때문이다.

성충이 되는 시기가 다소 늦어질 수 있음을 고려하더라도 고사목 제거 완료 시기는 늦어도 5월을 넘기지 않아야 한다고 김 의원은 강조했다.

구분

3월

4월

5월

9월

경남

132,502

95,595

64,774

188,305

경북

31,547

28,276

918

1,477

제주

3,722

1,370

4,864

53,691

울산

-

11,340

2,919

44,786

부산

8,802

2,321

-

2,036

경기

2,360

-

-

391

전남

140

-

-

-

대구

-

-

-

-

충남

-

-

-

121

전북

180

-

-

100

충북

-

-

-

-

179,253

138,902

73,475

290,907

▲2013년 월별 시도별 고사목 잔존본수 현황

하지만 올해의 경우 4월까지도 경남·북, 제주와 울산 등의 지역은 고사목 제거가 마무리되지 못했다.

5월 말 기준 경남은 6만4774그루, 제주와 울산은 각각 4864그루, 2919그루의 고사목이 제거되지 않았다.

▲ 국회 김우남 의원.
이로 인한 재선충병 확산과 더딘 제거작업. 그리고 가뭄 등의 자연적 요인이 더해져 지난달 20일 현재 경남은 18만8305그루, 제주와 울산은 각각 5만3691그루, 4만4786그루 등 대량의 고사목이 아직까지 남아 있다.

뿐만 아니라 제주지역만도 내년 4월까지 약 6만그루에서 9만5000그루의 고사목이 더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는 등 대규모의 추가 고사목 발생이 예상되고 있다.

이에 대해 산림청 관계자는 “고사목 제거가 인력의 한계 등으로 일시에 종료될 수 없기 때문에 발견된 고사목을 초기부터 신속하게 제거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10월까지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고사목을 철저히 조사하고, 올해 말까지 최대한 제거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를 위한 정확한 예산규모와  이에 대한 구체적 예산 확보 방안도 수립되지 않은 상태다.

김우남 의원은 “고사목 완전제거를 위해서는 정확한 추가발생 예측과 고사목 제거에 필요한 인력 및 장비의 구체적인 산출을 통한 예산의 적기 확보가 필수적”이라며 “그에 대한 정부 및 지자체의 준비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 지 의문스런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김 의원은  “각 지자체는 구체적인 고사목 제거대책과 예산 확보 계획을 재수립하고, 정부도 이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철저한 지도·감독을 수행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제주투데이>

<문춘자 기자 / 저작권자ⓒ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