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상징노래조형물 건립사업과 제주문화재단 부설 조형연구소 폐지여부가 방향을 못잡고 있다.

도내 문화예술계 및 미술계 대표와의 간담회까지 가졌지만 뚜렷한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한채 적절한 대안조차 부재, 이를 둘러싼 논란이 장기화되고 있다.

ㅇ 노래조형물 건립 도중하차 할까

2001년 추경예산 확보를 통해 섬집아기 노래비 건립사업으로 시작된 상징노래조형물 사업은 1억5000만원의 사업비를 편의적으로 이월하면서까지 사업을 추진했으나 2년이 넘도록 매듭짓지 못했다.

이에대해 문예인들은 "첫 단추를 잘 못 끼웠다"며 노래비사업 철회까지 주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도에서 확정지은 사업을 문화예술재단에 위탁하는 사업 방식은 공론화를 제대로 거치지 못했다는 비판과 함께 조형물 도안 선정에 공정성까지 의심받기에 이르렀다.

더욱이 태생초기부터 폐지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재단 부설 조형연구소에서 조형물 설계 도안을 전격으로 맡으면서 미술조형물 특성상 공모 논란이 일면서 다시 불거졌다.

결국 구좌읍 종달리와 성읍민속마을에 설치하기로 한 2개의 조형물 도안 선정에 대해 일각에서는 "두 작품 모두 동일작가의 작품으로 참여했다는 작가 6명은 일종의 '들러리' 밖에 하지 않았다"는 문제까지 제기되면서 실마리를 찾기는 커녕 실타래가 엉키는 형국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제주문화예술재단은 "노래비 건립은 이사회의 의결사항이 아니라 협의사항일 뿐"이라며 "내주 중 이사진과의 간담회 형식의 자리를 마련, 매듭 짓겠다"는 입장이다.

ㅇ 조형물 존폐론도 '분분'

노래비와 달리 조형연구소 폐지건은 재단 이사회의 승인이 필요한 사항이다.

나아가 이사회(심의의원회)의 승인을 거쳐 최종적으로 도의 승인을 거쳐야 하는 사안으로 문화행정당국의 입장여부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대해 재단측은 "27일까지 아무런 입장도 결정된 바 없다"며 "이사회 소집을 통해 어떤 형식으로든 결정을 내겠다"는 입장만 표명한 상태다.

더욱이 지난 25일 가진 문화예술계 및 미술단체 대표 5인은 폐지결정에 따른 결론을 도출하지 못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조형연구소의 존폐와 관련해 △예술인 공감 없는 연구소의 설립 △대형 조형물 사업 독식 우려 △폐쇄적인 연구소 운영 등을 들어 폐지를 강력히 주창했을 뿐이다.

하지만 조형연구소 폐지가 능사인지, 이를 대체할 협의체에 대한 대안은 있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제시되지 못했다.

이에따라 도내 언론 보도 역시 '노래조형물 사업포기설' '조형연구소 폐지 전망' '노래비 딜레마' 등 제각각 보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ㅇ '미술장식품 조레 개정' 또 다른 대안

이에대해 지난 26일 (사) 제주문화포럼(원장 김연숙)은 성명을 통해 "공공조형물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그 결정과정이 투명하지 못했다"며 "결국 문화예술정책 및 환경조형물 등의 결정과정을 민주화하고 투명하게 공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마련에 나서라"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문화포럼은 △제주도 및 시.군은 미술장식품 관련 조례를 개정, 미술장식품 설치시 반드시 공모절차를 명문화할 것 △ 미술장식품 공모하는 경우 투명성 보장을 위해 공개 심사 제도를 명문화할 것 △제주도 및 시.군은 미술장식품을 발주할 때 제주작가의 참여 폭을 넓히기 위한 실질적 규정을 명문화할 것 등 3가지 요구사항을 제시했다.

이에대해 문화예술계 주변에서는 제주지역 환경조형물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 제도적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문화예술계 한 관계자는 "이번 문제가 문화예술계의 갈등양상으로 비춰지고 있는 점을 적극 감안할때 보다 빠른 결정을 내는 지혜가 필요하다"며 "환경(상징)조형물의 공공성을 감안해 새로운 틀을 짜는 세부적 전략이 필요할 때"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