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가 자생지인 왕벚나무의 보존과 자원화를 위한 국제심포지엄이 8일 국립산림과학원이 주관하고 국립산림과학원과 제주특별자치도, 한국식물분류학회 공동 주최로 서귀포 칼호텔에서 열렸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왕벚나무를 한라산에서 처음 채집한 시기부터 최근까지의 연구 역사를 조명하고, 왕벚나무를 한국의 것으로 인식시키고 세계화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또 형태적·유전적 분석을 통한 왕벚나무의 기원, 왕벚나무의 보전과 관리 등에 대한 주제발표도 진행됐다.

남성현 국립산림과학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왕벚나무는 봄의 아름다움을 가장 잘 표현하는 꽃나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그 원산지가 바로 이곳 제주도”라며 “1943년 당시 이승만 박사가 왕벚나무가 대한민국의 것임을 주장하며 아메리칸대학교 캠퍼스에 왕벚나무를 심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남 원장은 “이제 왕벚나무의 자생지와 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를 보존하고 자원화해야 한다”며 “오늘 심포지엄은 우리나라 왕벚나무의 세계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보존과 관리방안, 그리고 자원화를 논의하는 자리”라고 강조했다.

특히 남 원장은 “한라산 숲 속에 있는 왕벚나무를 앞으로 벚나무 자원화의 모본으로 삼을 ‘기준 어미나무’로 선정하는 뜻깊은 자리이기도 하다”며 “이를 바탕으로 제주도와 대한민국의 숲을 더욱 아름답고 가치 있는 명품 숲으로 조성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김찬수 박사(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장)가 왕벚나무 연구동향에 대해 발표하는 등 미국 국립수목원의 마가렛 풀러 박사, 미국 USDA(농무성)의 정은주 박사, 성균관대 김승철 교수가 주제발표했으며, 서울대학교 현정오 명예교수와 전북대 선병윤 교수가 좌장으로 심포지엄을 이끌었다.

김찬수 박사는 주제발표에서 "그동안 연구결과 제주도가 유일한 왕벚나무의 자생지이며 교잡종이라는 근거는 없다"고 주장했다.

마가렛 풀러 박사는 "미국에서 연간 100만 그루의 왕벚나무가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2200만불 규모로서 매우 가치가 높은 수종으로 환영을 받고 있다"고 소개했다.

심포지엄에 이어 9일에는 오전 10시에 한라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 관음사지소 일대 왕벚나무 자생지에서 왕벚나무 '기준어미나무' 명명식과 기념식수행사가 진행된다. 이 자리에는 원희룡 지사도 참석한다. 원 지사는 이날 영속적인 자생지 보존과 유전자원 보존 및 자원화, 그리고 벚꽃축제의 내실화 등 왕벚나무의 체계적인 보존 관리 방안에 대한 구상을 밝힐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