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유족회는 어둠에 갇혔던 제주4‧3의 논의가 본격적으로 착수된 1988년 이래 오늘날 화해와 상생의 상징으로 거듭나고 있는 4‧3의 변천 과정을 총정리한 『제주4‧3희생자유족회 27년사』가 발간됐다고 밝혔다.

이 책은 단순히 4‧3유족회의 발자취만 살핀 것이 아니라, 27년간의 4‧3 진실규명 역사도 함께 조명함으로써 그 품격을 높였고 역사적 가치도 부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제주4‧3희생자유족회(회장 정문현)는 지난해 각계 인사들로 4‧3유족회 27년사 편찬위원회(위원장 임문철 신부)를 구성해 편찬작업을 벌여 총 524쪽에 이르는 책을 발간했다. 이 책의 공동 집필은 양조훈 씨(전 환경부지사)와 김창후 씨(전 4‧3연구소장)가 맡았고, 도서출판 각에서 편집했다.

이 책은 ▲1부 수난과 억압을 뚫고 ▲2부 4‧3유족회의 발족과 진통 ▲3부 4‧3특별법 제정과 명예회복 ▲4부 4‧3특별법 제정 이후의 유족회 활동 ▲5부 화해와 상생의 길 총 5부로 구성되었다.

이 책은 27년간의 4‧3 진실규명사와 유족회의 변천사를 함께 다뤘다. 4‧3의 상흔과 후유증이 컸던 4‧3의 진실규명운동이 어떻게 시작됐고, 어떻게 좌절되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다시 발화되었는지를 살핀다. 또 1988년 반공유족회를 시작됐던 4‧3유족회가 어떤 변화 과정을 거쳐서 오늘날 제주도에서 영향력있는 단체로 거듭나게 되었는지 그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시선을 끄는 것은, 240여장의 사진이 수록된 ‘화보로 만나는 4‧3진상규명과 유족회 27년’이다. 4‧3 논의를 촉발시킨 6월 항쟁 시위 사진에서부터 반공유족회 결성대회, 양쪽으로 갈린 위령제, 경우회와 화해, 그리고 2015년 동광마을 4‧3길 개통식에 이르기까지 27년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화보가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부록으로 유족회 조직, 주요활동 일지, 주요 성명서, 전도 4‧3위령비 일람, 4‧3희생자 명단, 장한 어버이상 수상자 명단 등이 실렸다. 27년의 발자취를 총정리한 주요활동 일지와 4‧3 당시 마을별로 피해자 상황을 다룬 희생자 분포지도가 압권이다.

한편 4‧3유족회는 28일(목) 오후 3시 4‧3평화기념관에서 출판기념회를 갖는다.

※ 문의 : 725-4410, 724-4343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