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에서 건설중인 신고리5·6호기의 백지화를 위한 시민행동이 제주까지 확산되고 있다. 신고리 건설이 '공론화'의 방향으로 자리를 잡은 이후 전국적인 시민행동도 탄력을 받는 모양새다.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제주행동은 17일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도민의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행동의 출범식과 활동 계획을 알리고 있다.@김관모 기자

도내 시민사회단체와 노동단체, 진보정당 등 28개 제주 단체들은 17일 오전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도민의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고리5·6호기 백지화 제주행동'의 출범을 알렸다. 

신고리5·6호기는 지난 2012년부터 전체 사업비 8조6254억원을 책정하고 울산시 울주군 서산면에서 착공을 시작했다. 현재 1조6천억원 정도가 이미 공사비로 사용된 상태에서 문재인 정부가 원전 건설 중지를 선언하자 찬반 여론이 강하게 부딪히고 있는 향상이다. 이에 문재인 정부는 지난 7월 24일 신고리5·6호기 공론화위원회를 만들고 시민배심원단을 모집해 신고리 원전의 백지화 여부를 결정할 계획을 세웠다.

이에 원전 반대를 주장하는 시민행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제주에서도 시민단체와 정당 등이 모여 17일 '신고리5·6호기 백지화 제주행동(이하 백지화 제주행동)'이라는 이름으로 출범식을 시작한 것이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백지화 제주행동'은 "원전이 가장 많이 위치한 부산의 고리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제주지역도 피해를 벗어날 길이 없다"며 제주도도 원전의 사각 지대가 아님을 강조했다.

또한 "제주지역은 해저송전케이블로 육지부에서 도내 소비전력의 40%를 공급받고 있으며 이 전력은 원전에서 생산된 전기"라며 "지난 2006년 대규모 정전 사태의 기억처럼 핵사고로 전기가 끊어지게 될 경우 피해는 상상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17일 열린 신고리5.6호기 백지화 제주행동 기자회견에서 한 부녀가 참석해 피켓을 들고 있다.@김관모 기자

백지화 제주행동은 "지난 2010년 제주도는 소형 원자로인 스마트 원자로의 시범사업 유치를 추진한바 있어 제주지역에서의 원전 유치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며 제주도에서도 원전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도민의 여론을 모아야 한다며 이번 제주행동의 출범 취지를 밝혔다.

한편 백지화 제주행동은 "현재 시민배심원단은 공론화위원회에서 무작위로 뽑힐 가능성이 높아서, 원전이 위치한 지역주민과 원전이 없는 지역의 주민이 함께 참여하게 된다"며 "그만큼 배심원단으로 활동하기 전에 어떤 정보를 받았는지가 중요한데 찬핵 세력은 왜곡된 정보를 언론에 무리하게 확산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제주행동측은 앞으로 신고리 원전이 백지화가 되어야 하는 이유를 도민사회에 알리고 안전한 탈핵사회로 나가기 위한 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먼저 제주행동은 전국 시민행동 단체와 연대하여 매주 화요일마다 탈핵 캠페인과 도민의 탈핵 서명운동을 우선적으로 진행한다. 이후 9월 9일에는 울산지역에서 전국집중행동에 나서며, 이후 활동 계획은 회의를 통해 계속 알리기로 했다.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