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제주우체국본부는 2일 오후 5시 제주우정청이 소속된 정부제주지방합동청사 정문 앞에서 '겸배제도 폐지 촉구' 결의대회를 열었다. (사진=박지희 기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제주우체국본부는 2일 오후 5시 제주우정청이 소속된 정부제주지방합동청사 정문 앞에서 '겸배제도 폐지 촉구' 결의대회를 열었다. (사진=박지희 기자)

제주도내 우체국 집배원들이 비가 쏟아지는 날씨에도 불구하고 제주우정청 앞에 모였다.  '겸배제도' 폐지와 고강도 업무 시스템 개선을 촉구하기 위해서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제주우체국본부는 2일 오후 5시 제주우정청이 소속된 정부제주지방합동청사 정문 앞에서 '겸배제도 폐지 촉구' 결의대회를 열었다.

노조에 따르면 제주지방우정청 소속 집배원들 중 사고자는 2019년부터 올해 6월까지 217명 중 45명으로, 7명이 중상을 당했다. 사고재해율은 약 5.5%다. 안전보건공단이 밝힌 전국 평균 사고재해율(0.49%) 대비 약 11배 높다. 

노조는 이에 대해 '겸배'가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겸배란 결원이 생길 경우 같은 팀 동료들이 물량을 대신 겸해서 배달한다는 우체국 내부 은어다. 집배원 10명이 10개 구역을 맡아 나눠서 배달을 하고 있을 경우, 1명이 연차 등의 이유로 빠졌을 때 다른 집배원들이 해당 구역을 맡아서 배달하는 식이다.

이는 노조가 대체 인력 계획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이유다. 업무 강도가 높아지는 것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우정사업본부 사측과 노조는 이와 관련, 2020년 집배원 업무강도 시스템 폐기를 합의한 바 있다.

하지만 노조는 사측에서 여전히 일반편지 2.1초·택배 30초 등 집배원의 업무를 초단위로 쪼개 필요 인력을 산정하는 일이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제주우체국본부는 2일 오후 5시 제주우정청이 소속된 정부제주지방합동청사 정문 앞에서 '겸배제도 폐지 촉구' 결의대회를 열었다. (사진=박지희 기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제주우체국본부는 2일 오후 5시 제주우정청이 소속된 정부제주지방합동청사 정문 앞에서 '겸배제도 폐지 촉구' 결의대회를 열었다. (사진=박지희 기자)

김용국 제주우체국본부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집배원들이 위험하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그러나 얼마나 많은 집배원들이 다치고 있는지는 아무도 말하지 않는 실정"이라고 호소했다.

그는 이어 "보통 중상이라면 전치 3주에서 6주 정도를 생각하지만 집배원은 우정사업법에 따라 12주가 넘어야만 중상으로 판단한다"면서 "이는 집배원들의 사고 규모를 왜곡하기 위한 조치"라고 지적했다.

현직 집배원인 김형은 서귀포우체국 지부장은 "현재 근무하고 있는 서귀포시내 우체국에는 정년퇴직 등으로 공석이 있지만 지원자가 한명도 없어 자리가 채워지지 않고 있다. 위험한 일인데도 최저월급을 받으니 누가 지원하겠느냐"면서 "저도 사람을 기계 취급하는 현실을 알기에 주위에 집배원이라는 직업을 추천할 수도 없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우체국은 노조가 국가인권위에 진정을 넣는 날 스스로 폐기를 약속했다. 하지만 약속은 2년 넘게 지켜지지 않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다. 안정적인 업무강도를 위해 계속 투쟁할 것"이라고 피력했다.

문도선 공공운수노조 제주본부장은 "제주우편집중국에서는 지난 6개월간 매일 겸배가 이뤄졌다. 인력 충원보다 겸배수당(업무대행수당)을 지급하는 게 싸서 그런 듯 하다"면서 "수당은 한달 내내 일해도 20만원이다. 한 팀에 10명이 겸배한다면 한 사람당 커피 한 잔 값도 못 받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같은 시스템은 우체국에서 오직 집배원에게만 적용된다"면서 "0.1초 단위 기준을 정해 놓은 채로 일하는 집배원이 인간으로서 삶의 가치를 갖고, 행복할 수 있을지 묻고 싶다"고 여운을 남겼다. 

한편, 한국노동연구원은 지난해 11월 '사업특성별 산업재해 현황' 공개 보고서를 통해 노동시간별 산업재해율을 분석한 바 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40시간 이하 노동 대비 40시간에서 46시간 노동은 1.63배, 46시간에서 52시간 노동은 2.4배, 52시간 이상은 4.8배 산재율이 높아진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