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해양경찰서는 지난 2021년 1월 서귀포시 대정읍 신도포구 인근 모래해변에서 해양보호생물종인 상괭이 사체 2구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사진=서귀포해양경찰서 제공)
서귀포해양경찰서는 지난 2021년 1월 서귀포시 대정읍 신도포구 인근 모래해변에서 해양보호생물종인 상괭이 사체 2구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사진=서귀포해양경찰서 제공)

제주 해안 및 해상에서 발견되는 고래류의 폐사 원인이 '혼획(어획 대상종에 섞여 다른 종류의 물고기가 함께 잡히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나왔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25일 발간한 '지속가능한 바다를 위한 제주지역 불법어업(IUU : Illegal, Unreported, Unregulated의 약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제주해양경찰서와 서귀포해양경찰서에 접수된 고래류 사체 발견 건수는 제주시 104건과 서귀포시 31건 등 모두 135건이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이 발견된 고래사체는 상괭이로, 107마리다. 제주남방큰돌고래는 19마리로 집계됐다. 이외에도 참고래와 참돌고래, 혹부리고래, 밍크고래, 흑범고래 등이 확인됐다. 

바다거북 사체는 같은 기간 53건이 접수됐다. 대부분 푸른바다거북이나 붉은바다거북이다.

25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발간한 '지속가능한 바다를 위한 제주지역 불법어업(IUU)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2018년부터 2021년까지 접수된 고래류와 바다거북 사체 발견 신고 건수는 각각 135건과 53건이다. (그래픽=제주환경운동연합)
25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발간한 '지속가능한 바다를 위한 제주지역 불법어업(IUU)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2018년부터 2021년까지 접수된 고래류와 바다거북 사체 발견 신고 건수는 각각 135건과 53건이다. (그래픽=제주환경운동연합)

보고서에서는 이를 두고 고래류인 상괭이의 경우 혼획돼 버려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혼획이 단 1건도 집계되지 않은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근거로는 과거 상괭이 혼획 시 위탁판매를 허용해왔지만, 2016년 해양보호생물로 지정되면서 유통.판매가 금지되고 있는 점을 들었다. 2017년 이후 상괭이 사체의 발견 건수가 크게 늘고 있다는 것.

이 단체는 "혼획돼 숨질 경우 사체에 특별한 흔적이 남지 않는다. 사망원인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면서 "이를 확인하려면 기본적으로 부검이 필수지만 사인규명은 의무사항이 아니라 혼획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 단체는 바다거북의 경우, 혼획보다는 어구 등 해양쓰레기에 의해 숨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거북 역시 사체 부검 등 사인규명이 의무사항이 아니기 떄문에 혼획 폐사 가능성을 무시하긴 어려울 것으로 봤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25일 발간한 '지속가능한 바다를 위한 제주지역 불법어업(IUU) 보고서'에서 상괭이 등 고래류 보호를 위해 탈출장치가 부착된 안강망 의무화를 제안했다. (그래픽=제주환경운동연합)
제주환경운동연합은 25일 발간한 '지속가능한 바다를 위한 제주지역 불법어업(IUU) 보고서'에서 상괭이 등 고래류 보호를 위해 탈출장치가 부착된 안강망 의무화를 제안했다. (그래픽=제주환경운동연합)

제주환경운동연합은 고래류와 바다거북의 보호를 위해 혼획과 해양쓰레기에 의한 폐사를 줄일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단체가 제시하는 해결방안은 '탈출장치가 부착된 안강망 의무화'다.

안강망은 입구가 넓은 반면,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좁아지는 특성 탓에 상괭이가 그물 깊숙이 들어가 빠져나오지 못하고 숨지게 된다.

하지만 탈출장치를 부착한다면 상괭이는 어구 유입부에 설치된 유도망을 따라 탈출할 수 있게 된다. 상괭이만 따로 나갈 수 있는 별도의 통로가 만들어지는 셈이다.

이 장치의 정식명칭은 '해양 포유류 혼획 저감 어구'다.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이 지난 2017년부터 4년간 개발해 민간에 공개했다.

이 단체는 "물고기는 유도망을 통과해 안강망 어구 내부에 남는 원리지만, 민간은 어획량이 줄 것을 우려해 사용을 꺼리고 있다"면서 "멸종위기에 다다른 상괭이의 보호를 위해서는 현재 권장사항에 불과한 해당 장치에 대해 의무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