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선 작가/칼럼니스트
한정선 작가/칼럼니스트

문명이 탄생하고 문명은 생존을 위해서라도 기후 변화에 기민했었다. 날씨와 관련된 수많은 전설과 신화만 살펴보더라도 인류는 단 한 번도 태평하지 않았으나 요즘 더 유난해졌다. 특히나 재앙에 가까울수록 기록을 남겼던 인류 아닌가. 그 기록이 잦고 있다는 것을 탐지하고 이에 관해 쓰고 말하는 사람이 급속도로 늘어나는 풍경은 비 내리기 직전 새의 지저귐만큼이나 요란하다. 이 요란함은 인류가 단 1만여 년 만에 새로운 지질학적 명칭을 스스로 부여할 만큼 달라진 시대를, 간빙기/홀로세에 이어 인류는 대가속의 시대, 대멸종의 시대에 살게 되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시대를 ‘인류세’라 부른다.

처음 저 용어를 들었을 때는 인류가 지구 환경 오염에 지급해야 하는 세금 같은 것을 말하는 것인가 생각했다. 결과적으로 보면 틀린 말도 아니었다. 인류가 만들어낸 지질학적 시대는 인류 스스로가 지급해야 할 가장 큰 결과 즉 생명의 멸종, 인류를 포함한 다양한 생명들의 영원한 단절, 죽음 값이기 때문이다. 인류는 자신이 생성한 새로운 지질시대에서 자신이 원인이 된 재앙으로 인해 멸종함으로써 마무리될 시대에 들어섰다. 기후 위기는 아마도 지구 행성 존속과는 상관이 없어 보이기도 한다. 인류의 삶과 죽음이 걸려있고 인류 때문에 다른 종들이 멸망할 위기에 처했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어서 자연이 재앙이라 하면 지구 입장에서는 억울할지도 모르겠다. 그 어떤 지질 시대에도 그 시대 대표 종 때문에 그 시대가 열리고 닫힌 적은 없기 때문이다. 그걸 인류가 해내고 있으니 정말 대단하다고 박수라도 쳐야 할 판이다.

인류세라는 말을 회자하고 널리 알린 파울 크루첸에 따르면 ‘인간이 지질학적 힘이 된’ 이 시대는 “지구 환경에 새겨진 인간의 흔적이 매우 크고 인간의 활동이 대단히 왕성해져 지구 시스템 기능에 미치는 인간의 영향력이 자연의 거대한 힘들과 겨룰 정도가 되었다”(https://naver.me/F9nZA9ij 에서 부분 인용)고 한다. 과히 놀라운 인류의 세력화 결과다. 그럼, 박수 칠 때 떠나라는 말처럼 ‘우리’는 겸허히 떠나면 될 일인가? 글쎄. 기후 위기는 이미 인류가 생존할 수 있는 범위를 지나쳐 가며 가속화 진행 중이다. 몇십 년 전만 해도 낙천적일 수 있었으나 지금은 문명이 ‘눈부시게’ 발전한 만큼, 딱 그만큼, 나빠졌기 때문이다. 휴대전화의 발전 속도에 맞춰 성장한 것은 바로 전쟁 무기들의 발전이다. 우리는 이제 지구 전체도 망가뜨릴 수 있는, ‘놀라운’ 기술을 손에 넣었다. 따라서 앞서 말한 지구 존속은 상관없는 시대라는 말은 변경해야 한다.

이처럼 다채롭게 대재앙을 이끌어오는 시대를 이끄는 인류 활동의 '샛별'은 무엇일까. 개인? 다국적 기업? 바로 ‘군사 활동’이다. 2020년, 영국 기후학자인 스튜어트 파킨슨  보고서에 따르면 민간 산업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 비중은 항공 1.9%, 해운 1.7%, 철도 0.4% 등에 불과하지만 군사 활동에 따른 배출량은 전체의 5~6%로 추정된다고 밝히고 있다. 문제는 1997년 교토의정서 체제에서는 군사 활동의 배출량은 자동 면제 대상이었고 2015년 파리협정에서는 군사 부문 배출량을 감축할 의무도 명시되지 않았기에 각국의 국가배출량 통계에 군사 활동 분야의 배출량을 정밀하게 확인하기는 불가능하다.

이는 군사 활동의 끝판왕인, 전쟁에 따른 탄소 배출량과 그에 따른 기후 위기의 심각성은 상상의 경계를 넘을 가능서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구나 전쟁은 시작과 달리 그 끝이 불분명하다. 국가 간 다툼이 끝났다 하더라도 파묻힌 전쟁 잔해로 인해 지속되는 사상자의 출현, 파괴된 환경으로 인한 셀 수 없는 위험과 재건이라는 이름으로 발생하는 폭력은 반드시 생명을 위기에 불어넣는다. 그러니 전쟁의 반대급부에 평화가 있어야 하고 있다면, 그 평화가 지속될 수 있는 최소한의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 기간은 군사 활동이 세련돼지는 작금의 현실에서는 평화로운 환경을 생성 기간이 한없이 밀려나고만 있다.

내친 김에 이동으로 지불하는 탄소 배출량의 '샛별'까지 알아보자. 살아 움직이는 동물인 우리 인류가 이동의 자유를 가진 만큼 책임도 져야, 종차별에서든 인류 내 차별에서든 당당하게 직립보행 할 수 있을 테니 말이다. 유럽환경청 발표에 따르면 2014년 ‘혁신적 도시 이동 계획’ (TUMI) 자료를 인용하고 있는데 88인승 비행기 승객 1인당 1km 이동 시 285g, 자동차는 1.5 명이 탔을 경우 같은 거리를 이동할 때 158g, 156명이 탄 기차는 14g을 배출한다고 한다. 비행기에 발생하는 탄소발자국이 제일 크다는 연구 결과다. 비행기를 덜 타고 적게 타는 것이 바로 기후 위기에 대비한 양심적인 예의라는 것이다. 그러니 수많은 전투기 이동만 생각해도, 군사 훈련은 상상 그 이상의 결과를 내어놓음을 이로써 우리는 확인할 수 있다. 인류가 자신 특징이라 뽐내던 직립보행을 무시하고 더 편리하게 더 빨리를 외쳐댄 결과값이라 더욱 찬란하다.

더구나 제주도민 입장에서는 ‘감사’하게도 <평화의 섬, 제주>에 굳이 세계 자연유산 구럼비를 폭파하고 ‘해군기지’가 들어섰고 이제는 국토부 장관이 앞장선 프로젝트가 환경부를 통과해 ‘제2공항’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군사 훈련 기지가 참으로 다채롭게, 환경파괴 이동 수단은 참으로 위험한 지역에, 강압적이나 표면적 ‘평화’를 유지하며 안착하고 안착할 예정이다.

제주해군기지 진입도로 공사로 강정마을 강정천에 대형 교각이 설치되었다. 그 과정에서 인근 주상절리대가 붕괴되었고 주민들이 공사중단을 요구했으나 모두 무시되었다.  (사진제공 엄문희)
제주해군기지 진입도로 공사로 강정마을 강정천에 대형 교각이 설치되었다. 그 과정에서 인근 주상절리대가 붕괴되었고 주민들이 공사중단을 요구했으나 모두 무시되었다.  (사진제공 엄문희)

다시, 전쟁의 반대급부인 평화를 저해하는 원인이 전쟁이고 그 주력 기반이 비행과 관련되는 현재, 전쟁에 지원될 모든 근거와 기후 위기의 원인이자 가속화 패달이 이제 제주에 마련된 셈이다. 무덤이 언제부터 평화의 상징이었나. 죽음을 부르는 제주에서, 무덤과 닮아가는 제주에서 평화의 섬이라는 호칭이 가당키나 한가. ‘죽은’ 평화의 섬, 제주라고 왜 말을 못 하는가. 이 아늑한 무덤 안에서 맞이할 평화로운 벚꽃놀이는 과연, 평화와 얼마나 닮아있는가.

(이 기고는 프레시안에도 공동으로 게재됩니다)

국토부는 지난 2019년 6월 제주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제출했고, 환경부의 검토의견을 반영해 지난 2019년 9월 본안을 제출했습니다. 이어서 같은 해 9월과 2021년 6월에 각각 보완서와 재보완서를 제출했습니다. 하지만 환경부는 여러 번 보완되었다는 그 전략환경영향평가서를 2021년 7월에 반려했습니다. 

이와 같은 시기에 제주도에선 제주도와 제주도의회가 시민들과 함께 협의하여 사회적 공론의 장인 여론조사를 열어 도민들에게 제주의 두 번째 공항에 관한 '찬성반대'를 물었습니다. 결과는 조사기관 모두에서 반대가 나왔습니다. 사실상 제주도민은 제주의 두 개의 공항을 반대하는 것으로 결정한 결과였습니다. 그러나 당시 제주도지사였던 원희룡은 이 결정을 수용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국토부 장관이 되자마자 전략환경영향평가에 관한 환경부 반려 의견에 보완이 가능하다며 보완 가능성 검토용역을 진행했고, 과정은 전격 비공개 했습니다.

얼마 전 설악산케이블카 '조건부 동의'가 나왔고, 흑산도 공항 건설을 위해 국립공원이 해제 되는 등 환경부와 국토부에 의한 '환경 갈등'과 그로 인한 아픔이 끊이지 않습니다. 더욱이 공항 건설은 한 지역의 미래를 바꿀만한 사업이고, 그 영향은 후대와 이웃하는 모든 존재들에게 미칩니다. 그 경로에서 많은 정치적 이해와 비전이 경합하고 다툽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과정의 결정들은 그만큼 크고 무거운 것이며, 공항 반대 운동 역시 공항이라는 교통 시설 공사 반대라기 보다 반생명의 위기에서 모두가 해방되기 위한 실천적 투쟁의 하나입니다. 

전국의 신공항 계획을 반대하고 저지하려는 시민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공항 건설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를 만들었습니다. 우리가 책임감 있는 인류로서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지, 엄중한 이때에 함께 바라보고 말할 책임을 얻었기 때문입니다. 이 연속 기고는 그 시작입니다. <기획자주>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