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우주군사화와로켓발사를반대하는사람들'이 기자회견을 열어 한화우주센터 건립 철회를 촉구했다. (사진=양유리 인턴기자)
21일 '우주군사화와로켓발사를반대하는사람들'이 기자회견을 열어 한화우주센터 건립 철회를 촉구했다. (사진=양유리 인턴기자)

옛 탐라대학교 부지인 서귀포시 하원에 건립 예정인 한화우주센터가 ‘우주산업의 전초기지’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우주군사화와로켓발사를반대하는사람들’은 21일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한화우주센터 건립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제주도정과 한화시스템은 제주 우주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며 "한화시스템은 10만평이 넘는 옛 탐라대학 부지의 약 10분의1 면적에 수백억을 들여 초소형 저궤도 위성을 대량으로 만들고 수출까지 하는 우주센터를 만들겠다고 한다”고 주장했다. 

또 “한화가 쏘아올린 초소형 위성은 국민의 세금으로 개발 축적된 우주산업 기술”이며 “자본에는 이윤을, 군대에는 이득을 가져다 주겠지만 파괴되고 있는 것은 민주주의이며 더불어 생존권 박탈, 환경 파괴, 군사화 증가를 불러온다”고 지적했다. 

이어 “탐라대 부지의 대부분은 자연녹지지역과 지하수자원특별관리지역이며 그중 10% 이상은 절대보전지역에 속한다”며 “위성을 제작하는 우주센터가 들어설 경우 위성 제작과정에서 파생될 환경적 피해에 대해서도 철저히 연구, 공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21일 '우주군사화와로켓발사를반대하는사람들'이 기자회견을 열어 한화우주센터 건립 철회를 촉구하는 가운데 반전평화활동가 브루스 개그논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양유리 인턴기자)
21일 '우주군사화와로켓발사를반대하는사람들'이 기자회견을 열어 한화우주센터 건립 철회를 촉구하는 가운데 반전평화활동가 브루스 개그논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양유리 인턴기자)

기자회견에 참석한 반전평화활동가 브루스 개그논은 “우주 개발은 서구 식민지 지배권을 되찾기 위한 핵심 군사 전략”이라고 말했다.

브루스 개그논은 미국 알래스카주의 ‘코디악 섬 발사장’과 뉴질랜드의 ‘로켓 랩’의 사례를 제시하며, 제주도가 우주 군사 무기 제조창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코디악 섬 발사장과 로켓 랩 모두 기후변화 혹은 오존층 관찰 등의 연구 목적으로만 쓰인다고 밝혀 건설이 추진됐으나 현재는 우주 무기를 실험하는 장소로서만 사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 “미국은 현재 러시아와 중국을 끝없이 악마화하고 세계 패권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여론 조작까지 한다”면서 “우주기술을 활용해 지구에 대한 통제와 지배를 지속하고자 하고, 이에 동맹국들을 끌어들여 비용을 충당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기상예보나 인터넷뱅킹 등 위성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는 “발사되는 대부분의 위성들은 이중 용도로, 민간 목적의 것도 있으나 군사적으로도 활용되고 있다”며 “너무 많은 위성들이 군집하게 될 경우 위성들끼리의 충돌, 그로 인한 쓰레기 문제 등에 대한 해결책은 나오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우주군사화와로켓발사를반대하는사람들은 “한화 시스템은 한국에서 전쟁무기 생산으로 이윤과 주가를 대폭 올린 한화 에어로 스페이스의 자회사로 그 자체가 전쟁 무기 회사”라며 “한화 시스템이 우주센터를 계획하는 옛 탐라대학 부지는 강정으로부터 겨우 15분 거리로, 한화 시스템이 지을 우주센터 위성들의 주요 고객이 해군이 아닌지 질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한화시스템은 옛 탐라대학교 부지인 하원테크노캠퍼스 내에 위성개발제조(AIT) 센터를 중심으로 한 한화우주센터 건립을 추진 중이다. 현재 제주도 도시계획심의위원회 심의 등 사전절차를 마쳤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