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자치단체가 저소득층에 25만개의 일자리를 제공하겠다고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희망근로 프로젝트'가 참가 신청 미달로 파행 위기에 놓였다.

20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내달 본격적인 시행을 목표로 지난주부터 접수에 들어간 희망근로사업 신청자 수는 모집인원 25만 명의 30% 수준인 7만7000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근로 프로젝트는 정부가 1조7000억 원의 예산을 들여 저소득층 실업자, 휴·폐업 자영업자, 여성 가장 등 25만 명에게 11월까지 한시적으로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이들은 내달부터 생활환경 정비, 공공시설물 개보수 사업 등에 투입된다.

그러나 참가 신청의 마감시한(20~22일)이 다가왔지만 현재 모집인원은 절반도 채우지 못하고 있다.

19일 현재 시·도별 희망근로 접수 현황을 살펴보면, 대구에서 1만3563명 모집에 1만2435명이 신청해 91.7%로 가장 높은 신청률을 보였다. 이어 충북이 7500명 모집에 6602명이 지원해 88.0%, 부산은 2만438명 모집에 1만1235명이 지원해 55.0%를 기록했다.

반면 서울은 5만1812명 모집에 7043명만이 지원해 13.6%의 가장 낮은 신청률을 기록했다. 제주(14.5%), 충남(18.0%), 전북(19.1%), 전남(19.6%), 경기(20.2%), 경남(33.4%) 등 나머지 13개 시·도의 신청률도 50%에 미치지 못하는 저조한 실적을 보였다.

이에 대해 행안부 관계자는 "지자체 별로 신청을 받기 시작한 시점과 마감시한이 다르고 신청률이 낮은 것이 아니다"라며 "희망근로 사업 홍보도 열심히 하고있다"고 해명했다.

이처럼 희망근로 신청이 저조한 이유는 홍보 등 준비가 부족한 측면도 있지만 낮은 임금의 30%를 상품권으로 지급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희망근로는 하루 8시간 주 5일 근무에 월 83만원(교통비 등 하루 3000원 별도) 정도의 임금을 받게 된다. 그러나 신속한 소비를 유도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한다는 취지로 임금의 30~50%를 상품권(쿠폰)으로 지급해 비판여론이 일었다.

이 상품권은 백화점이나 대형마트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재래시장과 골목상권 내 가맹업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돼 있다. 특히 상품권을 임금지급일 기준으로 3개월 안에 모두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시행 전부터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6개월간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시한부' 일자리는 점과 잡초제거, 가로정비 등의 단순 일거리라는 점도 청년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행안부가 지자체를 통해 홍보에 안간힘을 쏟고 각 지자체별로 접수기간을 연장하고 있지만 정원 확보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뉴시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