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오전 현지홍 도의원(왼쪽)과 김동현 제주민예총 이사장(가운데)이 제주도의회에 박진경 추도비 옆 4·3 안내판 설치를 요청하는 청원서와 소개의견서를 제출하고 있다. (사진=4·3기념사업위원회 제공)
10일 오전 현지홍 도의원(왼쪽)과 김동현 제주민예총 이사장(가운데)이 제주도의회에 박진경 추도비 옆 4·3 안내판 설치를 요청하는 청원서와 소개의견서를 제출하고 있다. (사진=4·3기념사업위원회 제공)

4·3 당시 제주도민을 향해 무차별 강경진압 작전을 펼쳤던 연대장. 그 인물에 대해 역사적 책임을 묻기는커녕 그 죽음을 기리는 비석이 제주도에 떡 하니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모순된 광경을 그대로 지켜볼 수 없는 사람들이 나섰다. 제주지역 4·3단체들과 시민사회단체들은 박진경 추도비 옆에 당시 역사를 명시한 4·3 안내판을 설치해줄 것을 도의회에 요청한 것.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는 이날 오전 10시 제주4·3연구소와 제주 4·3도민연대, 제주민예총,  등 4·3단체들과 제주주민자치연대, 제주통일청년회, 제주평화인권센터 등 30개의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해 박진경 대령 추도비 올바른 4·3안내판 설치에 대한 청원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단체들은 청원서에서 “대다수 4·3희생자와 유족 입장에서는 강경진압의 책임자 중 하나인 박진경 대령을 추도하는 비석이 제주 땅에 설치되어 있는 것은 역사의 후퇴”라며 “행정당국 차원에서 올바른 4·3안내판 설치 등을 통해 다음 세대를 위해 4·3에 대한 역사를 제대로 알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일 제주특별자치도 보훈청이 ‘4·3 도민 학살 주역’이라 평가 받는 박진경 추도비에 씌운 철창 조형물을 철거했다. '역사의 감옥'을 설치했던 시민사회 단체들은 그 자리에 현수막을 내걸었다. (사진=조수진 기자)
지난해 5월20일 제주특별자치도 보훈청이 ‘4·3 도민 학살 주역’이라 평가 받는 박진경 추도비에 씌운 철창 조형물을 철거했다. '역사의 감옥'을 설치했던 시민사회 단체들은 그 자리에 현수막을 내걸었다. (사진=조수진 기자)

대표 청원인인 김동현 제주민예총 이사장은 “4·3진상조사보고서를 비롯한 객관적인 역사로서도 박진경 대령은 추도의 대상이 아닌 단죄의 대상일 수밖에 없다”며 “역사를 바로잡는 일은 마땅하게 이행해야 할 최소한의 행정행위”라고 말했다. 

이번 4·3 역사 안내판 청원에는 8명의 도의원이 소개의원으로 참여했다. 대표 소개의원인 현지홍 도의원은 “4·3 당시 故 박진경 대령에 대한 객관적인 사실을 정리해 도민사회는 물론 다음세대에 역사의 진실을 알리는 작은 이정표가 필요하다”면서 “4·3유족은 물론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4·3 역사 안내판 설치를 행정 차원에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소개의원으로 참여한 의원은 현지홍 의원을 포함해 고의숙 교육의원, 김경미·이상봉·정민구·한동수·한권·현길호 의원 등이다. 고 교육의원을 제외한 의원 모두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이며 국민의힘 소속 의원은 한 명도 없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