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들불축제 숙의형 원탁회의 운영위원회는 26일 원탁회의 설문조사 결과와 최종 권고안을 공개했다. (사진=제주시 제공)
제주시들불축제 숙의형 원탁회의 운영위원회는 26일 원탁회의 설문조사 결과와 최종 권고안을 공개했다. (사진=제주시 제공)

기후위기 시대 존폐 기로에 놓였던 제주들불축제가 일단은 존치될 것으로 보인다. 시대의 흐름에 맞춘 근본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권고가 나와 제주시의 최종 결정이 주목된다.

제주시들불축제 숙의형 원탁회의 운영위원회는 26일 원탁회의 설문조사 결과와 최종 권고안을 공개했다.

지난 19일 도민참여단 200명 중 187명이 참여한 원탁회의 결과, 들불축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50.8%로 과반을 차지했다. 폐지 의견은 41.2%로 집계됐다. 잘 모르겠다는 입장은 8%에 불과했다.

앞서 8월 31일부터 이번달 5일까지 진행된 도민 인식조사에서는 들불축제 유지 56.6%, 폐지 41.2%, 유보 8%로 나타난 바 있다. 

들불축제 대안을 묻는 질문에는 현행 방식을 유지하자는 의견이 30.5%(57명)로 가장 많았다.

그 외 ▲자연환경 보호를 위해 새별오름을 그대로 보존하기 20.3%(38명) ▲오름에 불 놓지 않기 19.8%(37명) ▲새로운 축제 개발 추진 18.2%(34명) ▲기타 11.2%(21명) 등 의견이 나왔다.

2019년 들불축제의 메인 행사인 '오름불놓기'가 진행되고 있다.(사진제공=제주특별자치도)
2019년 들불축제의 메인 행사인 '오름불놓기'가 진행되고 있다.(사진제공=제주특별자치도)

운영위는 권고안을 통해 "제주들불축제가 제주 지역의 문화적 가치를 지키며‘생태·환경·도민참여’의 가치를 중심으로 근본적인 변화를 추구할 것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후위기 시대, 도민과 관광객의 탄소배출, 산불, 생명체 훼손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대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며 "이러한 시대적 전환에 둔감할 수밖에 없었던 ‘관 주도 추진’, ‘보여주기식 축제 기획’에 대해서는 획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운영위는 "참여단의 최종 숙의 결과는 오름불놓기가 테마인 제주들불축제가 ‘생태적 가치’를 중심으로 ‘도민참여’에 기반을 둔 ‘제주시민이 함께하는 축제로 재탄생’해야 한다는 의견"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오름에 불을 놓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우회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풀이된다.

운영위는 앞서 제기됐던 도민참여단 구성 방식에 대해서도 유감을 표했다. 제주녹색당은 세대별 배분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한 바 있다. 참여단 중 18세에서 29세까지의 청년 참가자가 2명(1%)에 불과한 것에 비해 60대 이상은 96명(51%)에 달했던 것.

운영위는 "숙의형 원탁회의의 공정한 절차를 확보하기 위해 들불축제 존폐 답변비율, 지역·성·연령별 등 균형 있는 도민참여단 선정을 당초 계획했다"며 "그러나 현실적 조건 및 참여자 모집에 대한 한계로 계획이 어긋났다"고 밝혔다.

운영위는 권고안을 강병삼 제주시장에게 전달할 계획이다. 강 시장은 권고안을 검토한 후 수용 여부와 대안을 제시하기로 했다.

한편, 제주들불축제는 지난 1997년부터 시작됐다. 목축업을 생업으로 삼아 해묵은 풀과 해충을 없애기 위해 겨울에 마을별로 불을 놓던 전통풍습을 재해석, 축제로 만든 것이다. 

새별오름에 불을 놓기 시작한 것은 애월읍 어음, 구좌읍 덕천을 거쳐 4회째부터다. 매해 정월대보름에 열다 2013년부터는 축제시기를 봄으로 옮겼다. 이후 대한민국축제콘텐츠 축제관광부문 대상 등을 수상하며 제주를 대표하는 행사가 됐다.

지난 2020년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에 따라 전면 취소, 2021년엔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됐다. 지난해부터는 그대로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개최시기인 3월이 건조해 전국 곳곳에서 산불주의보가 내려지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졌고, 이후 취소됐다. 올해도 경남 하동 등 산불로 취소됐다.

여기에 탄소배출, 미세먼지 발생 등 기후위기 시대에 역행해 축제를 폐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에 올해 4월 청구인 749명이 관련 숙의형 정책개발을 청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