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이 가는 곳은 휴대전화가 안터진다?

▲대통령이 있는 곳에서는 휴대전화 불통, 의도적 차단

제17대 대통령 취임식이 열린 25일 국회 주변은 행사가 치러진 2시간 여 동안 모든 휴대전화가 불통 됐다. 취임식에 초대된 국민들의 입장에서는 역사적인 순간을 휴대폰으로 친구나 가족들에게 중계하고 싶었겠지만 현장은 통신차단으로 휴대전화의 안테나가 모조리 사라져버린 것.

이 전파차단은 행사장인 국회의사당 인근지역에도 영향을 미쳐 개인 통화는 물론 업무적인 무선통화도 불통되는 작은 소동(?)이 빚어지기도 했다.

국회의사당 맞은편 건물에서 업무차 휴대전화를 사용하려 했던 임 모씨는 "오전에 휴대폰을 사용하려 했더니 전화가 터지지 않아 의아했다"며 "대통령 취임식중이라 전파라도 차단한 모양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실제 대통령이 머무는 행사장에서는 휴대전화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동통신업체들에 따르면, 청와대 경호실 등 관계기관에서 요인 경호을 위해 행사지역에 대한 전파차단을 요청해오면 출력조절 등 전파차단을 통해 일시적으로 해당지역에 대한 통신전파를 차단한다.

한 경호관계자는 "대통령이나 경호실법에 의거한 요인, 국빈 등의 경호를 위해 필요한 지역의 통신을 차단함으로써 혹시 모를 테러위협에 대처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통령경호실법 제4조에 따르면, 경호실장은 경호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경호구역을 지정할 수 있고, 경호목적상 불가피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경호구역 안에서 안전조치 등 위해방지에 필요한 안전활동을 할 수가 있다.

▲ 노컷뉴스/제주투데이
▲휴대전화 전파통제 일정구역만 어떻게?

그렇다면 어떻게 전파통제를 하는 것일까? 알고보면 원리도 간단하고, 통제도 간단하다.

일부 극장에서처럼 영화감상을 방해하는 휴대전화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강력한 방해전파를 발사해 휴대전화를 '먹통'으로 만든다. 하지만 대통령 행사와 같이 규모가 큰 경우, 경호기관 자체적으로 방해전파를 쏘기위한 장비설치가 어렵기 때문에 이동통신사의 협조를 구해 '간단히'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25일 오전 대통령 취임식이 열린 국회의사당의 경우, 행사장 주변에 위치한 이동통신 3사의 기지국 전파 송수신기를 중앙 센터에서 조절해 전파차단이나 출력을 조절해 이 지역의 휴대전화 송수신을 차단했다. 집 안에 들어오는 전기 중에서 안방 형광등만 끄는 것과 비슷하다.

특히 행사장인 국회의사당을 벗어난 맞은편 일부 건물에서까지 휴대전화가 불통된 이유는 의사당 안마당이 훤히 보이는 높은 건물에서의 저격암살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이 외 지역에서는 아무런 문제없이 휴대전화 통화가 가능했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미국이나 일본 등 이동통신 서비스가 발전한 외국에서도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일종의 통신경호 방법이다.

▲ 휴대전화가 왜 테러 위협 요인일까?

휴대전화의 전파를 차단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요인 경호때문이다. 행사장 내에서 테러범들이 누구나 가지고 있는 휴대전화를 이용해 요인의 위치나 행사장내 정보, 테러계획 등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영화에서처럼 휴대전화의 특정 주파수를 이용해 기계장치를 움직여 차량테러나 원거리에서 암살을 기도할 수도 있다.

휴대전화 전파와 다른 무전기나 별도의 통신기기도 경호기관의 특정대역 주파수 방해전파 장비로 어느정도 차단이 가능하다는 것이 경호관계자의 말이다.

이때문에 청와대 경호원들이나 행사장 주변의 경호관계자들의 무전기 사용은 특정 주파수대역을 조절해 차단하기 때문에 사용에 문제가 없다. 대통령도 위급상황시 위성 등을 이용한 전용통신망이 별도로 있어 참모진이나 외국 원수들과의 '핫라인'은 언제라도 가능하다.

정통부의 한 관계자는 "대통령 경호를 위한 전파통제 요청은 보안사항이기 때문에 공식적인 도로교통통제 공지와 달리 일반에 공개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일정 지역의 휴대전화 등의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을 수 있지만 일시적이고, 국가원수의 안전을 위해 감수해야 할 사항으로 본다"면서 이용자들의 이해를 구했다. <노컷뉴스/제주투데이>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