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주참여환경연대 제공)
(사진=제주참여환경연대 제공)

제주시가 추진하고 있는 가로수 식수대 개선 사업과 관련, 도내 시민사회단체가 가로수 뿌리 훼손 문제에 대한 근본적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제주참여환경연대는 9일 성명을 내고 "가로수 식수대 개선사업을 중단하고, 근본적 개선방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전날인 8일 마리나사거리와 신광사거리 사이 가로수로 심어져있던 구실잣밤나무 뿌리가 파헤쳐지고 있다는 시민의 신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는 제주시가 42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추진하는 가로수 식수대 개선사업의 일환이다. 이 단체 관계자가 현장 방문 결과, 도로 양쪽 가로수 중 한쪽 뿌리 주변이 모두 파헤쳐져 있었고, 잘려나간 뿌리가 더미를 이뤄 쌓여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단체는 "비좁은 식수대로 인해 가로수 뿌리가 잘리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공사"라면서 "한 전문가는 이 정도 뿌리를 제거하면 나무의 생육에 지장을 줄 수 있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참여환경연대는 애초 가로수를 심을 때부터 장기적 생육을 고려하지 않고, 전시행정식으로 가로수를 식재했다고 지적했다. 최근 가로수 관련 이슈가 떠오르자 겉으로 드러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시행정을 반복하고 있다는 것. 

이 단체는 "가로수 식수대가 챠량 위주의 교통정책이 낳은 결과"라면서 "식수대 주위의 경계석을 제거한다고 근본적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은 명확하다"고 일갈했다.

또 "시민의 보행환경을 향상시키고,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울창한 가로수를 위해서는 속도 제한이 있는 도심 도로의 폭을 줄여서 인도와 가로수 식수대 면적을 넓혀야 한다"면서 "가로수 식재 시 성장에 따라 충분히 뿌리 생육이 가능하도록 토양을 조성하는 등 기본 메뉴얼을 마련하는 정책적 뒷받침도 필요하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제주도 당국은 땜질식 가로수 관리를 중단하라"면서 "기후위기 극복의 핵심 인프라인 가로수에 대한 철학적 전환을 통해 자동차를 줄이고 보행환경은 개선하는 등 장기적 계획에 기초한 가로수 정책을 다시 세워야 한다 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