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는 25일 오전 제2차 관광정책 스터디그룹 회의가 열고 야간경제 활성화 방안을 모색했다.(사진=제주특별자치도 제공)
제주도는 25일 오전 제2차 관광정책 스터디그룹 회의가 열고 야간경제 활성화 방안을 모색했다.(사진=제주특별자치도 제공)

'야간경제' 활성화를 위해 제주올레에 야간 조명과 푸드트럭을 설치하자는 주장이 나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5일 오전 관광정책 스터디그룹 회의를 열고 야간경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날 회의에서 야간경제 활성화를 위한 여러 가지 제안이 나왔는데, 그 중 하나가 제주올레 8코스에 야간 조명을 설치하자는 것이다.

이날 회의에는 제주관광공사, 제주관광협회, 제주연구원, 제주대와 한라대, 관광·건설주택·경제일자리·문화 관련 부서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정강환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한류대학원장의 주제발표와 오영훈 지사 주재로 토론이 이뤄졌다.

발제를 맡은 정강환 교수는 ‘신 야간경제 개념을 적용한 제주경제 활성화 전략’에 대한 주제 발표를 통해 “유럽 전역을 넘어 미국 뉴욕, 호주, 싱가포르, 중국, 일본 등 세계 전역으로 야간경제의 중요성이 번지고 있는 만큼 신 야간경제시대 개념을 제주도에서 선제적으로 적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유럽 전역? 사실관계부터 바로 잡을 필요가 있다. 유럽의 특정 대도시를 제외하면 야간경제가 활성화 된 곳은 드물다. 다른 국가들도 마찬가지다. 야간경제가 활성화된 곳은 대체로 대도시에 국한돼 있다. 야간경제는 기본적으로 인구밀도가 높은 대도시와 다음날 일할 걱정이 없는 관광객이 몰려드는 휴양도시 중심의 패러다임이기 때문이다.

한국의 경우 전주시와 진주시 등이 야시장, 유등 등의 콘텐츠를 통해 야간경제를 활성화하고는 있다. 지역의 역사성을 가진 공간을 활용하고, 전통 시장을 이용해 야간경제에 걸맞은 콘텐츠를 개발한 결과다. 이를 통해 얼마간 야간경제 활성화를 통한 성과를 보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어떤 아이디어들이 나왔을까. 문성종 제주한라대 교수는 제주에서 추진하는 역사문화지구 조성사업과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한옥 등 전통적인 콘텐츠를 야간경제에 도입한 전주시의 사례를 보자면 역사문화지구 조성사업과 야간경제를 연계하는 방안이 지역 활성화 측면에서는 긍정적일 수 있다. 다만 상권 활성화로 인한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우려도 따른다. 상권이 발전하지만 정작 주민들은 그 지역으로부터 밀려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날 나온 제안 중 가장 눈길을 끄는 대목은 주상용 제주컨벤션센터 전문이사의 발언이다. 주상용 이사는 “중문관광단지 내 야간경제구역을 지정하고 ‘더 클리프’와 같은 MZ세대가 선호하는 뮤직클럽 거리 조성, 중문색달해수욕장 국제서핑대회 유치, 제주산 맥주축제 등 콘텐츠를 집적화하고, 제주올레 8코스에 야간조명과 푸드트럭 설치”를 통한 중문지역 활성화를 제안했다.

올레길을 밝히는 조명을 설치하자는 제안은 제주의 자연과 옛마을에 형성된 길을 걷도록 하는 올레길의 기본적인 취지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인공시설물만 '야간경제'에 도움이 되는 것일까. 올레길 탐방객들은 눈 부신 인공 조명보다 어둠 속에서 우는 풀벌레 소리를 기대하며 제주를 찾지 않았을까.

이날 회의에서 제안된  내용들을 들여다보면 추후 야간경제를 활성화를 명분으로 유행에 따르는 조악한 조명 시설 등만 난립하는 것은 아닐까 우려된다. 야간 경관 개선을 목적으로 해안 곳곳에 뿌려놓다시피한 조명시설들이 떠오른다. 관리도 잘 이뤄지지 않는다. 조악한 시설 난립으로 오히려 자연 경관만 망가뜨리고 있는 현 상황에 대한 평가와 반성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 이쯤 되면 이런 생각이 든다. 상권 보호와 도시 미관 저해 등을 명분으로 없애버린 포장마차야말로 꽤 괜찮은 야간경제 콘텐츠가 아니었나라는.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