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인의 날을 맞아 제주 농민들이 농민 처우 개선을 위한 대안을 촉구했다.
전국농민회총연맹 제주도연맹은 11일 성명을 내고 “농민들이 농지를 떠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하루짜리 잔치판이 아니라 진정 농민을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농 제주도연맹은 “11월11일은 농업인의 날이다. 우리 농민들은 왜 이날이 농업인의 날이 있는지조차 모르고 있다”며 “현실이 이런데도 전국 각지에서는 농민들을 위로한다면서 행사를 치르고 생색 내기 바쁘다”고 말했다.
이어 “제주도정 또한 오는 15일 농업인의날 행사를 한다”며 “정부와 지자체가 우리 농민을 위한다면 이런 잔치판을 벌일게 아니라 다 죽어가는 우리나라 농업, 제주의 농업을 위해 대안을 내놓는게 우선”이라고 지적했다.
또 “지금 우리 농민들은 기후재난으로 수확량은 감소했고, 필수농자재 가격 상승으로 생산비는 급등했다”며 “농가 소득은 바닥을 치고 있다. 그 결과 전국 농가당 소득은 월 100만 원도 안된다는 정부 통계발표도 나왔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메밀 수발아(이삭에 싹이 트는 것) 현상으로 수확도 못하고 갈아 엎어야 했고, 마늘도 벌마늘(마늘쪽이 늘어나 상품가치가 떨어지지는 마늘)이 돼 수확 상품이 현저히 줄어들었다”며 “당근은 가뭄으로 씨앗이 발아되지 않아 갈아 엎어야 했고, 감귤과 레드향은 열과·낙과 현상으로 수확량이 엄청나게 감소했다”고 호소했다.
전농 제주도연맹은 “이 결과 농가의 소득은 점차 하락하고 은행 연체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경매로 나오는 농지 또한 증가하고 있다”며 “이런 농민들의 상황에 정부와 지자체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라고 물었다.
이 단체는 “대통령의 제1호 거부권 행사가 양곡관리법 개정안이었다. 농업에 대한 일체의 이해도 하지 못하고 거부권을 행사한 것”이라며 “물가 상승 주범을 농산물로 몰아부치고 농산물 수입을 늘려 농산물 수확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농민들은 더 깊은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더불어 “제주도정 또한 기후재난으로 인한 농민들의 피해를 농작물재해보험에 전적으로 위임하고 있다”며 “농작물재해보험 가입대상이 아닌 품목들은 행정에서 주는 보상금에 울며 겨자 먹기로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레드향 열과현상으로 농가들에게 발생한 피해가 상상을 초월할 정도이지만 제주농정당국의 대처를 보면 우리 제주농민들이 믿고 의지할 수 있는 행정인가 의심스럽다”며 “해상물류비와 제주도 농산물의 작부체계 문제, 돌려막기 형태의 농업예산 문제 등은 농민들이 알아서 해결 할 문제가 아니”라면서 행정당국에 대안 마련을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