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과 고령화는 국내에서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사회 문제이지만 지역 여건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 차원에서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는 요구는 꾸준히 있어왔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는 이달부터 오는 4월 중순까지 제주지역의 저출생과 고령화 현황을 분석하고 대응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용역을 진행한다.
13일 도의회 저출생·고령화대책 특별위원회(위원장 홍인숙)는 소회의실에서 ‘제주특별자치도 저출생 정책 현안 및 대응방안 마련 연구용역’과 ‘제주특별자치도 초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정책 현안 및 대응방안 마련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저출생 관련 연구용역은 김홍철 책임연구원(사회복지연구소) 등으로 구성된 연구진이 수행하며 출생률 관련 통계와 관련 법률, 기본계획 등을 분석하고 국내외 사례조사와 면접조사, 설문조사, 전문가 자문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고령화 관련 연구용역은 제주연구원 고령사회연구센터(연구책임 김재희 센터장)가 수행하며 제주지역 인구고령화 현황 및 정책 현안을 분석하고 초고령사회 대응 4대 핵심 영역별(고령사회 건강증진, 고령자의 사회역할 확대, 노후생활 경제적 불평등 완화, 부정적인 노년 인식 개건)로 정책 대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날 착수보고 이후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연구 추진 시 타지역과 중복되는 연구 내용을 최소화하고 제주의 지역적 특성이 담긴 연구 결과 도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또 저출생 문제에 있어서 오늘날 다양한 가족 형태와 청년 세대가 결혼을 꺼리는 이유에 대한 검토가 면밀히 이뤄져야 하고 고령화 대응책으로서 대가족 형태 거주자에 대한 인센티브 지원 등 다양한 형태의 지원책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점이 제시됐다.
홍인숙 위원장은 “그동안 제주지역의 저출생과 고령화 문제를 중심로 한 연구용역은 전무하다시피 했다”며 “이번 연구용역의 결과가 미래 제주를 위한 의미있는 정책 마련의 기초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