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오후 제주 서귀포시 황우치해안과 화순금모래해변 일대에서 제주기후평화행진이 진행되고 있다. 오른쪽 윗편 기다란 방파제가 화순항 동방파제, 그 아래 조금 짧은 방파제는 해경 부두 방파제. (사진=조수진 기자)
24일 오후 제주 서귀포시 황우치해안과 화순금모래해변 일대에서 제주기후평화행진이 진행되고 있다. 오른쪽 윗편 기다란 방파제가 화순항 동방파제, 그 아래 조금 짧은 방파제는 해경 부두 방파제. (사진=조수진 기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해양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제주도 전 연안을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할 것을 촉구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25일 발표한 성명에서 이 같이 밝혔다.

지난 24일 제주도의회 한권 의원이 제주도의 주요 업무보고에서 해양보호구역 확대 방안에 대한 적극적으로 대책과 방법을 강구할 것을 주문하며, 주민 수용성이 확보된다면 제주도 전 연안의 해양보호구역 지정 필요성도 제시한 바 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이에 대해 "최근 이상기후와 육상양식·어업활동, 해양레저 활동 등으로 인한 바다 생태계의 오염과 변화를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상황에서 매우 적절한 제안으로 적극 환영한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해양보호구역 확대 지정은 국가 차원의 해양보호구역 확대 정책에 부합될 뿐만 아니라 정부의 지원을 통한 해양생태계 보전과 다양한 지역주민 참여사업으로 연계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제주도가 적극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리고 제주도의 해양보호구역 보전관리 강화를 위한 해양보호구역 조례 제정이 필요하다. 제주도와 제주도의회는 해양보호구역과 그 주변 지역 해양환경의 건강성과 생물다양성을 체계적으로 보전·관리하기 위한 조례 제정을 조속히 이행해야 한다."며 "제주도의회가 해양보호구역 확대에 관심을 보인 만큼 현재 표류하고 있는 해양보호구역 조례의 조속한 제정을 통해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정책이 추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다음은 성명 전문.

해양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제주도 전 연안의 해양보호구역 지정 필요하다.

제주도의회 한권 의원이 어제 있었던 제주도의 주요 업무보고에서 해양보호구역 확대 방안에 대한 적극적으로 대책과 방법을 강구할 것을 주문했다. 특히, 주민 수용성이 확보된다면 제주도 전 연안의 해양보호구역 지정 필요성도 제시했다. 최근 이상기후와 육상양식·어업활동, 해양레저 활동 등으로 인한 바다 생태계의 오염과 변화를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상황에서 매우 적절한 제안으로 적극 환영한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제주 전 연안의 해양보호구역 지정과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해양보호구역법 및 조례 제정을 통해 위기에 처한 바다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을 제안해 왔다. 해양보호구역은 바다의 건강성을 회복하는 일환으로 무리한 개발행위와 불법 어업을 근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기존의 정상적인 어업활동 보장과 해양쓰레기 수거, 치어 및 종패 방류 등 지역주민 소득 증대와 해양 생태관광 활성화에도 이바지한다.

해양보호구역 확대 지정은 국가 차원의 해양보호구역 확대 정책에 부합될 뿐만 아니라 정부의 지원을 통한 해양생태계 보전과 다양한 지역주민 참여사업으로 연계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제주도가 적극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정책이다.

그리고 제주도의 해양보호구역 보전관리 강화를 위한 해양보호구역 조례 제정이 필요하다. 제주도와 제주도의회는 해양보호구역과 그 주변 지역 해양환경의 건강성과 생물다양성을 체계적으로 보전·관리하기 위한 조례 제정을 조속히 이행해야 한다. 이번에 제주도의회가 해양보호구역 확대에 관심을 보인 만큼 현재 표류하고 있는 해양보호구역 조례의 조속한 제정을 통해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정책이 추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제주도의 연안은 전국에서 가장 생물다양성이 뛰어난 곳이다. 제주도 전 연안 해양보호구역 지정을 통해 우리의 바다가 건강성을 회복하여 지속가능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끝.

2025. 02. 25.

제주환경운동연합(김민선·정봉숙)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