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 도시재생지원센터(원장 나해문)는 지난 11월 11일, 도시재생 주민 공동이용시설인 신영물행복센터(서귀포시 대정읍 신영로 46)에서 <제주도시포럼 2025>, <도시재생 거점시설 운영 활성화>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지난 10월 15일부터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시재생지원센터,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가 공동으로 주관하고 있는 <제주도시포럼 2025>는 본 행사 외에도 생활문화와 평생교육, 로컬크리에이터, 공공건축, 기후위기, 도시재생 거점시설 및 중간지원조직 등 도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7가지 주제를 선정하여 시민사회단체, 마을공동체, 그리고 주민들의 얘기를 들어보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이번 워크숍은 도시재생 거점시설이 지향해야 하는 바는 무엇인지 서울시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제주시, 서귀포시 도시재생활성화 사업 종료지역의 현장을 돌아보는 시간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공동체 법인 주도 도시재생 거점시설이 가야할 길>을 주제로 발제를 맡은 서울 디어시티사회적협동조합 이종필 이사장은 도시재생 거점시설 운영활성화를 위해 운영조직의 자립을 넘어 공립(共立)형 시설 운영 모델을 제안했다.

 이종필 이사장은 “공립형 도시재생의 가치는 주민 홀로 서는 자립이 아니라 주민, 행정, 전문가가 공동의 책임과 성장을 나누는 삼각 협력 구조”라며, 행정 주도의 지원 방식을 담은 사후관리 조례의 한계를 극복하고 주민의 적극적인 성과 창출과 이에 따른 예산을 지원하는 SIB(Social Impact Bond) 방식을 제안했다.

토론에 나선 서귀포시 최남단대정읍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 고석종 이사장은 “대정의 경우 자활사업단, 장애인주간보호센터, 다함께돌봄센터, 문화중개소 사업 등 지역 수요에 기반한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돌봄, 교육 등의 공공서비스 매칭을 통한 거점시설 운영 활성화 방안에 대해 이야기했다.

또한 제주시 신산머루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 김동근 전 이사장은 “서울시의 도시재생 사업 종료 이후 활동가들의 역할과 공간 대관을 통한 거점시설 운영 활성화 방안이 참고가 되었다”며 소회를 밝혔다.

이번 포럼의 좌장을 맡은 제주도시재생지원센터 나해문 원장은 토론을 종합하며 “도시재생 사후관리라는 용어가 지닌 관리 주체의 불명확성을 해소하고 지역 수요에 기반한 생활서비스 공급 기능에 충실해질 시점”이라며, 도시재생 사후관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주도 도시재생사업 사후관리조례의 개정을 제안하였다.

한편 <제주도시포럼 2025>는 오는 11월 14일(금)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을 주제로 한 워크숍을 끝으로 한 달여간의 제주 도시담론의 대여정을 마무리 한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