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평화재단(이사장 김종민)은 제주4·3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축하하고 4·3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는 음악 콘텐츠 제작발표회 및 토크콘서트 <돔박고장>을 오는 11월 29일(토) 오후 5시 제주4·3 평화교육센터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돔박고장’은 제주어로 ‘동백꽃’을 뜻하며, 4·3의 상징인 동백꽃을 통해 아픔을 품은 이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전하고자 하는 취지로 기획되었다.
이번 행사의 핵심인 <제주 4·3을 기억하며>음반은 총 사운드오브제주에서 1년 전부터 기획해 온 총 4개의 앨범, 40곡으로 구성된 프로젝트이다. 잃어버린 얼굴과 목소리, 이유 없는 죽음에 대한 탄식을 음악으로 승화시켜 위로와 희망의 메시지를 담는 데 집중했다.
전체 음반은 사운드오브제주가 제작하고 핑크페이퍼가 유통을 맡았다. 제주4·3평화재단(주최)과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후원)가 함께하는 사회공헌사업으로 제작된 음원은 저작권 문제없이 다양한 공간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제공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제작에 참여한 제주유스코러스는 2025년 로마 산타마리아 델리 안젤리 에 데이 마르티리 대성당에서 평화 레퀴엠에 참여했던 합창단으로, 문효진 작곡의 <Peace Requiem : 제주 4·3을 기억하며> 중 일부 곡도 포함되어 4·3의 평화가치 를 국내외에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음반 제작은 4·3 관련 공식 창작곡 부족, 매년 반복되는 문화행사 구성, 교육 현장에서의 저작권 제약 및 기존 콘텐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음악을 통해 청소년들의 감성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융합형 교육 콘텐츠로 확장하여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목표다.
또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발맞춰 제주어를 활용한 지역문화 자산화 및 세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의 일회성 공연으로 끝났던 음악들이 온라인으로 정식 발매하고 유통됨에 따라 전세계 어디서든 찾고 듣고 공유할 수 있다.
주요 앨범으로는 클래식의 선율을 담은 <꿈꾸고 난 뒤 After A Dream>, 창작 음악 <잃어버린 숲 Lost Forest>, 4·3 영화 수록곡 <웡이자랑 Wongijarang>, 그리고 청소년들과 함께 만든 <돔박꽃 Dombak Flower>이 있다.
특히 아이들의 순수한 시선이 담긴 <애기 동백>(김채림 작사·작곡)과 <멘도롱한 봄나들이>(김지유 작사/ 구윤아 작곡, 제7회 학생 4·3 문예부문 최우수상) 등은 4·3의 아픔을 넘어 따뜻하고 '멘도롱헌(따뜻한)' 봄날의 평화를 염원하는 강력한 치유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전체 음반은 사운드오브제주가 제작하고 핑크페이퍼가 유통을 맡았다. 제주4·3평화재단이 주최하고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가 후원하는 이번 사회공헌사업으로 제작된 음원은 저작권 문제없이 다양한 공간에서 활용되도록 제공할 예정이다.
제주4.3평화재단 관계자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계기로 4·3의 아픔을 위로하는 방식을 기존보다 입체적으로 확장하고자 했다"며, "미래 세대인 청소년들이 부르는 노래를 통해 4·3의 다양한 감정을 기록하고, 평화의 가치를 이어가는 중요한 콘텐츠의 시작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