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제주도청 앞에서 화순이 자연방류 촉구 1인시위를 하고 있는 최미연  위원장.(사진=박소희 기자)
29일 제주도청 앞에서 화순이 자연방류 촉구 1인시위를 하고 있는 최미연 위원장.(사진=박소희 기자)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에 위치한 돌고래 체험시설 마린파크에 혼자 남은 돌고래 '화순이' 자연방류를 촉구하는 릴레이 시위가 진행되고 있다. 29일 제주도청 앞에서도 뙤약볕 속에 1인 시위가 이어졌다. 

1인 시위에는 녹색당 동물권위원회를 비롯해 핫핑크돌핀스, 제주녹색당, 제주비건, 제주동물권연구소, 정치하는 엄마들, 동물권행동 카라,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 동물자유연대 이상 9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이날 1인 시위에 참여한 최미연 녹색당 동물권위원회 위원장은 "돌고래가 있어야 할 곳은 비좁은 수조가 아니라 광활한 바다"라며 마린파크가 화순이 방류에 마린파크가 조건 없이 동의할 것을 촉구했다. 

화순이 방류 촉구를 위해 9개의 시민단체가 대책위를 꾸린 것은 지난 4월 29일.  5월 7일 서울에서 돌고래 바다쉼터 마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갖은 이들은 마린파크가 화순이 방류에 동의할 때까지 매주 1회씩 1인 시위를 이어가기로 했다. 

화순이는 2009년 일본 다이지 마을에서 마린파크가 전시·체험 목적으로 수입한 큰돌고래다. 당시 900만엔을 주고 총 3마리를 수입했지만 2마리는 이미 폐사했다. 2011년 440만 엔을 주고 일본에서 수입한 큰돌고래 3마리 역시 지난 8개월 동안 모두 폐사했다. 현재 화순이 홀로 남아 전시·체험에 동원되고 있다. 

최 위원장에 따르면 돌고래는 초음파로 공간을 인지하고 함께 무리 지어 생활하는 생명체들과 소통한다. 따라서 비좁은 수조에서 지내면 수조벽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초음파로 청력을 잃기 쉽다. 화순이는 매일 수차례 진행되는 '만지기'와 '지느러미 붙잡고 헤엄치기' 체험에 동원된다.  도내 수족관 돌고래 보유 현황을 살펴보면 6월 기준 3개 업체에 총 9마리가 있다. 이중 다른 2개 업체가 보유한 8마리는 전시나 공연에 동원되고 있다. 체험까지 동원되는 것은 마린파크가 보유한 화순이가 유일하다. 

최 위원장은 이날 "마린파크는 해양수산부가 인증한 '서식지외 보전기관'이자 해양동물 구조·치료기관 인증을 매표소 옆에 붙여놨더라. 그런데 멸종위기 벼랑 끝에 선 화순이가 지내는 환경은 '감옥' 그 자체"라고 분개했다. 

큰돌고래는 세계자연보전연맹이 작성한 국제적 멸종위기종 적색목록 중 가장 낮은 등급인 '최소관심' 단계다. 따라서 '해당 종의 생존에 위협이 없는 경우'에 한해 상업적 수입, 반입이 가능하다. 

문제는 큰돌고래 개체군 동향이 확인되지 않아 생존 위협이 전혀 없다고 보기 어렵다.  2017년 큰돌고래 수입을 영산강유역환경청이 불허하자 업체가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지만 법원은 환경 당국이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큰돌고래 수입을 불허한 것은 정당하다는 판결을 낸 바 있다. 재판부는 "포획 방법이 매우 잔인하고 큰돌고래 한 마리를 포획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개체가 희생되기도 한다"는 이유로 업체 청구를 기각했다. 

최 위원장은 "포획 단계부터 불법 그 자체인 돌고래쇼 및 체험은 전면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제주도 관계자는 제주투데이와 통화에서 "최근 도내 수족관에 보유 중인 돌고래 폐사 사고가 잇따르고 동물 복지 차원의 바다쉼터 조성 및 자연 방류 여론 등이 형성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방류 실현 가능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라며 "실국 입장에서는 자연 방류를 하고 싶지만 소유권 문제가 있어 녹록치 않다. 사업자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화순이 방류에 성공한다 해도 도내 수족관에 있는 돌고래가 총 9마리다. 예산 확보 등 쉽지 않은 문제"라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최근 마린파크 측에서 화순이 몸값으로 3억원을 요구한 사실에 대해 묻자 "그건 사실이 아니다. 자연 방류가 가능한지 검토 차원에서 사업자와 면담을 가졌는데, 그때 큰돌고래 현재 시세를 묻는 과정에서 나온 말"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